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채널없는 방송국의 등장‘이란 글을 썼었다. 온라인스트리밍서비스인 넷플릭스 같은 회사들이 자체제작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시작하고, 많은 사람들이 애플TV, 크롬캐스트 등을 이용해서 케이블TV에 의존하지 않고 스트리밍으로 TV를 즐기기 시작한다는 내용이었다. 즉, 채널은 없지만 기존 방송국 못지 않은 영향력을 가진 회사들이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번주 업데이트를 통해 ‘VEVO’가 애플TV에 추가됐다. 이것이 또다른 채널없는 방송국의 예가 아닐까 싶어 간단히 소개해본다.
VEVO는 Hulu의 성공에 자극받아 유니버설뮤직, 소니뮤직 등이 유튜브(구글)과 손잡고 2009년 시작한 뮤직비디오전문 온라인스트리밍서비스다. MTV의 온라인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처음에는 대부분의 뮤직비디오를 유튜브플렛홈을 통해서 서비스하는 방식으로 세를 키워왔다. 한국서는 동영상플레이가 제한되어 있어서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미국을 비롯해 영국, 브라질, 프랑스 등 세계 12개국까지 서비스지역을 확대했고 iOS, 안드로이드, 구글TV, 로쿠, X박스 등 웬만한 플렛홈을 다 지원한다.
다만 이 서비스는 음악비디오를 플레이해서 보는 것 뿐이었는데 올해 3월부터 VEVO TV를 시작했다. 자체 프로그래밍으로 24시간 방송을 시작한 것이다. 사실 MTV와 거의 다를바가 없다. 그런데 온라인서비스라고 무시하면 안된다. 이제 시작한지 만 4년을 채우는 이 회사가벌써 작년 매출이 2억불, 즉 2천2백억원쯤 된다. (TV조선, JTBC, 채널A, MBN 등 한국의 종편 4사의 지난해 매출액 합계인 2264억과 비슷하다. 출처)
“VEVO가 애플, 삼성과 자체 프로그래밍 딜을 진행하고 있다”는 최근 WSJ 기사를 보면 VEVO가 애플TV플렛홈, 삼성스마트TV플렛홈에 앱을 출시해 온디맨드로 자체프로그래밍을 제공하려고 한다고 나와있다. 특히 “VEVO는 장차 케이블TV에 채널을 갖기를 원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케이블TV회사들과) 딜을 성공하지 못했다”라고 나와있다. 어떻게 보면 온라인에서 성장한 다음, 꺼꾸로 TV채널로 진입하는 전략이다.
어쨌든 집의 애플TV를 확인해보니 정말 VEVO가 막 들어왔다. 자세히 보면 앱형태로 이미 많은 방송들이 들어온 것을 알 수 있다. Qello는 음악공연전문앱, WSJ Live는 월스트리트저널의 동영상보도앱 등이다.
메뉴를 보니 장르별로 뮤직비디오를 볼 수 있기도 하고 VEVO TV를 선택해 그냥 방송처럼 즐길 수도 있다. VEVO TV를 선택해서 한 한시간쯤 틀어놨는데 화질도 케이블TV HD로 보는 것과 똑같고 끊김도 없다. MTV보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채널없는 방송국들은 이처럼 유튜브와 각종 디바이스를 숙주로 이렇게 우후죽순 생기고 있는 중이다. 구글은 막강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이런 미디어들을 키우고 있다.
위 동영상에 나오는 유튜브 스페이스 LA처럼 콘텐츠제작자들이 무료로 마음껏 고품질 동영상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어 세계 곳곳에서 지원하고 있다. 괜찮은 회사들은 직접 투자한다. VEVO에도 지난달에 한화 약 500억가량을 투자했다.
이런 트랜드는 물론 미국얘기다. 브로드밴드 속도가 한국에 비하면 바닥을 기는 미국이 이럴진대 IT초강국 한국엔 이미 많이 채널없는 방송국들이 나왔어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 이런 시대에 채널번호라는 사업권 하나 얻자고 수천억을 쏟아붓는 것이 맞는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든다.
출처:
'BMI > BM Innov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46] 애플, 야후, 네이버 사례를 통해 본 사내갈등과 기업가치의 상관관계 (0) | 2013.09.14 |
---|---|
[스크랩] 그린버그, 7년 만에 ML 두 번째 타석 선 사연 (0) | 2013.09.11 |
[스크랩] 한국의 새로운 스타트업산실, D.캠프 (0) | 2013.08.31 |
[스크랩] [커버스토리] `킬 더 컴퍼니` 저자이자 퓨처싱크 CEO 리사 바델 인터뷰 (0) | 2013.08.31 |
[스크랩] [UP UP Session] "스타트업 후배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 - 김범수 의장님 강연 (0) | 2013.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