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작년보다 56% 쑥 휴직급여 정부지원 효과…직장내 눈치보기는 여전
# 경기도 고양시 소재 사회복지서비스업 관련 기업에 다니는 직장인 남성 김 모씨. 직원이 4명밖에 되지 않는 작은 회사에서 일했기에 육아휴직은 꿈도 꾸지 못했다. 하지만 자신이 육아휴직에 들어가면 회사가 육아휴직 급여와 장려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됐고, 회사 또한 고민 끝에 김씨의 육아휴직을 허락했다. 그는 "큰아이 육아휴직을 끝내고 업무에 잘 복귀할 수 있었다"며 "둘째 출산 때도 육아휴직을 신청했다"고 말했다.
올 들어 남성 육아휴직자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아빠 육아' 시대가 성큼 다가오고 있다. 1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남성 육아휴직자는 879명(공무원·교직원 제외)으로 지난해 1분기 564명에 비해 56% 급증했다. 올해 1분기 전체 육아휴직자는 1만9743명으로 이 가운데 남성의 비중은 0.5%에도 채 미치지 못하지만, 증가 속도가 예사롭지 않다.
고용부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1일부터 정부가 최대 150만원까지 육아휴직 급여를 지원하는 '아빠의 달' 제도가 도입되면서 남성 육아휴직자가 늘고 있다"며 " '육아는 여성의 전유물'이라는 고정관념도 바뀌는 등 사회 인식변화 또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남성 육아휴직자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65%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근무했다.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 비중이 컸는데, 남성 육아휴직자 가운데 300인 이상 대기업에 근무하는 비중은 54%로 집계됐다.
다만 남성 육아휴직에 대한 직장 내 인식이 여전히 싸늘하다는 점에서 앞으로 전망은 불투명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다수 직장인 남성들이 육아휴직을 입 밖으로 거론하는 것조차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고용부 관계자는 "설문조사에 따르면 본인이 육아휴직을 했을 때 공백을 동료들이 메워야 하는 것이 가장 큰 부담으로 조사됐다"며 "기업들이 대체인력을 원활히 채용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지원에 나설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고용부는 17일부터 '대체인력 채용지원서비스' 제공기관을 전국 고용센터로 확대하고, 지방자치단체 일자리센터나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등에서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올해 1분기 대체인력 지원금 지급액은 46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2배가 늘었고, 지원인원도 1412명으로 전년 대비 1.6배가 확대됐다"고 말했다.
[최승진 기자]
올 들어 남성 육아휴직자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아빠 육아' 시대가 성큼 다가오고 있다. 1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남성 육아휴직자는 879명(공무원·교직원 제외)으로 지난해 1분기 564명에 비해 56% 급증했다. 올해 1분기 전체 육아휴직자는 1만9743명으로 이 가운데 남성의 비중은 0.5%에도 채 미치지 못하지만, 증가 속도가 예사롭지 않다.
고용부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1일부터 정부가 최대 150만원까지 육아휴직 급여를 지원하는 '아빠의 달' 제도가 도입되면서 남성 육아휴직자가 늘고 있다"며 " '육아는 여성의 전유물'이라는 고정관념도 바뀌는 등 사회 인식변화 또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남성 육아휴직자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65%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근무했다.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 비중이 컸는데, 남성 육아휴직자 가운데 300인 이상 대기업에 근무하는 비중은 54%로 집계됐다.
다만 남성 육아휴직에 대한 직장 내 인식이 여전히 싸늘하다는 점에서 앞으로 전망은 불투명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다수 직장인 남성들이 육아휴직을 입 밖으로 거론하는 것조차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고용부 관계자는 "설문조사에 따르면 본인이 육아휴직을 했을 때 공백을 동료들이 메워야 하는 것이 가장 큰 부담으로 조사됐다"며 "기업들이 대체인력을 원활히 채용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지원에 나설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고용부는 17일부터 '대체인력 채용지원서비스' 제공기관을 전국 고용센터로 확대하고, 지방자치단체 일자리센터나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등에서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올해 1분기 대체인력 지원금 지급액은 46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2배가 늘었고, 지원인원도 1412명으로 전년 대비 1.6배가 확대됐다"고 말했다.
[최승진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364698
'Insights & Trends > Social/Consum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교육/온라인] 대학 명강의 온라인서 무료로 듣는다 (0) | 2015.04.17 |
---|---|
[스크랩/부동산]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금 2억 돌파…역대 최고 (0) | 2015.04.17 |
[스크랩/주거/소비] 월세 가속에 서민 주거비↑…작년 월세 비중 55% (0) | 2015.04.16 |
[스크랩/사회/귀농] "귀농준비 1년이상" 55%…"도시로 안돌아가" 72% (0) | 2015.04.16 |
[스크랩/사회/모바일] 내 아이는 괜찮나?…청소년 10명 중 3명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0) | 201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