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저출산 등 인구구조 변화로 10년 후에는 초·중등교사가 줄어들고, 온라인·모바일 쇼핑이 보편화되면서 상품판매원도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대신 사람 사이를 이어줄 행사기획자나 마음을 치료해줄 상담전문가 수요는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0년 후 직업세계 트렌드를 예측하고 196개 국내 주요 직업의 일자리 증감 여부를 전망한 '2015 한국직업전망'을 21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196개 주요 직업 가운데 △증권 및 외환중개인 △사진가 △상품판매원 △초·중등교사 △용접원 등 32개 직업은 10년 후 줄어든다. 초·중등교사는 저출산으로 학생 수가 줄어들기 때문이고, 증권 및 외환중개인과 상품판매원은 증권 투자나 쇼핑이 모바일로 이뤄지는 것이 보편화되기 때문이다.
반면 △행사기획자 △상담전문가 △산업안전 및 위험관리원 △기계공학기술자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경영컨설턴트 등 96개 직종은 10년 후에 수요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수요가 늘어나는 분야는 우선 공학 분야가 가장 많다.
김동규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로봇, 의료·정밀기기, 3D프린터 등 첨단 분야 등의 글로벌화와 시장 규모 성장으로 관련 엔지니어에 대한 수요가 늘 뿐 아니라 전문화·세분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기계공학기술자, 전자공학기술자, 네트워크시스템개발자, 시스템소프트웨어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환경과 안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해 이 분야의 인력 수요도 따라서 증가할 전망이다. 김 연구위원은 "환경·안전,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 확대로 이 분야의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산업안전 및 위험관리원, 컴퓨터보안전문가, 환경공학기술자, 재활용처리 및 소각로조작원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여가 시간이 늘어나면서 엔터테인먼트와 미용·건강 산업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해 연예인·스포츠매니저, 체형관리사, 레크리에이션 강사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기술 발달의 그늘을 치유해줄 상담전문가, 파편화된 개인을 이어줄 행사기획자, 맞벌이 및 1인가구의 증가로 인해 개인서비스 및 반려동물 관련 직종의 증가도 전망됐다.
[김기철 기자]
한국고용정보원은 10년 후 직업세계 트렌드를 예측하고 196개 국내 주요 직업의 일자리 증감 여부를 전망한 '2015 한국직업전망'을 21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196개 주요 직업 가운데 △증권 및 외환중개인 △사진가 △상품판매원 △초·중등교사 △용접원 등 32개 직업은 10년 후 줄어든다. 초·중등교사는 저출산으로 학생 수가 줄어들기 때문이고, 증권 및 외환중개인과 상품판매원은 증권 투자나 쇼핑이 모바일로 이뤄지는 것이 보편화되기 때문이다.
반면 △행사기획자 △상담전문가 △산업안전 및 위험관리원 △기계공학기술자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경영컨설턴트 등 96개 직종은 10년 후에 수요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수요가 늘어나는 분야는 우선 공학 분야가 가장 많다.
김동규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로봇, 의료·정밀기기, 3D프린터 등 첨단 분야 등의 글로벌화와 시장 규모 성장으로 관련 엔지니어에 대한 수요가 늘 뿐 아니라 전문화·세분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기계공학기술자, 전자공학기술자, 네트워크시스템개발자, 시스템소프트웨어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환경과 안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해 이 분야의 인력 수요도 따라서 증가할 전망이다. 김 연구위원은 "환경·안전,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 확대로 이 분야의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산업안전 및 위험관리원, 컴퓨터보안전문가, 환경공학기술자, 재활용처리 및 소각로조작원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여가 시간이 늘어나면서 엔터테인먼트와 미용·건강 산업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해 연예인·스포츠매니저, 체형관리사, 레크리에이션 강사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기술 발달의 그늘을 치유해줄 상담전문가, 파편화된 개인을 이어줄 행사기획자, 맞벌이 및 1인가구의 증가로 인해 개인서비스 및 반려동물 관련 직종의 증가도 전망됐다.
[김기철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380882
'Insights & Trends > Social/Consum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사회] 결혼 안하는 젊은이들…작년 혼인율 사상최저 (0) | 2015.04.24 |
---|---|
[스크랩/사회/세대/일본] 생계형 아르바이트족, 후리타 (0) | 2015.04.22 |
[링크] 100대기업 CEO 평균내보니…서울대卒 30년간 근속, 경영학 전공한 59.9세 (0) | 2015.04.22 |
[스크랩/경제/서민] 年12조 불법사금융…서민가계 파탄 (0) | 2015.04.21 |
[스크랩/소비/실버] 지갑 닫힌 730만 베이비부머…노령연금보다 일자리를 (0) | 201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