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0번째 이미지
카지노에는 세 가지가 없다고 한다. 창문, 거울, 그리고 시계다. 고객의 관심을 붙들어 매려면 당연한 조치다. 밤을 새워 도박을 하다가 새벽 동이 트는 창문을 보는 순간 사람들은 도박을 멈출 것이기 때문이다. 도박에 지친 자기 자신을 거울로 봤을 때도 마찬가지의 결심을 할 수 있다. 또는 시계를 보고도 그 시간에 정해진 일을 하러 도박장을 나설 수도 있다. 

그런데 백화점에는 카지노와 마찬가지로 창문과 시계는 확실하게 없는데 거울은 도처에 있다. 고객들은 거울을 보면서 현재의 초라한 내 모습을 보고 동시에 손만 뻗으면 닿는 거리에 있는 수많은 화려한 물건들을 본다. 이들이 한껏 치장한 자신을 떠올려 빨리 구입하지 않고는 견디지 못하게 만들기 위해서 거울은 곳곳에 포진해 있다. 심지어 옷을 입기 전 복도 쪽 거울과 매장 안에서 새 옷을 입고 살펴보는 거울의 각도도 살짝 다르다고 하니 백화점은 그야말로 심리학이 활용되는 전쟁터와 같은 곳이 아닐 수 없다. 

카지노와 백화점의 예시는 리더가 언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해 시사점을 준다. 카지노가 세 가지를 모두 볼 수 없게 만드는 것은 이미 사람들이 도박에 ‘몰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백화점에서 사람들이 해야 하는 것은 몰입이 아니다. 순간순간 눈에 들어오는 매장의 수많은 상품들에 대해 살지 말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 둘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거울의 유무로 나타난다. 즉 자아를 보느냐 아니냐의 차이다. 

무언가에 몰입해 있는 사람에게 자신을 순간순간 되돌아보게 하는 것은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몰입을 ‘무아(無我)’의 경지라고 하지 않는가. 하지만 결정은 자기 자신에 대한 들여다봄이 없으면 결코 이루어지지 않는다. 조언과 정보는 타인에게 얼마든지 의존할 수 있지만 결정은 결국 스스로 하는 것이니 말이다. 같이 간 친구들의 구입 권유가 아무리 열화와 같아도 거울 속에 보인 내 모습이 예쁘거나 멋있게 보여야 구입이라는 ‘결정’을 한다. 그러니 리더 스스로든 아니면 자신의 폴로어든 결정을 내려야 하는 순간이 임박했다면 이제 자신을 볼 수 있는 환경으로 스스로를 옮겨야 한다. 거울 앞이든 아니면 혼자 있는 시간이든 자신을 잠시라도 혼자 내버려둬야 한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자, 그렇다면 이제 몰입과 결정의 공통점만 남는다. 카지노와 백화점에서처럼 창문과 시계를 없애는 것이다. 지금까지 얼마나 시간과 노력을 쏟아부었는가는 창문으로 상징되는 진도다. 지금이 무엇을 해야 하는 시점인가는 시계로 상징되는 일정이다. 몰입을 위해선 창문과 시계에 관한 생각을 누군가가 없애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몰입을 위해선 이것 말고 다른 방법도 있다. 바로 회의다. 그래서 아무 생각이나 고민 없이 회의를 ‘촘촘’하고 ‘주기’적으로 하는 것은 몰입을 즐기는 사람이나 몰입이 필요한 상황 모두에서 극히 위험하다. 특히 조직이 몰입해야 할 때는 위험이 뒤따르기 때문에 그 일에 ‘미쳐’ 주는 소수가 필요한 때다. 이런 일은 리더가 몰입조와 지원조로 나눠야 한다. 그리고 지원조는 몰입조를 대신해 창문과 시계에 관련된 이른바 루틴(routine)한 일들을 해 줘야 한다. 역시나 대부분 종류만 달리할 뿐 결국 사람이 모이는 회의에 관련된 일들일 것이다. 

그렇다면 결정을 위해서든 몰입을 위해서든 사람을 충분히 혼자 있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그렇게 하지 못하는 조직과 리더십은 무언가를 하고 있다는 자기만족만 가질 뿐 실제로 깊게 무언가를 하는 일은 거의 없다. 위험이 뒤따르는 일에 몰입을 시키려면 회의실로 부르지 말아 줘야 하며 비용이 뒤따르는 결정을 위해서는 잠시라도 회의실 밖으로 내보내 줘야 한다. 

[김경일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421559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