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숙박 등 나눠쓰는 신개념 비즈니스…
우버택시·에어비앤비…10조 시장으로 급성장

 

◆ 공유경제 급부상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운영되는 모바일 콜택시 서비스 우버(Uber). 이 회사는 최근 이용자들이 택시가 아닌 자가용을 나눠 쓸 수 있는 `우버 풀(Pool)` 서비스를 내놨다. 이는 경쟁사 리프트(Lyft)를 의식한 조치다. 모바일 카풀 업체 리프트가 우버를 위협할 `리프트 라인(Line)`을 내놓자 맞불을 놓은 것. 경쟁 덕에 교통정체로 악명 높은 샌프란시스코는 저렴하고 편리하게 카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한국의 숙박(한옥) 공유업체 코자자. 2012년 설립된 이 회사 서비스는 에릭 슈밋 구글 회장이 방한 때 이용하는 등 높은 만족도를 자랑한다. 하지만 코자자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지난해 전국 한옥을 연결하는 사이트 `한옥스테이`를 내놓자 사업계획서를 다시 써야 했다. 정부와 직접 경쟁하는 모양이 됐기 때문이다.

코자자는 결제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한국관광공사에 링크를 연결해달라고 수차례 요청했지만 답을 듣지 못했다. 외국에선 에어비앤비나 우버 등 공유경제 업체들이 큰 펀딩을 받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기존 숙박업체와 택시운송업체의 반발로 제대로 서비스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하기는커녕 직접 사업에 나서 경쟁자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차, 숙소, 자전거, 책, 옷은 물론 심지어는 `노동력`까지도 공유하면서 새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공유경제(Sharing Economy)`가 창조경제의 대표 모델이 되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매솔루션에 따르면 세계 공유경제 시장은 올해 100억달러 돌파가 유력하다. 우버는 지난 6월 추가로 12억달러(1조2000억원) 투자 유치에 성공해 기업가치가 182억달러(18조6000억원)나 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에어비앤비는 지난 4월 4억5000만달러(약 4670억원)를 추가로 유치해 기업가치가 100억달러(10조8000억원)로 커졌다.
 

반면 한국은 기존 규제와 기득권을 앞세워 논란만 일고 있다. 우버와 에어비앤비가 한국에 진출했지만 유사택시 논란이 일고 있으며 숙박업 등록 여부로 인해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실정이다. 
 
■ <용어설명>

▷ 공유경제 : 개인 소유를 기본 개념으로 하는 전통 경제와 대비되는 개념. 집ㆍ차 등 자산은 물론 지식ㆍ서비스 등을 나눠 쓰면서 합리적 소비ㆍ새로운 가치 창출을 구현하는 신개념 경제를 말한다.

[손재권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086068

Posted by insightalive
,

Design, Assessment, Innovation, Differentiation, and Transformation


Comparing Facebook and Google Business Models

In our previous blog posts, we represented the business models of Facebook and Google over the Business Model Canvas. The Canvas diagrams are reproduced below for your convenience. Please click the link to the blog post, if you want to read the details.

Understanding Facebook Business Model

Understanding Google Business Model

In this post, we will attempt to compare the two business models using Gurley’s Test. Please refer to the post ‘Assessing a Business Model Attractiveness’, if you want to understand the 10-point criteria that we will be using to compare Facebook and Google business models.

We will take each of the 10 criteria one-by-one. We will try to give scores to both the companies based on the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public domain and our knowledge/understanding of the companies. In case you think that we are missing some key aspect, please feel free to bring it out in the comments section. We will give 1 point if the criterion is fully satisfied, 0.5 points if it is partially satisfied, and 0 points if it is not satisfied at all.

1.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Google is a dominant web search provider with over 66% of search market share. As per Analyst estimates, Google has over a million servers that process over a billion search requests every day. Google has invested billions of dollars in building huge data centers across the globe. The resulting economies of scale and economies of scope provide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o Google over new market entrants and existing players.

Facebook is a dominant social networking site with over 845 million users at the end of 2011. Facebook aspirations are even high. They aim to connect all global Internet users – more than 2 billion in number. Facebook strategy is to design social products and enter into partnerships that drive engagement levels of these users even further. Facebook has built a multi-sided platform (MSP) with strong network effects. These network effects and Winner-Takes-All (WTA) dynamics of MSPs provid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o Facebook.

Both the companies have very strong Research and Development capabilities and lead the market through Innovative products. It is very difficult for a new company to enter into web search or social networking services market and beat Google or Facebook in these markets. So, we can give 1 point to both the companies on this criterion.

2. Presence of Network Effects.

Though Google search product serves multi-sided markets, it doesn’t induce network effects because it doesn’t enable interactions between the users on the two sides. Online advertisers benefit from having a large base of search users, but it doesn’t lead to network effects. However, with the Android product, Google has been able to create cross-side network effects between mobile users and mobile developers. Google is also betting big on Google+, its social networking service. Google+ claims to have over 100 million users in less than a year. It is yet to be seen how Winner-Take-All (WTA) dynamics will pan out between Google+ and Facebook.

Facebook is benefiting from very strong network effects since its inception. Facebook benefits from the same-side network effects between the Facebook users. Facebook also benefits from the cross-side network effects between the developers and the users.

We can give 1 point to both the companies on this criterion.

3. Visibility/Predictability are highly valued.

Both the companies are dependent upon online advertisements for their revenues. Google earns over 96% of its revenue from advertising, whereas Facebook earned 85% of revenue from advertising in 2011. Both the companies have self-serve auction-based Ad products and a “long tail” of customers. This makes modeling or predicting the future revenues of these companies little difficult, as compared to that of product companies.

While both the companies don’t disclose and won’t disclose the following statistics, they can help with some visibility/predictability of their future revenues: How many customers (advertisers) they have? How the number of customers has increased over time? What is the average revenue per customer? What are the revenues from mobile advertising? How they are increasing over time?

As we move more and more from an offline to an online world, both the companies are going to benefit in a big way. We can give 1 point to both the companies on this criterion because their revenues are not going to go down anytime soon.

4. Customer lock-in/High Switching costs.

Both the companies are focused on Lifetime Value (LTV) of the customers. Both the companies are trying to lock-in users with their data in form of emails, photos, videos, documents, and blogs. Google has over 350 million users using Gmail. Over 250 million photos get uploaded on Facebook everyday. Over 4 million businesses use Google Apps for Business. Over 4 billion videos are streamed on Youtube everyday. Facebook has over 100 billion friendships. Both the companies have achieved data lock-in with their users. We can give 1 point to both the companies on this criterion.

5. Gross Margin Levels.

Facebook has higher gross margins than Google. In fact, they are amongst the highest in the Technology Industry. Google gross margins have been improving over years. They also provide enough room for high operating and net margins. We can give 1 point to both the companies on this criterion.

6. Marginal Profitability calculation.

To check whether higher revenues are translating into higher profit margins, we can compare the revenue growth with the operating profit growth. Higher operating profit growth would mean higher marginal profitability.

Over last 5 years, Google operating margins have remained between 30-35% range. For Facebook, operating margins were negative during 2007-08, reached a peak of 52% in 2010, and then declined to 47% in 2011. Google’s revenues and operating income grew at same pace at 23% CAGR from 2007 to 2011. For Facebook, it is not possible to calculate CAGR number because its operating income was negative during 2007-08. However, Facebook operating margins are very healthy and are higher than Google. We can give 0.5 points to both the companies on this criterion.

7. Customer concentration.

Both Facebook and Google have a “long tail” of customers. Both of them are not dependent upon any single customer for their revenues. Both of them have implemented self-serve auction-based Ad products. This makes customers “price accepters” than “price demanders”.

Though Zynga accounted for 12% of Facebook revenues in 2011, Facebook revenues are not highly dependent on Zynga. Moreover, Zynga also needs Facebook for its revenues. Both of them are into a long-term relationship. For Google, no single customer or group of affiliated customers contributed more than 10% of revenue during last 3 years.

We can give 1 point to both the companies on this criterion.

8. Major partner dependencies.

To increase the engagement levels of its users, Facebook has partnered with content companies such as Netflix, Hulu, Spotify, and Washington Post providing online movies, TV shows, music, and news respectively. However, Facebook is not dependent on any single partner.

Google has partnered with content companies that are referred to as Google Network members. Google helps Advertisers extend their Ad campaigns to these Network member websites through its Adsense product. Google shares Ad revenues with these websites in turn. Google gets nearly 30% of its Advertising revenues from the member websites. In addition to the Adsense arrangements, Google has product distribution partners to bring traffic to Google websites. The traffic acquisition costs from distribution partners represent 10-12% of the total cost of revenues. However, Google is not dependent on any single partner for its revenues or traffic acquisition.

We can give 1 point to both the companies on this criterion.

9. Organic vs Heavy Marketing spend.

Both the companies are very well known Global Brands. Both the companies serve multiple audiences: Users, Advertisers, and Developers. So, both companies run different marketing programs for different audiences to achieve different marketing objectives. Both the companies spent nearly 12% of the total revenues on Marketing and Sales in the year 2011. We can give 1 point to both the companies on this criterion.

10. Growth.

Facebook revenues grew from $153 million in 2007 to $3.7 billion in 2011 at a 4-year CAGR of 122%. Google revenues grew from $16.5 billion in 2007 to $37.9 billion in 2011 at a 4-year CAGR of 23%. During 2007, Facebook revenues were 1% of Google revenues. During 2011, Facebook revenues were 10% of Google revenues.

Clearly, Facebook has grown much faster than Google over last 5 years. However, if we take a look back into Google’s early years, its numbers were better than Facebook numbers today. Google was founded in September 1998. Facebook was founded in February 2004. In its 4th year of operations, in 2001, Google revenues were $86 million. By 2005, Google revenue reached $6.1 billion at a 4-year CAGR of 190%.

Whether we consider the base effect or not, Google’s current CAGR of 23% is also a pretty good number as compared to the Industry. So, we can give 1 point to both the companies on this criterion as well.

Summing up,

If we sum all the points up, we will see that both the companies scored 9.5 of 10. The scores are represented over the Canvas as follows:

We believe that both the companies are very promising. Both of them have a big mission that they are after. Google’s mission is to organize the world’s information and make it universally accessible and useful. Facebook’s mission is to make the world more open and connected. These missions are driving scale and innovation in these two companies. The global online advertising market is big and will expand further. These two players are in a good position to capitalize on the global opportunities.

What is your opinion of using this approach to compare the business models of two companies? Does the reasoning help you in judging which company has a superior business model? It is not meant to be an investment guide. But, using the 10-point criteria, you can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of a company’s business model.

Additional Reading

출처: http://bmimatters.com/2012/04/18/comparing-facebook-and-google-business-models/

Posted by insightalive
,

인포101-1

세상의 모든 수수료

최근 배달의민족에서 촉발된 수수료 논쟁이 연일 인터넷을 달구고 있습니다. 수수료라는 것이 발생하는 매출 등에서 일정 퍼센트를 꼬박꼬박 가져가는 것이다보니, 그 적정성에 대한 논란은 언제나 있을 수 있는데요. 과연 배달의민족이 취하는 수수료가 비싼 것인지 아닌 것인지에 대해 현재 대부분은 배달업 관점에서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만, 혹시 다른 수수료들은 어느 정도 수준인지에 대해 알아본다면 참고가 되지 않을까 싶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러 수수료들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하지만 시작에 앞서 이러한 수수료에는 크게 1) 유통수수료와 2) 결제대행수수료 – 로 구분이 됩니다. 즉, 내가 만든 제품 등을 많은 고객이 있는 채널을 이용해 판매를 하고, 그에 대한 대가로 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이 있는 반면, 단순한 결제수단을 제공하고 그에 대한 수수료를 취득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두 가지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영역도 있지만, 여러 종류의 수수료를 살펴보며 그 차이에 대해 비교해볼 수 있는 기회로 삼겠습니다.

1. 홈쇼핑 : 35%

가히 수수료의 제왕이라고 불릴만 합니다. 홈쇼핑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들에 대해 홈쇼핑 사업자들이 취하는 판매수수료는 무려 35% 선입니다. 물론 품목별,  회사별 차이는 있겠습니다만 35%가 통상적인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현재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 비즈니스를 영위하고 있는 회사들 중에 가장 압도적인 수수료율을 부과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역으로 홈쇼핑 채널에서 수억대의 매출을 내고, 이를 발판으로 유수의 생활용품 분야의 제조업체로 발돋움한 회사들이 여럿 있다는 점에서 홈쇼핑 채널이 갖는 파워가 35%의 수수료율을 정당화할 수도 있지 않을까 – 하는 생각도 해볼 수 있겠습니다.

2. 앱스토어 : 30%

처음에 애플이 앱스토어 개념을 들고 나와 개발자 70% / 애플 30%의 구도를 만들었을 때 많은 개발자들은 환호를 했습니다. 당시로서 콘텐츠를 개발하는 사업자에게 절반 이상의 비율을 화끈하게 배분해줬다는 것이 흔치 않았기 때문인데요. 요즘에는 이 30%에 대한 생각이 많은 부분에서 달라지고 있는 것도 같습니다. 사실상 OS와 디바이스를 통해 모바일 시장을 장악해버린 애플과 구글로 인해 개발자들은 시간이 지나도 다른 선택지를 살펴보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오늘과 내일이 다르게 느껴지는 것처럼 30%의 적정성에 대해서도 의문이 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백화점 : 28.9%

백화점은 오프라인의 가장 대표적인 유통 채널 중에 하나로, 선택적인 브랜드를 입점시키고 이들이 판매한 금액의 일정 퍼센트를 판매수수료 형태로 부과하고 있습니다. 백화점의 경우 홈쇼핑과 한때는 비슷한 수준의 수수료를 부과하기도 했습니다만, 작년 조사에 따르면 평균적으로는 30%를 조금 밑도는 수준의 수수료를 취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의 유통업에서의 채널 파워가 나날이 떨어지는 가운데, 백화점에게 줘야하는 이 28.9%의 수수료가 과연 합당한 것인지에 대해 많은 브랜드들은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생각됩니다. 최근에는 갤러리아 백화점이 오프라인 매장 리모델링을 하면서 브랜드에 대해 기존의 구획된 매장이 아닌 다른 형태의 구성을 가져가며 많은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이제는 30% 가까운 수수료를 취할 만한 채널로서의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스스로가 그 정당성을 입증해야 하는 시기가 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4. 카카오 : 21%

카카오는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모바일 플랫폼으로 자리잡은 만큼, 하나의 수수료 체계로 떼네어 구분해볼 만한 힘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가장 많은 논쟁거리가 되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카카오 게임하기의 21% 수수료율인데요, 구글 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가 있는 상황에서 채널링 사업자로서 21%를 취득하는 것이 과연 합당한가에 대해 많은 이들이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분간 카카오는 수수료율을 변경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고, 현재 카카오 플랫폼을 거치지 않고 출시되는 모바일 게임들이 인상적인 성과를 다수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수수료율 또한 향후 카카오의 성장에 많은 숙제를 던져다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5. 온라인 광고대행사 : 15~20%

우리가 온라인 광고대행사를 통해 광고비를 집행하게 되면 적게는 15%에서 많게는 20%까지 이들에게 대행수수료가 지급됩니다. 이들은 광고 채널에 대한 전문성을 일부 바탕으로, 광고비 집행을 아웃소싱하는 개념으로도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 대행사별로 차이는 있겠습니다만 사실상 데이터를 기초로 지속적인 측정과 개선이 필요한 업무의 특성상 일종의 용역수수료와 같다고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6. 배달의민족 : 13~14% (5월 말까지 5~9.9%로 인하 예정)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배달의민족의 결제대행수수료가 13~14% 정도입니다. 회사 측에서는 고객 전화가 콜센터를 거치지 않는 경우 9.9%까지 내려간다고 밝히긴 했습니다만, 현재 월정액 기준으로 부과되는 광고비가 함께 존재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실질적으로 업주가 느끼는 체감 수수료율은 13~14%에 달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논쟁의 핵심은 이들이 과연 신규 수요를 창출해주고 있느냐 – 에 달려있는데요, 만약 그렇다면 일종의 유통수수료 개념으로 봐야하며, 그렇지 못하다면 단순한 결제대행수수료로 봐야할 것입니다. 물론 전자라면 합당한 수준으로 사료되며, 후자라면 폭리에 가깝겠지요. 따라서 배달앱 사업자들은 이들이 어떻게 신규 수요를 창출해내고 있는지에 대해, 배달앱을 사용하면 전단지 광고 비용을 줄여나갈 수 있는지에 대해서 좀 더 명확히 입증해내야 할 숙제가 던져진 것 같습니다. 덧붙여, 최근 배달의민족이 4월 28일(월) 보도자료 배포를 통해 수수료를 5~9.9%까지 낮추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실상의 결제대행 비즈니스를 인정한 셈이기도 한데요. 수수료 전쟁으로 바뀐 배달앱 시장이 어떻게 진행될지 궁금해집니다.

7. 쿠팡/티몬/위메프 : 10~11%

소셜커머스 3사는 조금은 다를 수도 있겠습니다만 전체를 평균으로 살펴볼 때 아직까지는 10% 초반대의 수수료를 취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조가 넘는 거래액 대비 1,000억원이 넘는 수수료 매출액) 이들이 B2C 전자상거래 사업자로서 고객 서비스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직접 담당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들의 수수료율은 의외로 높은 것은 아닙니다. 지역 쿠폰 비즈니스를 아직도 주로 전개하고 있는 미국 Groupon의 경우 35~40%의 수수료율이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또한 백화점, 홈쇼핑 등의 유통 채널과 비교했을 때에도 이들의 취하는 수수료율이 높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이는 다른 측면에서 볼 때 이 채널이 취득할 수수료율이 향후 조금씩 조금씩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도 예상해볼 수 있겠습니다.

8. G마켓 : 10%

G마켓은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C2C 오픈마켓 사업자로서 판매된 것에 대해 약 8~12% 정도의 수수료를 떼고 있습니다. 이들은 B2C 전자상거래 사업자와는 다르게 판매자와 구매자를 이어주는 마켓플레이스 역할에만 충실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유통수수료 보다는 오히려 결제대행수수료에 가깝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G마켓은 수수료 8~12% 외에도 G마켓 내에서 추가적인 광고비를 지불하고 상단에 노출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광고비도 있기 때문에 (전체 거래액의 약 3.5% 수준) 전체적으로 봤을 때에는 총 15% 가량의 수수료를 취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9. 이니시스 : 3%

한국의 대표적인 PG (Payment Gateway) 업체인 이니시스는 온라인 결제에 있어 약 3% 정도의 수수료를 취득하고 있습니다. 아마 전자상거래 비즈니스를 경험하신 분들은 이니시스의 이 3%가 얼마나 큰 비중인지 체험하셨을텐데요, 특히 유통수수료가 아닌 결제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따르는 대행수수료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습니다. G마켓 같은 업체들은 그래도 수요와 공급을 매칭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그에 대한 대가로 3.5%를 취득하는데 반해, 이니시스는 한번 돈이 게이트웨이를 지나가기만 하면 바로 3% 가량을 취득하는 형태이니 더욱 놀라운 비즈니스라고 할 수 있겠지요. 아마도 이러한 강점이 수많은 업체들이 모바일 결제시장을 두고 패권다툼을 벌이는 이유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출처: http://undertheradar.co.kr/2014/05/02/136/

Posted by insightalive
,

길을 걷다 보면 뭔가 어울리지 않는 분위기의 매장들이 얼마 전부터 눈에 보인다.

빨간색 간판. CI가 마음에 드는데? 하고 몇 번 지나쳤던 가게들.

그러나 전혀 '가게' 스럽지 않은, 오히려 백화점스러워서 이상했던 가게들.

화장품 가게인가, 하고 들어가 봤는데 오히려 화장품은 몇 개 없어 의아했던 가게들.







그렇다. 다이소다.

90년대 후반에에 한국 시장에 진출한 다이소는, 불과 10년이 지나 매출 3000억을 바라보고 있다.

오죽하면 동네 슈퍼마켓들이 'SSM보다 다이소가 더 무섭다'라는 인터뷰를 할까.

90년대 후반 IMF가 터지면서 수많은 천원 가게들이 생겨났다. 그러나 가격만 싼 제품이라는 획일적인 아이디어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현재까지 살아남은 천원 매장은 다이소가 유일하다.  다이소가 그들과 다른 점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이들의 성장 배경은 남들과 다른 시각으로 제품을 보자는 것이었다. 구매자도 아니고 남들과 다른 시각을 가진다?

다이소는 단순히 싼 제품만 판매하는 것이 아니었다. 이들은 제품을 철저히 소비자 중심으로 바라보기 시작했다.

이들은 소비자들은 정말로 싼 제품들만을 원할까라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고, 답을 찾을 수 있었다.



어찌 되었건 간에 소비자 만족의 핵심은 가격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싼 가격과 그 이면을 주목했다. 싼 가격은 중국산 떨이로 얼마든지 맞출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리고 그 해답은 다이소가 직접 상품을 기획하고, 상품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가격을 낮추기 위한 노력으로 노동자들을 착취하는 것이 아닌, 오히려 직접 공장을 방문했다.

철저히 소비자 관점에서 바라본 다이소는,



1) 불필요한 기능 제거

2) 불필요한 디자인 제거

3) 대량 구매 - 100% 현금 구매

4) 선가격측정(기획) 후생산



등의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특히, 다이소는 디자인 면에서 다른 회사 제품을 그대로 직수입하는 기타 매장과의 경쟁에서 차별성을 가졌고,

먼저 가격 측정과 상품기획을 한 후 가격에 맞게 불필요한 요소들을 과감히 빼 버리는 전략으로 가격 경쟁력도 유지했다.




다이소는 단순히 싼 제품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그들의 성공 비결은 단순히 '싸게 판다' 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사고 싶어 하는 물건을 싼 가격에, 좋은 품질로 판다'에 있다.

월 500개가 넘는 상품 출시를 통해 다양한 제품을 자기 취향에 맞게 고르고, 평범한 일상 용품을 자신의 스타일에 쓰게 한다는 것은,

다이소가 철저히 싼 가격에 고급화를 추구한 masstige 전략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다이소 우산이 좋은 예가 된다.







"작년에 3300억 원 매출에 영업이익은 10억 원 선이었습니다. 10원 한 개 부정한 짓 안 해도 그 정도입니다. 누가 생각해도 매출 대비 이익이 적죠. 왜 그럴까요. 철저하게 이익을 배제했기 때문입니다. 이 사업은 고객을 따라야지 이익을 좇아선 안 됩니다. 

대기업이 비슷한 콘셉트로 뛰어들었다가 모두 손들고 나갔죠. 고객이 한 번 등을 돌리면 끝입니다. 이윤을 챙기면 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결국은 볼륨을 키워야 합니다. 상품에 대한 자체 기획력이나 철학이 없으면 안 됩니다. 마진을 좇는 순간 망하는 게 이 사업입니다."


다이소 회장의 말이다.


출처: http://blog.naver.com/leejoonsoo95/40134264592?viewType=pc

Posted by insightalive
,

2013-06-07


[머니위크 강동완 기자]

 

프랜차이즈 균일가 생활용품 숍 다이소(회장 박정부,www.daiso.co.kr)가 대학가에서 마케팅 연구사례로 인기를 얻고 있다.

다이소는 최근 많은 대학의 학생들이 ‘마케팅 연구’ 조사로 방문 및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고 밝혔다. 다이소를 마케팅 연구 사례로 선정, 방문 또는 질의를 해온 대학은 이화여대, 숙명여대, 한국외국어대, 상명대, 서울여대, 한국교원대 등 10여 대학의 50여명에 달하고 있다는 것.

이처럼 다이소가 학생들의 마케팅 연구 사례로 꼽히는 이유는 1992년 설립이래 눈부신 발전을 거듭했기 때문이다. 현재 다이소는 전국에 총 880여개의 매장을 운영 중에 있으며, 총 2만 5천여개의 상품을 1000원~5000원의 경제적인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

또 일본의 다이소와 같은 브랜드 이름을 사용하지만 브랜드 로열티와 수익배분이 전혀 없어 토종 한국기업이라는 점과 가격을 고정시킨 카테고리 킬러로서 일정부분 생활용품 시장의 가격 인상 억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점도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취생들이 많은 대학가 주변에 다이소가 자리잡고 있어 생활에 필요한 제품을 값싸고 손쉽게 얻을 수 있다는 점도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 다이소는 대학가부근에 총 10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다이소 안웅걸이사는 “최근 대학가에서 다이소의 마케팅활동과 PR부문 그리고 물류부문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문의가 많다. 국내 최대 생활용품 숍으로서 성장할 수 있었던 마케팅 활동이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는 것 같다”며“이에 힘입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공모전 등 보다 다채로운 활동을 기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17&aid=0000007050&viewType=pc

Posted by insightalive
,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경영학석사) 프로그램은 우리 시대 최고의 성공스토리로 뽑힐 만합니다. 1908년 하버드 경영대학원 (HBS: Harvard Business School)에서 처음 시작된 이후 미국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1957년 프랑스의 INSEAD를 시작으로 유럽이 받아들였으며,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로 퍼져나갔습니다. 지금은 특히 인도와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40년 전만 해도 미국 내 법학전문대학원 졸업생과 MBA 졸업생 숫자가 비슷했으나, 이젠 MBA 숫자가 네 배에 이릅니다. 그러나 이처럼 수요와 공급이 폭증하면서 문제도 많아졌습니다.

먼저 투자 대비 수익이 명확치 않습니다. 비즈니스스쿨은 졸업 후 엄청난 연봉을 받을 수 있다고 홍보하던 이전과 달리 금융 위기 이후 사회적 기업, 비영리 기관으로 진출하는 사례를 알리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이미지를 쌓아가고 있습니다. 연봉이 줄어든 것도 사실입니다. 이코노미스트 2013년 조사자료에 따르면 MBA 졸업생 평균 연봉은 94,000 달러로 5년 전보다 1,500달러 줄었습니다. 그에 비해 등록금은 계속 오릅니다. 시카고 대학의 경우 5년 전보다 17,000달러가 올라 2년 학비가 총 112,000달러에 다다르며 하버드 대학의 경우 25,000달러나 올랐습니다. MBA 진학을 고려하는 학생들은 이제 비용을 투자 수익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컨텐츠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무엇보다 경영학 전반을 일반적으로 가르치던 이전과 달리 전문 지식에 집중합니다. 금융, 헬스케어, 명품, 주류산업까지 특정 산업인력 양성에 맞춰진 프로그램들이 나오고 있죠. ‘빅데이터’도 인기 있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입학하는 첫날부터 인턴쉽 구직 전쟁에 뛰어들다보니 경영대학원 진학 이전부터 어느정도 커리어 계획을 세워놔야합니다.

온라인 프로그램 제공도 중요한 트렌드입니다. 펜실베니아 대학의 와튼 스쿨의 경우 일부 강좌를 개방형 온라인강좌(MOOCs, 관련 뉴스페퍼민트기사) 를 통해 무료로 제공하는데, 핵심 상품을 무료로 내놓는 것에 회의적인 시각도 많습니다. 채플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UNC)은 한걸음 더 나아가 아예 온라인으로 MBA 학위를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죠. 이 프로그램은 현직업을 그만두지 않고 학위를 받고 싶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온라인 강좌의 제공이 활성화되면 MBA가 특권층이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되는 학위 프로그램으로 변모할 지도 모릅니다. 하버드 대학 클레이톤 크리스텐슨 교수는 “MBA 역사상 처음으로 저렴한 학비로 경쟁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이를 표현했습니다. (Economist)

미국내 MBA 졸업생 수

원문보기


출처: http://newspeppermint.com/2013/10/24/mba/

Posted by insightalive
,

[동아일보]

한촌설렁탕 사례로 본 GIS 기반 초정밀 상권분석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인 A사는 지난해 10월 서울 마포구에 신규 점포를 냈다가 낭패를 봤다.

A사는 건물 입구가 넓고 주변에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많은 B건물이 최고의 입지라고 생각했다. 입점을 저울질했던 C건물은 입구가 좁아서 선택하지 않았다. 두 달 후 C건물엔 경쟁업체의 가게가 들어섰다. 매출은 C가 B의 2배였다. A사가 자리 선정 싸움에서 참패한 것이다.

알고 보니 C는 건물 입구는 좁아도 주변 지하철역에서 빠져나오는 인구가 많았다. 또한 C건물 앞에는 횡단보도가 있었다. 신호를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점포 간판이 끊임없이 노출된다는 의미다. A사 관계자는 “상권 분석을 꼼꼼히 하지 않고 건물 외관과 주변 건물들만 보고 점포를 선정했더니 이런 결과가 나왔다”며 후회했다.


A사처럼 상권 분석을 대충 하고 사업을 벌였다간 실패하기 십상이다. 지금처럼 경기가 불황일 땐 더욱 그렇다. 이에 따라 ‘최적의 점포 입점 지역’을 찾기 위한 방법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최근엔 빅데이터 분석과 지리정보시스템(GIS) 기술까지 동원되는 추세다. 첨단 기술을 동원한 외식 기업들의 입지 선정의 비밀을 취재했다.


○ 지리·인구·소비 정보 샅샅이 뒤진다


한촌설렁탕은 전국에 50여 개 점포를 가진 중소 프랜차이즈 업체다. 이 회사는 현재 GIS를 기반으로 상권을 분석하는 전문업체 ‘GIS유나이티드(GU)’와 함께 200개 점포에 대한 입점 후보지를 찾고 있다. 한촌설렁탕의 목표는 수도권 지역에서 ‘평일에는 회사원이 찾고 주말에는 가족 단위 손님이 많이 찾는’ 복합형 점포 입점 지역을 골라내는 것.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우수 점포 3곳과 보통 점포 7곳을 분류해 비교했다. 통계 분석을 통해 점포 반경 1km 내의 인구와 주변 시설의 특징을 뽑아냈다. 30∼54세의 거주 비율이 높으냐가 중요한 변수였다. 주변에 기혼남과 제조업 종사자가 많이 거주하는 것도 장사가 잘되는 점포의 특징이었다.


또 유흥업소, 대형 교회, 병원이 주변에 있어야 매출이 높았다. 이런 변수들을 종합해 수도권 전역에 대입하고 그것을 등급화해 점포를 내야 할 지역을 선정했다. 이렇게 1차적 상권 분석을 마친 뒤 입점이 가능한 건물을 찾는다.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은 얼마나 가깝고 여기에 머무르는 인구는 얼마인지 등을 점검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입점 후보 상권에서 발생하는 매출 정보를 추가로 분석해야 한다. 평일엔 회사원이, 주말엔 가족 단위 손님이 많이 찾는 점포를 찾으려면 후보 상권 내 기존 점포들에서 발생하는 매출의 평일과 주말의 비중, 평일 법인카드 사용 비율을 살펴야 한다. 지난해 9월 금융당국이 카드사에 고객들의 광범위한 매출 정보, 이른바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허가했기 때문에 이런 분석이 가능해졌다. 송규봉 GU 대표는 “빅데이터는 GIS 기반의 상권 분석에 날개를 달아줬다”고 말했다.


○ 건물 리모델링에도 빅데이터 분석 적용


이러한 상권 분석은 신규 입점 점포를 찾는 데에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대형 상가를 리모델링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경기 성남시 분당구 오리역 인근 애플플라자의 경우 1∼3층의 점포 구성을 바꾸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기존 부동산 컨설팅업체는 상가 입점을 희망하는 점포들의 상황을 종합해 상가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GU는 다른 접근을 시도했다. 애플플라자 4, 5층에 있는 영화관의 매출 정보를 분석했다. 다른 영화관과 달리 40대 이상 관람객의 비중이 높았다. 200m 떨어진 대형마트에서도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매출 비중이 늘었다. 이를 토대로 상가 한 개 층의 절반 정도를 높은 연령층에 인기가 좋은 아웃도어 카테고리 존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여기에는 분당 오리역 같은 신규 상권에서 아웃도어 제품 판매가 더 잘된다는 빅데이터 정보도 요긴하게 활용됐다. 신규 상권에서 아웃도어 점포들의 성장 여력이 크다는 의미다. GU 측은 “지리정보와 빅데이터를 결합해 정밀하고 창의적인 제안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과학적 상권 분석은 중소 프랜차이즈 업체 성장의 디딤돌이 된다. 파리바게뜨와 GS25 등 대형 업체들도 체계적 입지 선정을 통해 규모를 키웠다. GS25 관계자는 “지금처럼 상권 변동이 심한 상황에서는 온갖 정보를 망라한 분석이 끊임없이 이뤄져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전했다.

한우신 기자 hanwshin@donga.com


출처: http://publish.gisutd.com/?p=4721

Posted by insightalive
,

By  11월 29일, 2013


이제는 한정된 분야를 넘어 IT, 경제, 예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유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에서는 데이터, 유휴 공간 등을 민간에 개방하고 있으며, 국내외 유명 대학에서는 교육 콘텐츠를 공개하여 누구나 무료로 온라인에서 수업을 들을 수 있다. 또한 몇몇 아티스트는 자신의 음원을 다른 사람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기도 한다. 말 그대로 공유의 바람이 불고 있는 것이다. 남는 자산을 타인과 함께 나눠서 활용하는 공유 운동은 분야 뿐만 아니라 그 대상의 측면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했다. 빈 방과 사용하지 않는 차 등 유형의 자산을 공유하는 것 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이 활용할 때 더욱 가치 있어지는 창작물이나 지식 같은 무형의 자산까지 활발하게 공유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형 자원의 공유는 어떻게 삶의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는지 ‘공유씨의 하루’를 통해 살펴보자.

<‘공유씨의 하루’로 본 공유경험>

 

1

오전 7시, “영어 공부는 출근 전에 해야 제 맛이지!”

입사 후 영어 공부를 위해 영어 학원도 다녀보고 스터디도 해봤지만 번번이 실패했던 공유씨. 얼마 전부터 공유씨는 공개 강의 사이트를 통해 영어 공부를 시작했다. 아침 일찍 일어나 해외 석학의 강의를 영어로 듣고 있으면 유학을 간 친구들이 부럽지 않다. 다양한 분야의 해외 대학 강의를 섭렵하다 보니 어느새 어떤 주제로도 영어로 대화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다. 오늘 하루도 힘차게 시작!

▶대학 강의를 공유하자, <KOCW>

‘KOCW(Korea Open CourseWare)’는 국내 대학 및 해외 대학의 강의 자료를 공유하는 서비스로 대학생의 전유물인 대학 강의를 일반인들에 개방했다. ‘KOCW’ 사이트에서는 해외 강의와 노벨상 강연은 물론, 대학의 교양 강의와 외국어 특강을 공개하고 있다. 누구나 공개된 강의를 들을 수 있으며 또한 개인이 소유한 강의 자료를 등록하여 공동 활용 할 수 있다.

 

8시

오전 8시, “공공자전거를 타고 코워킹 스페이스로 출근!”

▶자전거를 공유하자, <서울시 자전거 셰어링 ‘서울 바이크’>

▶공간을 공유하자!, <스페이스 노아>

<서울시 공공자전거>는 대여와 반납이 무인으로 이루어지는 정류장 형태의 스테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다.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스테이션이 설치된 곳이면 어디에서나 자전거를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다. <스페이스 노아>는 코워킹 스페이스로 공동으로 사용하는 쾌적한 근무 환경이 마련되어 있고 공간을 공유하는 사람들과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다.

2

 

오전 10시, “공유씨가 한번 발표해보세요”

내일 있을 외부 회의에서 공유씨에게 발표를 해보라는 부장님. 심지어 잘 알지 못하는 분야이기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자주 이용하는 포털사이트에 검색해봤지만 유용한 정보는 찾기 힘든 상황이다. 이럴 때 이 분야를 잘 아는 누군가가 도와준다면! 공유씨는 인터넷에서 이용자들이 직접 참여해 만든 온라인 백과사전을 찾아냈다. 다행히 공유씨가 찾는 주제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과 사례가 있어 발표 준비가 한층 수월해졌다.

지식을 공유하자, <위키피디아>

‘위키피디아’는 이용자들의 자발적 참여와 협동으로 결과물을 생산하는 온라인 백과사전이다. 사전에 등록된 항목들은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되고 수정된다. 지식공유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위키피디아’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을 통해 내용물의 수준과 신뢰성을 확보했다.

 

1시

오후 1시, “점심 식사 후 쉬는 시간,
이번 주에 빌린 새 운동 기구로 자기 관리를 철저히!”

▶물건을 공유하자, <빌리지>

<빌리지>는 개인 간의 물품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자신이 빌려주고 싶은 물품을 등록할 수도 있고 필요한 물건을 기간에 따라 빌릴 수 있다.

 

3

오후 3시, “PPT 만들기, 어렵지 않아요”

대학 시절 한번도 발표 자료를 띄워 프레젠테이션을 해본 적 없는 공유씨. 운 좋게 매번 발표를 피할 수 있었는데 이번 만큼은 빠져나갈 수 없다. 공유씨가 발표 자료를 만드는 것에 애를 먹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공유씨는 비교적 쉽게 발표 자료를 만들었다. 다양한 파워포인트 자료를 공개하는 사이트를 찾았기 때문이다. 공유씨는 이 사이트를 활용하여 파워포인트 소스를 얻었을 뿐만 아니라 소개된 우수 프레젠테이션을 보며 발표 준비를 수월하게 할 수 있었다.

발표 자료를 공유하자, <슬라이드쉐어>

‘슬라이드쉐어’는 프레젠테이션을 공유하는 세계 최대 커뮤니티이다. 매일 다양한 주제의  ‘슬라이드쉐어’에서는 매일 다양한 주제의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가 공유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다운로드해서 보관, 활용할 수 있다.

 

4

오후 5시, “저작권 문제 없는 이미지, 어디에서 찾지?”

PPT 작업이 막바지에 이른 공유씨는 이제 슬라이드 내용에 어울리는 이미지들을 찾기 시작했다.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만 만들면 이미지는 쉽게 찾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이미지가 많지 않다. 눈 한번 딱 감고 캡쳐를 하고 싶지만, 팀을 대표하는 외부 회의이니 신경이 쓰인다. 공유씨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Creative Commons Lisence, 이하 CCL)가 적용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 저작권 문제가 없는 이미지를 찾았다. 이것으로 오늘 발표는 안심이다.

콘텐츠를 공유하자, <Let’s CC>

‘let’s CC‘는 자신의 창작물에 대하여 일정한 조건 하에 다른 사람의 자유로운 이용을 허락하는 내용의 라이센스인 CCL이 적용된 다양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이용목적(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인지 또는 수정해 쓸 것인지)을 선택하고 키워드로 검색하면 이미지, 음악, 동영상, 문서 등 다양한 콘텐츠를 찾을 수 있다.

7시

오후 7시, “퇴근 시간, 카셰어링을 이용해서 빠르게 약속 장소에 도착!”

자동차를 공유하자, <카셰어링 쏘카>

<쏘카>는 주택가 및 대중교통 환승이 쉬운 곳에서 필요한 시간만큼 빌릴 수 있는 자동차 공유 서비스이다. 서울시 공식 카셰어링 사업자로 선정되었으며, 현재 150여 개의 서울시 쏘카 존이 오픈 되어있다.

5

오후 8시, “나의 경험도 공유해 볼까?”

발표 준비를 마치고 퇴근하는 길, 공유씨는 자신의 경험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회사 근처 카페로 향한다. 입사 후 살을 많이 뺀 공유씨에게 얼마 전 한 후배가 다이어트 비법이 무엇이냐고 물은 것이 계기가 되어 여러 사람과 자신의 다이어트 경험을 공유해보기로 결심했기 때문이다. 마침 개인의 소소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사이트를 발견해서 공유씨의 경험을 궁금해 하는 사람들과 함께 첫 번째 모임을 하게 됐다.

경험을 공유하자, <위즈돔>

‘위즈돔’은 경험을 나누는 사람과 경험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연결하는 경험 공유 플랫폼이다. 자신의 취미부터, 직업, 관심사까지 다양한 주제의 모임이 개설되어있다. 누구나 모임을 개설할 수 있으며 누구나 모임에 참여할 수 있다.

 

6

오후 10시, “나의 사진을 공유해 보자!”

공유씨의 모임은 성공적이었다. 다이어트 경험에 귀 기울이는 참가자들의 마음을 잘 알기에 하나라도 더 공유하고 싶다. 그래서 이번에는 자신의 다이어트 과정 사진을 사진 공유 사이트에 올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의지를 북돋아 주기로 다짐했다. 소소한 공유의 실천이지만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 뿌듯하다.

사진을 공유하자, <플리커>

‘플리커’는 세계 최대 사진 공유 사이트로 전 세계인이 하루 약 150만 장의 사진을 업로드한다. 사진을 업로드 할 때 CCL 표시 기능을 제공한다. ‘플리커’ 사이트 에서는 CCL을 표시하여 사진의 허용 조건을 명시하고 다른 이용자들에게 알려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CL이 붙은 사진을 검색할 수도 있다.

글 / 박 선  그림 / 김애영


출처: 공유허브 http://sharehub.kr/story/19293

Posted by insightalive
,

사무실에서나 집에서나 와이파이는 어쩌면 그냥 주어진 부분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현명한 기업들은 무료 와이파이 엑세스 제공을 통해 기업의 방문 경험의 질을 개선시키기도 한다.

이들 기업들은 무료 와이파이 엑세스 제공을 통해 할인이나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들이나 방문자들이 잠시 동안 와이파이를 사용하고 대기 시간을 생산성 높은 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무료 와이파이 서비로로 인해 그 기업을 다시 방문하고 싶어질 지도 모를 일이다.

다음의 내용을 통해 4곳의 기업이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와 이것이 고객들에게 어떻게 도움을 주고 있는지 살펴본다.

보스턴 발레(Boston Ballet) : 학생들의 접근성 향상
보스턴 발레(Boston Ballet)가 3곳에 무료 와이파이 엑세스를 설치하기 전까지 학생들과 부모, 방문객들은 가장 센 신호를 찾아 돌아다니며 인터넷이 접속되길 바래야 했다. 이제 그들은 그러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당시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무용 기업이자 교육업체인 보스턴 발레는 4년 전 주요 교습소에 직원들과 무용수를 위해 제한적으로 와이파이를 추가했다. 그러나 이 정책은 이후 확대됐다. 2013년 초반에 보스턴 발레의 도시지역 교습소에 와이파이가 설치되었고 같은 해 10월 직원들과 무용수들을 위해서 도시 이외의 외곽지역에도 와이파이가 설치되었다.

초기 3개의 교습소에서 나타난 네트워크 연결 작업은 학생, 부모, 방문객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고 보스턴 발레의 IT전문가인 나단 버락은 전했다. “우리는 학생 및 부모들에게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이들은 교육과 사업적 목적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라고 그는 말했다.

대기 중에 자신의 일을 처리하고자 하는 학생이나 부모들에게 있어 이러한 무료 와이파이 시스템의 도입은 데이터 요금제가 소진될 걱정이나 가장 강력한 와이파이 신호를 찾게 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버락은 외부 교육과정을 듣는 학생들을 언급하며 “이 프로그램은 별도의 교육과정을 성취중인 학생들에게 있어서 분명히 도움이 된다”라고 말했다..

와이파이 유지에는 1년에 6,000달러가 소요된다. 이는 ISP 프로바이더, 안티바이러스 및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치플 포함한 계획이다.

락킹점프(Rockin’Jump) :시간 �箜梨�좋은 트램펄린
트램펄린 놀이공원인 락킹점프는 와이파이를 무료로 제공한다. 물론 트램펄린을 즐기는 사람이 와이파이 접속을 절실히 필요로 하지는 않을 것이다.

“대부분의 트램펄린 공원은 아이들에 맞추어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우리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고안되었다”라고 락킹점프의 CFO인 드류 윌슨은 말했다. 그는 점프 공간 이외에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더 주목했다며, 대기 중인 부모들에게 와이파이 서비스는 매력적이라고 전했다.

그는 ”우리에게는 좋은 음식도 있고 청결하다. 부모들은 자신들에게 주어진 일을 하며 아이들은 그 나이 때에 경험해야 하는 운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라고 말했다.

 

이제 이 회사는 4가지 영업장소가 있으며 12개 이상의 프랜차이즈 영업장이 있다. 와이파이는 각 장소에 모두 설치될 예정이다. 설치비용은 장소마다 매년 75달러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윌슨은 전했다.

그는 “부모가 의사결정을 내린다. 부모들이 우리의 영업장을 편안하게 느끼도록 만들 것이다”라고 말했다.

시어스(Sears) : 물리적 공간을 넘어선 쇼핑
400개의 시어스 영업장에는 이제 와이파이가 갖추어져 있다. 이들의 의도는 고객의 전반적 쇼핑경험의 질을 향상시켜 고객들이 해당 유통업체에 방문 하는 것 이상의 경험을 하게 만드는 것에 있다. 회사의 리나 문잘은 “무선 모바일 기술을 매장에 도입하면 고객들은 편리하고 통합된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라고 말했다.

그러한 과정에서 고객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해 웹을 탐색하고 제품 리뷰를 보고 매진된 시어스 제품을 찾을 수도 있다. 만약 고객이 시어스 로열티 프로그램의 회원이라면 쿠폰을 내려 받아 점포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문잘은 시어스는 고객 활동 추적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자사의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동안 고객이 어떠한 물건을 사는지 등을 추적하고 있지 않다고 전했다.

문달은 프로그램 운영에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에 대해서는 답변을 회피했지만 시어스가 더 많은 점포에 무료 와이파이를 확대하고자 한다는 말을 전했다.

퍼블릭스(Publix) : 빠르고 손쉬운 식료품 리스트
플로리다, 조지아, 알라바마, 사우스 캐롤라이나, 테네시 주에 있는 식료품 체인인 퍼블릭스(Publix)는 2012년 전체 점포에 무료 와이파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해당 기업이 이를 설치한 이유는 고객들이 점포 내에서 신속정확하게 정보에 접근해야 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퍼블릭스 홍보팀의 마리아 브로우스는 “고객들이 자신들의 쇼핑리스트를 생성, 수정, 저장할 수 있게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 프로그램은 ‘내 식료품 목록’으로 불리우며 매장 내의 제품의 위치를 알려주고 매대의 제품을 쇼핑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브로우스는 “만약 고객이 쇼핑리스트를 만들었지만 출력하지는 않은 경우 이들에게는 와이파이 엑세스가 필요로 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

퍼블릭스는 많은 고객들이 건강에 대해 심히 염려하는 점을 간파했다. 와이파이 접속을 제공하면 소비자는 제품 제조사의 웹사이트를 조회하여 해당 정보를 참조하거나 QR코드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시어스와 마찬가지로 퍼블릭스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취득된 고객 정보를 수집 추적하지 않는다고 전하며,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비용에 대해 공개하지 않았다. ciokr@idg.co.kr


 

출처: http://www.ciokorea.com/news/20140?page=0,1

Posted by insightalive
,

몸만 합치고 독립성 유지… 양질의 콘텐츠 생산
로엔엔터, 스타쉽엔터 지분 70% 매입 자회사 편입
SM엔터, 울림엔터 합병… 소속뮤지션 인지도 활용
큐브엔터, 에이큐브ㆍ뮤직큐브ㆍ큐브DC 독자 운영 

박소영 기자 cat@dt.co.kr | 입력: 2014-02-09 19:55
[2014년 02월 10일자 18면 기사]


[알아봅시다] 엔터테인먼트업계 `레이블화`


최근 엔터테인먼트 업계가 레이블 체제를 통해 콘텐츠 경쟁력을 키우는 `따로 또 같이' 전략이 한창입니다. 잠재 성장력을 갖고 있는 중소 엔터테인먼트 기업과 대형 엔터테인먼트의 인수합병(M&A)을 통해 자금과 네트워크를 확보하는 동시에 각자의 독립성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특색을 살린 양질의 콘텐츠를 강화해 나갈 수 있다는 취지입니다. 

이를 통해 자신만의 음악적 색깔을 가진 중소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콘텐츠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글로벌 시장 진출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 특화된 전문성을 바탕으로 각 영역의 레이블을 구성, 음악의 완성도를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움직임도 점차 보입니다. 이처럼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불고 있는 독립적인 레이블화 열풍은 전 세계에 불고 있는 한류 바람의 새로운 원동력이 되는 동시에 케이팝(K-pop)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로엔엔터테인먼트, 멀티 레이블 체제 일환으로 스타쉽엔터테인먼트 투자 결정=로엔엔터테인먼트는 글로벌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고 콘텐츠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9월부터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및 제작사업을 멀티 레이블 체제로 전환하며 본격적인 레이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로엔트리 레이블'과 새로 영입한 작곡가 신사동호랭이를 주축으로 하는 `콜라보따리 레이블'을 각각 설립한 것입니다. 로엔트리에는 아이유, 써니힐, 김석훈 등이 콜라보따리에는 지아, 피에스타 등이 속해있습니다.

멀티 레이블 체제 이후 로엔은 지난해 12월 스타쉽엔터테인먼트 지분 70%를 매입해 자회사로 편입시켰습니다. 스타쉽엔터테인먼트는 씨스타, 케이윌 등 탄탄한 가창력과 스타성을 겸비한 아티스트들과 기획력으로 크게 주목을 받은 기업입니다.

이번 투자를 계기로 로엔은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사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케이팝 비즈니스 시스템을 강화하는 한편,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해 한류 세계화에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타쉽 투자 외에도 지속적으로 제작 역량이 뛰어난 제작자와 기획사에게 폭넓은 기회를 제공할 방침입니다. 앞으로 로엔은 각 레이블별 독창성이 반영된 콘텐츠 경쟁력과 비즈니스 시스템과의 결합을 통해 케이팝 한류 열풍을 이끄는 글로벌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자리매김한다는 구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SM엔터테인먼트, 울림엔터테인먼트와 인수합병=SM엔터테인먼트 역시 아시아를 대표하는 메이저 음악 그룹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본격적인 레이블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SM C&C는 인피니트, 넬, 테이스티 등이 소속돼 있는 울림엔터테인먼트를 합병해 기존 SM엔터테인먼트의 음악과 차별화 되는 독자적인 울림 레이블(Woolim Label)을 운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향후 울림 레이블은 음악적으로는 독자적인 색깔을 가져가고 다양한 뮤지션과 아티스트들을 배출할 예정이며, SM엔터테인먼트, SM C&C 및 글로벌 계열사들과의 긴밀한 사업관계를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울림 레이블이 보유한 아티스트인 인피니트, 넬, 테이스티 등의 글로벌 인지도에 SM엔터테인먼트그룹이 보유한 글로벌 사업역량 및 네트워크가 접목될 경우 그룹 전체의 매출 및 이익구조 또한 개선될 것으로 점쳐집니다.

큐브엔터테인먼트, 독립적인 음반ㆍ음악 레이블 운영=포미닛, 비스트, G.NA 등을 배출한 큐브엔터테인먼트는 독립적인 음반레이블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와 큐브DC, 음악담당 레이블 뮤직큐브를 함께 운영하며 전문성 강화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에이큐브는 큐브엔터테인먼트의 독립 음반 레이블로, 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이던 마리오가 현재 이적을 마쳤으며, 데뷔를 앞둔 걸그룹 멤버들도 소속돼 있습니다. 또 뮤직큐브는 김도훈, 김형석, 최갑원, 한성호, 황세준 등 국내 대표 프로듀서 및 작곡가, 작사가 등이 소속돼 있습니다. 이들은 음원 퍼블리싱 및 프로듀싱 역할을 하며, 녹음 및 제작 서비스, 작곡 및 음반 기획 서비스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큐브엔터테인먼트는 이들이 설립한 에이전시, 엔터테인먼트, 실용음악학원 등과 연계해 인재 양성 및 배출에 힘쓰며, 종합적인 음악 전문기업으로 변신하려는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레이블은 본사의 자본력과 시스템을 바탕으로 음악적 특성을 유지하고 본사는 다양한 콘텐츠를 세계시장에 소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투자 전략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 시장의 규모를 고려할 때 레이블 체제가 본격화되면 몇몇 대형 업체가 시장을 장악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비슷비슷한 아이돌 가수들이 레이블 이름만 바꿔 양산되는 상황에 처할 수도 있고, 오히려 음악적 다양성마저 후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각 레이블의 음악적 색깔을 잊지 않는 동시에 다양성을 지향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박소영기자 cat@ 

출처: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021002011831795002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