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points & Issues
1) 유니크한 비즈니스 모델
아프리카TV는 국내 개인방송 플랫폼의 대표주자로, SNS의 장점인 양방향성과 소속감에 기초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 온라인게임 사업부의 양도를 통해 SNS플랫폼 비즈니스에 대한 집중도를 높인 상황. 현 매출액 비중 SNS플랫폼 89% 수준으로 절대적. SNS플랫폼의 수익구조는 아이템 : 광고 = 7 : 3이며, 경영진의 관심은 광고 매출액 증대보다는 플랫폼 본질에 집중하고, 유저 니즈에 맞는 아이템을 통한 매출액 증가에 있음. 이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광고매출 역시 증대되는 선순환 구조 지향. 아이템은 크게 별풍선 (현 ARPU 1만원 수준), 퀵뷰 (₩3,900/30일, 유저 보유시 ①광고 Skip, ② 채팅창 참여 가능), 스티커 (BJ 보유 시 ① 채널 노출도 상향, ② 채팅관리 매니져 서비스), 초콜릿 (방송+게임 시너지) 의 4종류로 구성. BJ 인큐베이팅을 통해 유저의 니즈를 만족시키면 해당 팬덤을 통해 BJ와 아프리카TV가 수익을 분배하는 구조. 향후 확장 모델 역시 양방향성과 소통에 기초한 컨텐츠를 통한 확장 계획 중.
2) 신규 비즈니스 지속 진행
MCN (Multi Chanel Network: 콘텐츠를 편집하여 다양한 채널에 서비스함) 사업을 포함한 BJ 대상 매니지먼트 시스템 본격 진행. 아프리카TV의 가장 큰 경쟁력은 SNS기반의 양방향 방송이라는 기본 틀 안에서 비즈니스 모델의 재정비가 끝났다는 점임. 유저의 편의와 설립 목적에 기초하여 수익 모델 역시 광고 위주가 아닌 커뮤니티의 유지에 방향이 맞춰져 있음. 팬 커뮤니티를 기초로 한 기부경제는 소속감을 컨텐츠에 대한 정당한 대가와 연계하면서 유저 충성도를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음. 이는 1월 월 최고 UV 860만, 1Q15 평균 UV 820만의 숫자로 확인되는 상황 (연평균 MUV 추세: 2013년 640만 → 2014년 730만). 특히 개인방송 플랫폼에 대한 인식의 전환 (공중파 프로그램 편성, 다수의 언론 언급 등)을 통해 향후 트래픽 증가 속도는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보임. 4월 23일 스타쉽엔터테인먼트 채널 오픈 역시 아티스트의 개별 방송을 통해 일본 및 대만 진출 등 한류를 통한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음.
Earnings & Valuation:
1Q15 연결기준 매출액 154억원 (+40.5% YoY), 영업이익 20억원 (+21.5% YoY) 당기순이익 20억원 (+50.1 YoY) 시현. KB투자증권 추정 2015년 연결기준 매출액 650억원 (+28.8% YoY), 영업이익 95억원 (+70.9% YoY) 수준 전망. 현주가는 KB투자증권 추정 2015년 PER 기준으로는 43.3X 수준이나, 2014년 기준 UV 당 43,000원 수준이고, 현재 추세 감안 시 이는 더욱 더 낮은 수준임. 이는 주요 SNS 서비스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향후 재평가가 가능할 전망.
Action:
유니크한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유저의 니즈에 충실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2014년 구조조정 이후 바이럴 마케팅을 통해 대중적인 인지도 및 인식의 전환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며, 이로 인한 트래픽의 증가가 가장 두드러짐. 2015년의 경우 컨텐츠 강화를 위해 새로운 컨텐츠 육성 (연예기획사 채널 오픈, 홈쇼핑 방송, 전문직 방송 등) 및 이와 연계된 글로벌 진출 초기단계 (일본 2014년 3월, 대만 2015년 2월, 북미/태국 진입 예정) 진행 등 UV 증가추세 확대를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변곡점으로 보임. 특히 기존에 등한시하던 MCN을 포함한 BJ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개시를 통해 향후 BJ들의 충성도 역시 지속 상승할 것으로 파악. 현 성장성 유지 시 2016년 연평균 월UV 1,000만 달성 역시 가능한 상황으로, 향후 플랫폼 경쟁력 강화 가능성 높음. 검증된 유저 충성도 높은 플랫폼의 위력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출처: http://vip.mk.co.kr/newSt/news/news_view2.php?t_uid=5&c_uid=62513&sCode=13
'BMI > Business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BM] 커머스 BM은 어떻게 세분화되었으며, 앞으로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 – Commerce Positioning Map을 중심으로 (0) | 2015.09.12 |
---|---|
[스크랩/BM/혁신] 인디텍스의 패스트전략 (0) | 2015.09.02 |
[스크랩/공유경제] 모든 것이 ‘우버화’되고 있다 (0) | 2015.05.11 |
[스크랩/공유경제/사회] 공유경제에서 노동자는 자유와 불확실성을 같이 맞닥뜨린다 (0) | 2014.12.23 |
[스크랩/공유경제/사회] 우버의 성공 비결은 경제 불평등 (0) | 2014.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