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3명중 1명꼴 약 복용하고, 한파 영향 사망자 1~2월 최다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이번주 올겨울 들어 가장 강력한 한파가 찾아왔다. 날씨가 풀렸다가 기온이 뚝 떨어지면 나이 든 노인이나 고혈압 환자들은 급격한 저온 현상으로 자칫 뇌졸중이나 심장마비로 인한 돌연사 위험이 높아진다. 혈압은 기온이 1도 내려가면 1.3㎜Hg가 올라가는데, 실내외 기온 차이가 20도 이상 나면 혈압이 26㎜Hg 이상 상승하게 된다. 평소 고혈압 환자가 약을 먹는 것을 깜빡하고 온도가 15도인 실내에서 영하 5도 이하인 밖으로 나갈 경우 뇌졸중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임도선 고려대 안암병원 심혈관센터 교수(순환기내과)는 "날씨가 추워지면 피부의 혈관은 더욱 좁아져 심장은 더 큰 압력을 가해야 전신에 피를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 고혈압을 원인으로 하는 합병증이 기승을 부리게 된다"며 "실제로 고혈압 합병증에 의한 사망은 9월이 가장 적고, 1~2월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혈압은 순간순간마다 다르다. 흥분하거나 운동을 하면 올라가고, 쉬고 있거나 잠을 잘 때는 떨어진다. 이처럼 심장의 자동펌프 제어에 의해 혈압이 변동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생리현상이다. 

고혈압은 올라간 혈압이 떨어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현재 고혈압 약을 먹고 있는 우리나라 성인(만 30세 이상)은 10명 중 3명꼴이다. 

고혈압은 대부분 그 원인을 모른다. 혈관 압력이 서서히 올라가므로 가끔 머리가 아프거나 뒷머리가 무겁기만 할 뿐 평소에는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수년이 지나도 위험을 알리는 징후가 없어 '조용한 살인자'라는 별명이 붙어 있다. 

따라서 고혈압인지 모르고 방치하다가 신장, 뇌, 심장, 눈에 합병증을 일으키며 건강을 잃고 고생하거나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120/80㎜Hg 이하 시 정상 혈압이며 140/90㎜Hg까지는 직전고혈압, 수축기 혈압이 140㎜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Hg 이상으로 지속되면 고혈압이라고 한다. 

최유정 을지대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평소 아침 운동을 하지 않았던 고혈압 환자는 가급적 겨울에 아침 운동을 시작하지 말아야 한다"며 "또한 고혈압 및 심장질환을 가진 사람은 피로 회복을 위해 목욕이나 사우나를 할 때도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온탕에서 냉탕으로 갑자기 옮기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 

고혈압은 관리를 하지 못하면 치명적인 심혈관 합병증으로 목숨을 잃을 수 있지만 좋은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 등 생활 습관만 바꿔도 충분히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려면 혈압에 대해 제대로 알고 이해해야 한다. 

박만원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심장내과 교수의 조언을 받아 고혈압의 오해와 진실을 문답으로 풀어본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고혈압, 젊을 땐 안심해도 된다? 

▷고혈압은 크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본태성 고혈압'과 특정한 질환 때문에 생기는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뉜다. 본태성 고혈압은 나이가 들며 동맥벽의 탄력이 떨어지고 딱딱해지면서 혈압이 올라가는 것을 말하는데,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의 80~90%가 이에 해당된다. 이차성 고혈압에 해당되는 질환은 콩팥 질환, 호르몬 분비 이상, 수면무호흡증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어리고 젊은 나이에 혈압이 높은 경우, 특히 30대 미만에서 혈압이 높다면 이차성 고혈압을 의심해봐야 한다. 혈압이 잘 유지되다가 갑자기 혈압이 올라가는 경우도 원인 질환을 찾아봐야 한다. 원인 질환을 찾아서 치료하면 혈압이 떨어지게 되고, 혈압약을 먹지 않아도 된다. 

―혈압이 올라가면 뒷목이 뻣뻣해진다? 

▷혈압이 갑자기 올라가는 악성 고혈압, 즉 수축기 혈압이 180~200㎜Hg까지 올라가면 두통, 현기증, 두근거림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뒷목이 당기는 것은 스트레스와 좋지 못한 자세로 인해 두피와 목 근육이 수축되고 뭉치면서 생긴다. 이럴 때는 적절한 스트레칭과 휴식을 취하면 대부분 좋아진다. 

―고혈압 관리 나트륨은 독, 칼륨은 약? 

▷고혈압과 나트륨의 관계는 상당히 밀접하다. 나트륨 섭취가 많으면 혈압이 올라가고, 섭취를 줄이면 혈압이 떨어진다. 하루 10g의 염분을 섭취하는 사람이 염분 섭취를 절반으로 줄이면 혈압이 4~6㎜Hg 감소한다는 보고도 있다. 반대로 칼륨 섭취는 혈압을 떨어뜨리는 데 도움이 된다. 칼륨을 섭취하면 우리 몸에 있는 나트륨 성분을 몸 밖으로 밀어내게 되고, 나트륨이 나갈 때 수분도 같이 배출되기 때문에 혈압이 소폭 감소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칼륨이 담긴 음식은 고구마, 감자, 케일, 시금치, 토마토, 바나나 등이다. 

―칼륨 섭취는 누구에게나 좋다? 

▷고혈압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생활 수칙 중 하나는 제철과일과 채소를 매일 먹는 것이다. 칼륨을 섭취하는 데 가장 중요한 점은 어떻게 섭취하느냐의 문제로 자연스럽게 음식을 통해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칼륨이 좋다고 알려지면서 간혹 칼륨이 정제된 알약을 먹는 사례가 있는데, 이 경우 고칼륨혈증을 주의해야 한다. 

고칼륨혈증이 생기면 근육마비, 부정맥, 심하면 심장 정지까지 올 수 있는 치명적인 합병증이 생긴다. 특히 칼륨이 배설되지 않는 만성신부전 환자나 투석 환자는 칼륨 섭취를 아주 조심해야 한다. 

―음식 짜게 먹는 한국인, 다른 나라보다 발병률이 높을까? 

▷한국 사람들은 라면, 국, 찌개 등을 많이 먹기 때문에 고혈압 발병률이 다른 나라보다 높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같은 연령대, 남녀 성별로 비교했을 때 고혈압 발병률에는 큰 차이가 없다. 혈압이 나트륨 섭취와 관계가 있지만 그것 하나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고 식습관, 생활환경, 인종적 차이 등이 복합적으로 관련돼 있다. 하지만 소금 섭취는 좋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적게 먹는 것이 중요하다. 고혈압학회에서는 하루 소금 섭취량으로 6g, 티스푼으로 한 스푼 이하로 먹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no=52832&year=2016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