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리뷰] 속물들 위로하는 <태양의 후예>, 대한민국에 이런 군인은 없다


  그간 고전했던 KBS 드라마의 구원투수로 등판한 <태양의 후예>.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지만, 이 드라마를 자세히 뜯어보면 불편한 구석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 KBS

관련사진보기


김은숙 작가의 <태양의 후예>가 침체했던 KBS 드라마 부활의 신호탄을 올렸다. KBS 드라마국이 야심 차게 선보인 장혁 주연의 사극 <장사의 신-객주 2015>는 같은 시간대 SBS의 드라마에 고전했다.

하지만 <태양의 후예>는 명예회복에 성공했다. 3월 동시에 시작한 SBS의 <돌아와요 아저씨>를 가볍게 물리치고 14.3%로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는가 싶더니, 무려 3회 만에 20%를 넘는 시청률로 고전했던 KBS 드라마를 구제한다. "역시 김은숙"이라는 감탄이 나올 만하다.

지난 2004년 최고 시청률 57.6% <파리의 연인> 이후로 김은숙 작가는 <온에어>(2008), <시크릿 가든>(2010), <상속자들>(2013) 까지 지난 10여 년간 언제나 '베스트셀러'의 무게를 견디며 '왕좌'의 자리를 지켜왔다. 시청자의 마음을 사로잡은 <태양의 후예>의 매력은 무엇일까?

관음, 웃통을 벗어던진 군인의 몸을 보라

  식스팩의 조각 몸매를 자랑하는 군인들이 단체로 나와서 웃통을 벗는다. 군인들의 근육은 그렇게 '전시'된다. 시청자의 관음증을 만족하는 이 '아름다움'이여. 
ⓒ KBS

관련사진보기


이슬람권 가상 분쟁 지역인 우르크를 배경으로 풀어지는 강모연과 유시진의 사랑 이야기는 풍광이 아름다운 지중해의 나라, 그리스에서 촬영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에메랄드빛 바다, 그 바다만큼이나 맑은 하늘 그리고 그 공간을 채운 폐허. 이러한 공간적 배경은 그 자체로 '사랑'에 빠지기 좋은 장치가 된다.

멋진 풍광, 비극을 잉태한 국제 분쟁, 거기에 끼인 두 순수한 열정의 젊은 남녀 그리고 그 젊은이의 사랑을 한껏 더 아름답게 만드는 두 주인공의 사랑 이야기. 하지만 김은숙 드라마의 본질은 따로 있다.

병원 이사장에게 밉보여 우르크 의료 봉사단으로 발령이 난 강모연 일행. 우르크에서 첫날을 맞이한 이들을 맞이한 것은 바로 우크르에 주둔하고 있는 유시진(송중기 분)의 모우루 중대였다. 웃통을 벗어제친 채 건강한(?) 몸으로 구보하는 유시진의 수하 병사들이다.

강모연과 측근들은 그런 그들에게 시선을 빼앗긴다. 심지어 유시진에게 시야를 가리지 말라고 부탁할 정도다. 바로 이 장면, 두 눈 크게 뜨고 웃통을 드러낸 근육남을 한껏 관음하는 이 시선. 이것이야말로 시청자들이 김은숙 드라마에 빠지는 본질을 가장 잘 드러낸 명장면이 아닐까?

군인, 아름다운 송중기가 미화하는 현실

  아름다운 풍광의 배경에서, 절정의 미모를 자랑하는 남자와 여자. 특히나 아름다운 군인 송중기는, 군대 자체를 아름답게 보이게 한다. 그러나 이토록 아름다운 대한민국 군대는, 대한민국과 우르크의 거리만큼이나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 
ⓒ KBS

관련사진보기


<태양의 후예>를 시청하는 이들이 보이는 반응에는 여러 정류가 있지만, 그 중 공통적인 것을 몇 가지 추려보자면 다음과 같다. '군인이 멋지다', '송중기가 멋지다', '우르크가 아름답다'. 이 감상들은 '멋지다', '아름답다'로 귀결된다. 그런데 이 아름다움과 멋짐이 꽤 불온하다.

그 누구도 잘생긴 송중기가 연기하는 유시진 대위의 하얀 얼굴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지난 몇 회를 통해 보건대, 육사 출신의 유 대위는 대한민국에서는 경험하기 힘든 생사고락을 야전에서 굴러먹었다. 그런데 그의 수하 서대영(진구 분)이나 여타 군인들과 다른 그의 외모에 대해 감탄을 할지언정,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는 않는다. 그래, 제아무리 전장을 헤매고 훈련을 거듭해도 철저한 자기관리 혹은 이상체질 덕분에 아름다움을 유지했다고 하자.

문제는 그 아름다운 군인 송중기의 사랑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위해 묘사하는 대한민국 부대의 활약상이 불온하다는 점이다. '테러 방지법' 통과를 두고 국회의원들이 밤을 새워서 국회 연단을 지켰고, 하루가 멀다고 각종 미디어에서는 북한의 도발과 관련된 각종 기사가 도배되고 있는 이즈음 아닌가. 이때 가장 인기 있는 주중 미니시리즈가 군인이, 그것도 가장 멋진 군인이, 군대에 대한 로망을 한껏 부풀리며 사랑하는 이야기이다. 1970년대 간첩 잡는 실화 극장은 저리 가라 할 정도의 국책 드라마 아닌가? 사전제작 드라마라고는 하지만, '국방홍보 드라마'라고 비아냥대는 일부 시청자의 시선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그 부대가 활약하는 곳이, 대한민국이 아니라 가상의 이슬람 국가 우르크다. 그곳에서 가장 인본주의적이고 평화를 사랑하는 군대로 유시진의 군대는 등장한다. 특전사인 그의 부대는 미군과 힘겨루기에서도 절대 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어리석은 이슬람 국가와 미국의 신경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이슬람 정부 요인의 목숨을 구하는 데 솔선수범한다. 진정한 정의를 실현하는 군대! (드라마는 전시작전지휘권도 없는 한국의 민망한 처지를 포장하기 위해, 이슬람 주요 인사가 '우연'한 사고로 유시진의 부대에 불시착하는 미덕마저 발휘한다.)

드라마는 자주국방도 제대로 실현하지 못하는 대한민국의 상처 난 자존심, G20에 속하게 되었지만, 선진국으로서의 삶과 질을 담보하지 못한 대한민국의 꺾인 자부심을 한껏 애무하고 드높인다.

대상화, 철저하게 소외된 이슬람

  누군가의 가장 불쌍한, 가장 비참한 모습을 나열하는 묘사. 이슬람 아이들은, 이슬람 국가는 그렇게 대상화된다. 대한민국 군인의 위상을 드높이고 남녀 주인공의 사랑을 더 아름답게 묘사하기 위해 우르크는 철저하게 희생된다. 
ⓒ KBS

관련사진보기


그런데 이 드라마는 군인들의 액션 어드벤처가 아니다. 제아무리 유시진이 자신의 군인 생명을 내걸고 작전을 수행하고, 강모연이 불가능한 수술을 감행한다 해도 결국은 그 모든 것이 두 사람의 사랑을 맺어주기 위한 '장치'라는 것을 시청자들은 안다. 그래서 시청자들은 마음 편하게 드라마 속 국제적 위기와 군대 내부의 갈등을 지켜본다. 오히려 특전사 사령관을 아버지로 둔 윤명주(김지원 분)와 겨우 특전사 상사에 불과한 서대영의 신분을 초월한 사랑이 더 애절하게 다가올 만큼.

문제는 그렇게 고스톱을 짜고 치는 과정에서 가상의 이슬람 국가와 그 국민이 대상화되었다는 점이다. 극 중 유시진 대위는 '아이와 노인과 미인은 보호해야 한다'는 좌우명을 가진 사람이다. 그의 이런 좌우명을 멋들어지게 드러내기 위해, 지뢰밭에서 마구 뛰어노는 우르크의 아이들이 '사용'된다. 심지어 그 아이들은 먹을 것도 아닌, 납이 잔뜩 든 쇠붙이를 빨기까지 한다. 그렇게 무방비하게 뛰어놀던 아이들은 한술 더 떠서, 유시진의 부대에 와서 먹을 것을 구걸하고, 그러다 납 중독으로 인해 응급 상황을 만든다.

잘생긴 군인과 아름다운 의사가 마음껏 사랑할 계기를 만들어주기 위해, 점령지의 아이들은 최대한 비참한 모습으로 표현된다. 그들의 구질구질함과 구차함은 흡사, 6·25 전쟁 당시 미군을 향해 "Give me a gum"을 외치던 우리의 아이들과 같다. 그 시절 미군의 눈에 비쳤던 가난하고 불쌍했던 우리의 모습을, 드라마는 이제 타국의 아이들을 통해 그대로 재현하며 '보상'받는다. 마치 '이제 우리도 너희를 도울 수 있을 만큼 살 만해'라고 자화자찬하듯, 6·25 이후의 미국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도 그 수준으로 성장한 것마냥….

솔직히 드라마가 시작하자마자 첫눈에 반하다시피 한두 사람인데, 어차피 사랑에 빠질 이들을 위해 굳이 이국의 아이들을 대상화시키면서까지 이야기를 진행했어야 할까. 그렇게 가난한 아이들을 상대로 한껏 폼을 잡으며 사랑의 계기를 만들던 두 사람은 이제 한술 더 떠 이국의 정부 요인을 치료하며 사랑을 다져간다.

그 누구도 요인의 목숨을 책임지려 하지 않는 상황에서, '노인'을 보살펴야 한다는 사명감이 있는 유시진과 메스를 놓은 지 한참 된 속물 의사 강모연이 뜻을 맞춰 그를 구한다. 상명하복이 중요한, 그리고 외국의 눈치를 봐야 하는 우리 군대의 사정이야 그렇다 치자. 아이들을 넘어서 이제는 우르크라는 가상의 국가조차 생명보다 절차를 중요시하는 굳어빠진 조직으로 대상화한다. 그렇게 두 주인공은 '정의'의 승리를 일궈낸다.

그뿐만이 아니다. 유시진이 이끄는 우르크 중대는 세상에 없는 가장 이상적인 군대다. 오토바이 털이범조차 개과천선 시키는 육사 출신 중대장과 군대 짬밥이 높은 선임 상사 사이는 '브로맨스'인 듯 돈독하다. 중대를 이끄는 책임자가 종종 의료 봉사 온 의사 여자친구와 데이트를 즐겨도 절대 불만을 표시하기는커녕, 일사불란하게 전장에서 그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것을 불사한다. 이 이상적인 군대에서는, 종종 빚어지는 군대 내 왕따나 상명하복의 불협화음은 찾아볼 수가 없다. <진짜 사나이>가 군대와 군대문화의 실상을 가리고 그저 미화하듯이 <태양의 후예>도 마찬가지다.

위로, 속물들을 위한 속물적 세계관

  <국제시장>의 기시감이 느껴지는 장면. 이렇게 속물적인 이들도 사실은 꽤 '정의로운' 구석이 있다. 그 과정에서 국가라는 거대한 체제는(그 국가의 정의로움과 관계 없이) 적극적으로 옹호된다. 속물적인 시청자들이 자기합리화할 수 있게끔 적극적으로 나서는 드라마. 어찌 사랑하지 않을 수 있으랴! 
ⓒ KBS

관련사진보기


이렇게 드라마는 실제 대한민국 사회에서 빚어지는 군대 조직의 현실을 그려내지 않는다. 대신 풍광 좋은 그리스를 이슬람 그 어딘가의 국제 분쟁 지역으로 치고, 거기서 일어나는 국제간 불협화음 사이에서 신출귀몰한 활약을 벌이는 한국 군인의 무용담을 펼친다. 여기에 한술 더 떠 의료 봉사진의 활약까지 얹고, 가장 판타지다운 전장 속의 사랑을 만들어 낸다.

그렇게 시청자의 인식은 호도된다. 외국의 눈치를 보느라 위안부 할머니들 문제조차 구렁이 담 넘듯이 외면하는 폭 좁은 대한민국의 입지는 사라지고 미국과 힘을 겨루는 파견군이 등장한다. 여전히 열악한 환경의 대한민국 병영 대신 그리스의 풍광이 조명된다. 종종 사회면 기사로 등장하는 군대 내 악습과 병폐는 사라지고, 일사불란하게 구호를 외치는 군인의 근육이 전시된다. 그렇게 현실에서 한껏 주눅이 들었던 시청자의 혹은 국가의 어깨를 펴준다. '군인이 이렇게 멋진 줄 몰랐었다'는 말이 안 나올 수가 없다.

어디 그뿐인가. 백옥같은 피부의 군인도, 잘 나가는 의사도 입을 여니 별반 우리와 다르지 않다. 한껏 잘난 체하는 듯하더니, 여자에게 잘 보이고 싶어서라고 말한다. 잔뜩 새침한 거 같더니, 나 이쁘지 않으냐고 묻는다. 때로는 순수했으나 속물이 된 여자의 세태 적응은 익숙하고, 그런 여자를 사랑스럽게 바라보는 남자의 눈빛은 속물로 살아가는 시청자의 존재조차 긍휼히 여기는 듯하다. 군인이든 의사든 사람살이는 다 거기서 거기라는 메시지도 놓치지 않는다.

하지만, 군대에서도 사랑밖에 모르는 남자도, 속물이라는 여자도 결정적일 때는 정의롭고 바르다. 그러니 속물로 살아가고 있는 우리도 본디 그 마음은 순수하고 아름다운 것이라고 '자위'하며 지레 고개가 끄덕여진다. 순수하고 소박한 세계관이다. 속물들을 위해 이보다 더한 위로가 어디 있겠는가.


출처: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187352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