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박원주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최근 들어 TV에서 방송되는 아버지의 자녀양육 프로그램들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방송에 출연하는 아버지들은 비교적 활발한 직업 활동을 하고 있는 남성들로, 이들이 3, 4세 혹은 만 1세 미만의 아이와 긴 시간을 보내는 모습은 여러 가지 면에서 보는 이들의 흥미를 유발한다. 시청자들은 양육의 문외한인 아버지들을 보면서 잘해낼 수 있을지 의심과 호기심을 갖기도 하고, 좌충우돌, 진땀을 빼는 모습을 보면서 양육의 어려움을 이해받기도 하며, 남편이 해주지 못하는 역할에 대한 대리만족을 경험하기도 할 것이다. 그렇다면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그 자체로 우리 사회에서 새로운 주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신선한 시도로 받아들여지고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한 답은 우리 주변의 여러 가정의 모습을 통해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가정에서의 부모 자녀 간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주로 어머니가 아이와 소통하고 필요를 파악한 이후에, 아버지가 할 수 있는 역할을 부탁하는 형식을 띠고 있는 경우가 많다. 즉 아버지가 주도적으로 직접 아이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를 통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양상은 아이가 어릴수록 더 두드러진다. 특히 자녀가 유아기일 때, 대부분의 아버지들에게 있어 아이의 언어는 판독 불가능한 외국어에 가깝다. 뿐만 아니라 자녀가 아동기가 되어도 많은 아버지들이 아이의 마음을 읽지 못해 사소한 일에도 결국 다투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즉,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있어 어머니의 존재는 필수적이며, 아버지는 어머니를 통해 양육자로서 해야 할 일을 이해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TV 프로그램처럼 양육의 보조자가 아닌 주도자로 어머니 없이 아버지 혼자 아이를 양육하는 것은 그 자체로 큰 도전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유아를 둔 아버지들에게는 매우 큰 부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아버지와 자녀 간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어디서 기인하는 것일까? 단지 평소에 아이와 함께 보낸 시간이 부족해서일까?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능력에 있어 남녀 간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닐까?
Lambrecht, Kreifelts, 그리고 Wildgruber(2014)는 사람들의 다양한 표정을 보여주고 이들의 정서를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실험을 한 결과, 여성이 남성에 비해 타인의 정서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능력이 뛰어남을 보고했다. 특히 비언어적 단서를 통한 정서인식능력, 예를 들면 상대방의 표정을 통해 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거나, 목소리의 높낮이, 강약과 리듬감 등의 운율을 통해서 감정을 읽고 파악하는 능력에 있어 여성이 우위를 보였다. 심지어 이러한 성차는 유아와 아동 및 청소년기에도 나타난다고 했다. 즉 여성은 상대방이 언어를 통해 자신의 정서를 정확히 표현하지 않더라도 그의 표정과 말투, 목소리 등을 통해서 이해하는 능력이 더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어머니가 나이 어린 자녀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서인식능력의 차이는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의 차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Schulte-Rȕther, Markowitsch, Shah, Fink, 그리고 Piefke(2008)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공감능력이 좋고, 사회적 민감성이 뛰어나다고 했다. 즉, 여성은 남성에 비해 다른 사람의 정서와 내적 경험을 이해하고 그의 시각에서 상황을 볼 수 있는 능력이 더 우세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여성의 공감능력은 아이들이 표현하는 언어 이면의 마음을 이해하도록 해주며, 아이들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스스로를 더 잘 이해하게 될 뿐 아니라 짜증, 화, 슬픔 등의 부정적 정서로부터 더 쉽게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정서인식 및 공감능력은 자기의사를 언어를 통해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유아 및 아동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양육자의 이러한 능력은 자녀와의 의사소통 이상의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즉, 유아는 주 양육자가 자신의 정서적 욕구를 정확하게 알아차리고 반응할 경우 안전과 보호의 욕구가 채워지고 안정애착을 형성하게 된다. 아이의 안정애착은 이후 성장과정 및 성인기의 대인관계 경험 및 주관적 안녕감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아이들이 어머니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고, 소통이 더 잘 되는 것은 여성들의 이러한 정서인식 및 공감 능력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성의 사회참여가 증가하고 양육에 있어 아버지의 역할이 점점 더 강조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많은 아버지들이 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을 늘리고 좋은 아버지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아이들과 좋은 관계를 갖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 제시는 부족하다. 양육자로서 필요한 자질에 있어 남녀 간에 차이가 있다면, 이를 이해하고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도움 없이 단지 노력하라고만 한다면 아버지들은 좋은 양육자가 되는 길을 찾지 못하고 좌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남성들이 좋은 양육자로 준비되기 위해서 본인의 입장에서 좋다고 생각되는 것을 아이에게 요구하기보다는 자녀의 표정과 목소리, 말투를 이해하고 정서를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도록 하는 것이 있다. 또한 아이의 입장에서 마음을 이해하고 아이가 처한 상황을 알아가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럴 때 아이와 심리적으로 보다 더 친밀하고 편안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좋은 아버지가 되는 데에 한걸음 더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Lambrecht, L., Kreifelts, B., & Wildgruber, D. (2014).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 recognition: Impact of sensory modality and emotional category. Cognition and emotion, 28(3), 452-469.
  • Schulte-Rȕther, M., Markowitsch, H. J., Shah, N. J., Fink, G. R., & Piefke. M. (2008). Gender differences in brain networks supporting empathy. NeuroImage, 42, 393-403.
  • 글. 박원주
  • 연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동대학원에서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집단주의 사회의 눈치 등에 관한 논문들을 발표하였으며, 현재 성인애착, 문화성향과 심리적 적응 등에 관한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다.


출처: http://webzine.kpsy.co.kr/2016autumn/sub.html?category=14&psyNow=13&UID=176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