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계급층·여성에게 기술금융 지원 의무화
창업으로 일자리 창출…4억명 IT인력 양성
'스타트업 인디아, 스탠드업 인디아(Start-up India, Stand up India).'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새 국가 어젠더로 내놓았다. 모디 총리는 15일(현지시간) 뉴델리 레드포트에서 열린 69주년 독립기념일 행사에서 "인도 내 스타트업을 활성화할 시스템 구축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세계 최고의 스타트업 국가를 의미하는 '스타트업 인디아'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청년 기업가들의 활동을 장려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각 12만5000여 개 은행 지점으로 하여금 최소 한 명의 달리트(카스트제도에서 최하 계급)와 한 명의 여성 기업가 등에게까지 금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스타트업 인디아'는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디지털 인디아(Digital India)'에 이어 모디 총리가 천명한 세 번째 정부 정책 어젠더다. 인도 현지 언론은 모디 총리의 스타트업 육성이 청년, 그중에서도 특히 IT 기술직을 위한 일자리 창출이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고 있다. 인도는 2022년까지 젊은 기술인력 4억명 양성을 목표로 국가기술개발정책(NSDP)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인력이 근무할 만한 일자리가 그만큼 만들어지지 않으면서 인도의 청년 기술인력 실업률은 지난해 기준 무려 14.5%에 달했다. 이는 일반 청년 실업률(2.6%)은 물론이고 전체 실업률(4.9%)보다도 월등히 높은 수치다. 모디 총리가 '스타트업 인디아'를 강조하고 나선 데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등 세계 굴지 IT기업 최고경영자(CEO) 자리에 인도인들이 잇따라 오른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MS의 CEO에 오른 사티아 나델라와 최근 구글 새 수장으로 임명된 순다르 피차이가 인도 출신이다. 구글 검색 사업 부문 담당인 아밋 싱할 수석부사장과 광고·상거래 분야의 스리드하 라마스와리 수석부사장도 모두 인도 사람이다.
글로벌 핀테크 산업을 이끌고 있는 아제이 방가 마스터카드 CEO도 인도인이고, 일본 소프트뱅크 창업자인 손정의 회장이 후계자로 지목한 니케시 아로라는 구글 출신의 인도계 미국인이다.
미국 실리콘밸리 진출에 초점을 맞췄던 그간의 인도 IT 인재 육성 방향은 자국 내 창업을 장려하는 쪽으로 바뀔 전망이다.
한편 이날 연설에서 모디 총리는 농산물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농민의 복지를 보장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뒷받침한다는 차원에서 농업부 명칭을 '농업 및 농민복지부'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이유섭 기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새 국가 어젠더로 내놓았다. 모디 총리는 15일(현지시간) 뉴델리 레드포트에서 열린 69주년 독립기념일 행사에서 "인도 내 스타트업을 활성화할 시스템 구축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세계 최고의 스타트업 국가를 의미하는 '스타트업 인디아'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청년 기업가들의 활동을 장려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각 12만5000여 개 은행 지점으로 하여금 최소 한 명의 달리트(카스트제도에서 최하 계급)와 한 명의 여성 기업가 등에게까지 금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스타트업 인디아'는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디지털 인디아(Digital India)'에 이어 모디 총리가 천명한 세 번째 정부 정책 어젠더다. 인도 현지 언론은 모디 총리의 스타트업 육성이 청년, 그중에서도 특히 IT 기술직을 위한 일자리 창출이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고 있다. 인도는 2022년까지 젊은 기술인력 4억명 양성을 목표로 국가기술개발정책(NSDP)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인력이 근무할 만한 일자리가 그만큼 만들어지지 않으면서 인도의 청년 기술인력 실업률은 지난해 기준 무려 14.5%에 달했다. 이는 일반 청년 실업률(2.6%)은 물론이고 전체 실업률(4.9%)보다도 월등히 높은 수치다. 모디 총리가 '스타트업 인디아'를 강조하고 나선 데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등 세계 굴지 IT기업 최고경영자(CEO) 자리에 인도인들이 잇따라 오른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MS의 CEO에 오른 사티아 나델라와 최근 구글 새 수장으로 임명된 순다르 피차이가 인도 출신이다. 구글 검색 사업 부문 담당인 아밋 싱할 수석부사장과 광고·상거래 분야의 스리드하 라마스와리 수석부사장도 모두 인도 사람이다.
글로벌 핀테크 산업을 이끌고 있는 아제이 방가 마스터카드 CEO도 인도인이고, 일본 소프트뱅크 창업자인 손정의 회장이 후계자로 지목한 니케시 아로라는 구글 출신의 인도계 미국인이다.
미국 실리콘밸리 진출에 초점을 맞췄던 그간의 인도 IT 인재 육성 방향은 자국 내 창업을 장려하는 쪽으로 바뀔 전망이다.
한편 이날 연설에서 모디 총리는 농산물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농민의 복지를 보장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뒷받침한다는 차원에서 농업부 명칭을 '농업 및 농민복지부'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이유섭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786720
'Insights & Trends > Environmental/Glob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세계/경제] 유가하락 불난 집에 기름붓는 美 (0) | 2015.08.19 |
---|---|
[스크랩/세계/경제] 中경제 바람 빠지자 美·日도 `덜커덩` (0) | 2015.08.18 |
[스크랩/환경/기후] 육지는 폭염인데 바다는 얼음물 (0) | 2015.08.13 |
[스크랩/세계/경제] 장기적으론 수출시장 빼앗길 우려 (0) | 2015.08.13 |
[스크랩/세계/경제] 원자재시장도 `와르르`…WTI 4.2% 급락 (0) | 201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