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 "동예루살렘서 이스라엘 철수하라"
오슬로 평화협정 20년만에 폐기 위기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맺은 '오슬로 협정'이 20여 년 만에 완전 폐기될 위기에 처했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이스라엘과 맺은 협정에 더는 매여 있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아바스 수반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총회 연설에서 "이스라엘이 '정착활동'을 중단하지 않고, 양측이 맺은 합의에 따라 팔레스타인 수감자를 석방하지 않는다면 우리만 협정을 지킬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지금 필요한 것은 이스라엘 점령을 끝내는 것을 감시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노력하는 것"이라며 "그때까지 유엔이 팔레스타인 국민을 보호하는 노력을 해 달라"고 요구했다.
아바스 수반이 말한 '정착활동'은 이스라엘이 1967년 3차 중동전쟁으로 점령한 동예루살렘에서 진행 중인 '정착촌' 건설 작업을 뜻한다. 유엔은 동예루살렘을 팔레스타인 땅으로 인정했지만, 이스라엘은 사실상 아랍계 주민을 내쫓고 유대인들을 위한 집을 계속 짓고 있다.
특히 이날 아바스 수반이 1993년 야세르 아라파트 전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의장과 이츠하크 라빈 전 이스라엘 총리가 서명한 일명 '오슬로 협정'에 구속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중동에 또 다른 전운이 싹트고 있다.
오슬로 협정은 체결된 지 1년여 만에 이스라엘 내 극우파 반발을 산 라빈 전 총리가 암살당하면서 유명무실해졌다. 이후 우파연합 대표인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집권한 뒤 팔레스타인에 점령지 반환을 거부하면서 해빙 무드는 사실상 깨졌다. 이로 인해 팔레스타인은 현재 강경파인 하마스가 집권당이 되면서 이스라엘과 크고 작은 무력충돌이 끊이지 않고 있다.
■ 용어설명
▷ 오슬로협정 : 1993년 9월 아라파트 전 팔레스타인해방기구 의장과 라빈 전 이스라엘 총리가 오슬로에서 맺은 협정. 이스라엘은 점령지를 반환해 팔레스타인 자치국을 설립하게 해주고, 아랍권은 이스라엘 생존을 보장한다는 내용.
[이유섭 기자]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이스라엘과 맺은 협정에 더는 매여 있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아바스 수반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총회 연설에서 "이스라엘이 '정착활동'을 중단하지 않고, 양측이 맺은 합의에 따라 팔레스타인 수감자를 석방하지 않는다면 우리만 협정을 지킬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지금 필요한 것은 이스라엘 점령을 끝내는 것을 감시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노력하는 것"이라며 "그때까지 유엔이 팔레스타인 국민을 보호하는 노력을 해 달라"고 요구했다.
아바스 수반이 말한 '정착활동'은 이스라엘이 1967년 3차 중동전쟁으로 점령한 동예루살렘에서 진행 중인 '정착촌' 건설 작업을 뜻한다. 유엔은 동예루살렘을 팔레스타인 땅으로 인정했지만, 이스라엘은 사실상 아랍계 주민을 내쫓고 유대인들을 위한 집을 계속 짓고 있다.
특히 이날 아바스 수반이 1993년 야세르 아라파트 전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의장과 이츠하크 라빈 전 이스라엘 총리가 서명한 일명 '오슬로 협정'에 구속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중동에 또 다른 전운이 싹트고 있다.
오슬로 협정은 체결된 지 1년여 만에 이스라엘 내 극우파 반발을 산 라빈 전 총리가 암살당하면서 유명무실해졌다. 이후 우파연합 대표인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집권한 뒤 팔레스타인에 점령지 반환을 거부하면서 해빙 무드는 사실상 깨졌다. 이로 인해 팔레스타인은 현재 강경파인 하마스가 집권당이 되면서 이스라엘과 크고 작은 무력충돌이 끊이지 않고 있다.
■ 용어설명
▷ 오슬로협정 : 1993년 9월 아라파트 전 팔레스타인해방기구 의장과 라빈 전 이스라엘 총리가 오슬로에서 맺은 협정. 이스라엘은 점령지를 반환해 팔레스타인 자치국을 설립하게 해주고, 아랍권은 이스라엘 생존을 보장한다는 내용.
[이유섭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940862
'Insights & Trends > Environmental/Glob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세계/경제] `中 쇼크` 된서리 맞은 美…금리인상 연기론 확산 (0) | 2015.10.13 |
---|---|
[스크랩/세계/환경] 과테말라 폭우 사망자 300명 이상…초대형 허리케인 '호아킨' 美 상륙 (0) | 2015.10.05 |
[스크랩/세계/정세] 러 이틀째 시리아공습…중동패권 놓고 美와 `일촉즉발` (0) | 2015.10.02 |
[스크랩/세계/경제] 韓·中·러·몽골 두만강 개발 속도낸다 (0) | 2015.09.24 |
[스크랩/세계/경제] 중국 제조업 끝모를 추락…경기지표 6년반 만에 최저 (0) | 2015.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