Insights & Trends/Working
[스크랩/취업] 올해 대졸자 사상최악 취업절벽 닥친다
insightalive
2015. 1. 3. 08:48
대기업 10곳중 7곳 "정년 늘어 신규채용 축소"
구조조정도 대기업 39%·중소기업 36% 계획
노사정委, 임금피크제 등 노동 개혁 속도내야

매년 1~2월 기업들은 그해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한다. 그래서 기업 인사팀은 연말연초에 부서별 인력 수요를 조사하느라 바쁘다. 하지만 올해는 좀 상황이 다르다. A건설 인사팀은 12월 한 달 동안 부서별 잉여인력 상황을 조사했다. 신규채용보다 구조조정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A건설 관계자는 “내년도 60세로 정년이 연장되기 전에 미리 구조조정을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올 신규채용시장은 사상 최악의 취업절벽(Job Cliff)이 예상된다. 경기침체에 정년연장이라는 구조적인 요인이 결합되면서 기업들이 신규채용을 대폭 줄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2일 신년사에서 “내년부터 시행될 정년 연장과 임금체계 개편 등을 둘러싼 현장의 힘겨루기가 걱정스러운 부분”이라며 “작년에 비해 고용 증가폭이 둔화되고 일부 업종의 고용조정 등이 예상되어 노동시장 여건이 쉽게 나아지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비해 미리 인력구조를 조정하는 선제적인 구조조정에 나서는 기업들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최근 1182개 기업을 대상으로 ‘구조조정 계획이 있는가’를 물은 결과, 35.5%가 ‘있다’고 답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39%)이 구조조정 계획이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35.8%), ‘중견기업’(29.9%) 순이었다. 이 기업들의 구조조정 규모는 전체 인원 대비 평균 7% 수준으로 집계됐다.
특히 내년부터 본격 시행될 ‘정년 60세 연장’이 신규 채용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전경련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종업원 300인 이상 181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내년 60세 정년 의무화가 신규채용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해 32.6%가 ‘매우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다소 부정적’이라는 답변도 39.8%였다. 대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60세 정년 의무화로 신규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의미다.
이철행 전경련 고용노사팀장은 이에 대해 “300인 이상 대기업의 근로자 10명 중 4명 정도가 정년을 채우지 못했었는데, 2016년부터 모든 근로자가 정년까지 근무하게 됨에 따라 신입직원을 뽑을 여력이 없어지고, 인건비가 늘어나기 때문에 2016년 2월 졸업생들이 힘든 취업전쟁을 치러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따라서 고용시장에 숨통을 틔우기 위해서는 올해 안에 ‘임금피크제’ 등 새로운 임금체계 개편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기권 장관도 “취업을 준비하는 미래세대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전경련 설문조사에서도 60세 정년 의무화가 시행되면 75.7%의 기업이 임금피크제나 전반적 임금체계 개편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60세 정년 의무화로 대부분 기업들의 임금체계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뜻이다. 구체적으로는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거나 임금체계를 전면 개편하겠다는 기업은 조사대상의 32.0%였다. 기존 정년 이후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겠다는 기업은 23.2%, 이미 운영 중인 임금피크제를 연장하겠다는 답변은 20.5%였다. 한편 현행 임금제도를 유지하겠다는 응답은 20.4%였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는 임금피크제 의무화 법안 입법을 꼽은 기업이 28.2%, 임금피크제 도입 시 재정 지원 강화를 요청한 기업이 27.6%였다. 노조와 근로자의 협조가 중요하다고 본 기업은 25.4%, 임금피크제 도입을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으로 보지 않아야 한다는 답변은 17.1%였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노동시장 개혁을 위한 노사정위원회 논의가 속도를 내지 않으면 노사갈등이 격화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규채용도 얼어붙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기철 기자 / 이진명 기자]
A건설 관계자는 “내년도 60세로 정년이 연장되기 전에 미리 구조조정을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올 신규채용시장은 사상 최악의 취업절벽(Job Cliff)이 예상된다. 경기침체에 정년연장이라는 구조적인 요인이 결합되면서 기업들이 신규채용을 대폭 줄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2일 신년사에서 “내년부터 시행될 정년 연장과 임금체계 개편 등을 둘러싼 현장의 힘겨루기가 걱정스러운 부분”이라며 “작년에 비해 고용 증가폭이 둔화되고 일부 업종의 고용조정 등이 예상되어 노동시장 여건이 쉽게 나아지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비해 미리 인력구조를 조정하는 선제적인 구조조정에 나서는 기업들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최근 1182개 기업을 대상으로 ‘구조조정 계획이 있는가’를 물은 결과, 35.5%가 ‘있다’고 답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39%)이 구조조정 계획이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35.8%), ‘중견기업’(29.9%) 순이었다. 이 기업들의 구조조정 규모는 전체 인원 대비 평균 7% 수준으로 집계됐다.
특히 내년부터 본격 시행될 ‘정년 60세 연장’이 신규 채용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전경련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종업원 300인 이상 181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내년 60세 정년 의무화가 신규채용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해 32.6%가 ‘매우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다소 부정적’이라는 답변도 39.8%였다. 대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60세 정년 의무화로 신규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의미다.
이철행 전경련 고용노사팀장은 이에 대해 “300인 이상 대기업의 근로자 10명 중 4명 정도가 정년을 채우지 못했었는데, 2016년부터 모든 근로자가 정년까지 근무하게 됨에 따라 신입직원을 뽑을 여력이 없어지고, 인건비가 늘어나기 때문에 2016년 2월 졸업생들이 힘든 취업전쟁을 치러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따라서 고용시장에 숨통을 틔우기 위해서는 올해 안에 ‘임금피크제’ 등 새로운 임금체계 개편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기권 장관도 “취업을 준비하는 미래세대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전경련 설문조사에서도 60세 정년 의무화가 시행되면 75.7%의 기업이 임금피크제나 전반적 임금체계 개편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60세 정년 의무화로 대부분 기업들의 임금체계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뜻이다. 구체적으로는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거나 임금체계를 전면 개편하겠다는 기업은 조사대상의 32.0%였다. 기존 정년 이후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겠다는 기업은 23.2%, 이미 운영 중인 임금피크제를 연장하겠다는 답변은 20.5%였다. 한편 현행 임금제도를 유지하겠다는 응답은 20.4%였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는 임금피크제 의무화 법안 입법을 꼽은 기업이 28.2%, 임금피크제 도입 시 재정 지원 강화를 요청한 기업이 27.6%였다. 노조와 근로자의 협조가 중요하다고 본 기업은 25.4%, 임금피크제 도입을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으로 보지 않아야 한다는 답변은 17.1%였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노동시장 개혁을 위한 노사정위원회 논의가 속도를 내지 않으면 노사갈등이 격화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규채용도 얼어붙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기철 기자 / 이진명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4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