팍팍한 현실…은퇴가 두려운 한국인, 국민연금 빼면 은퇴후 소득 거의 없어
정작 40~50代는 생활고에 준비 못해…국민 64% "정부 고령화정책 낙제점"

 

◆ 한국 고령화 쇼크 무방비 2부 / ① 노후 준비 안녕하십니까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17일 대표적 `노인 쉼터`인 서울 종로 탑골공원에서 노인이 화단에 걸터앉아 쓸쓸히 `말벗`을 기다리고 있다. [김호영 기자]

서울 용산에 사는 원 모씨(52)는 대기업 계열사 부장이다. 월급 600만원을 받고 있지만 자립형사립고에 다니는 고등학생 딸과 중학생 아들에게 매달 들어가는 돈은 상상을 초월한다. 얼마 전 건강검진을 받았다는 원씨는 조직검사를 하자는 의사 말에 건강보다는 당장 병원비 걱정부터 들 정도였다. 원씨는 "아이들 학원비에 필수 지출금을 빼고 나면 남는 게 없어 노후 대비는 꿈도 못 꾼다"며 "10년 전부터 들고 있는 연금저축 25만원이 고작"이라고 한숨을 쉬었다.

두 달 전 중견기업에서 퇴직한 김 모씨(46)는 지금 유치원에서 시설관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월 170만원을 받던 그는 지금 일당 7만원 신세다. 김씨는 "노후 준비라는 게 남의 일인 줄 알았는데 이렇게 백수 신세가 되다 보니 번듯한 직장에 다닐 때 뭔가 준비했어야 했다는 후회가 든다"고 푸념했다.

대부분 직장인들에게 은퇴 후는 `두려움`이지만 당장 팍팍한 현실 앞에 `무방비`로 지내기 일쑤다. 은퇴 후 적정 생활비는 하루가 다르게 뛰고 있지만 당장 생활비 외에 노후를 위한 투자에는 신경을 쓸 겨를이 없다.

매일경제신문이 모바일 여론조사업체 오픈서베이에 의뢰해 전국 20~50대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은퇴 후 적당한 월 생활비로 전체의 절반(48.1%)이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을 꼽았다. 37.5%가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이 적당하다고 밝혔고 `400만원 이상이 필요하다`는 계층은 7.6%였다. 세대별로는 20대(55.6%)가 100만~200만원을, 30대 이상(44%)이 200만~300만원이 노년 생활비로 가장 적당하다고 밝혀 20대와 30대 이상의 인식 차이가 드러났다.

실제로 준비 안 된 노후는 비루하다. 서울 영등포에서 부인과 단둘이 살고 있는 이용재 씨(83)는 매일 아침 종로 탑골공원을 찾는 게 일상이다. 길게 줄을 서서 무료로 나눠주는 조간 신문을 받아들고 공원 한 구석에서 신문을 읽고 또 읽는다. 이씨의 한 달 소득은 120만원. 아들 셋이 부쳐주는 100만원에 지난달 25일부터 65세 이상 노인들에게 지급된 `점심값` 수준의 기초연금이 전부다.

서울 창천동에 사는 김옥자 씨(72)는 매일 밤 9시부터 다음날 새벽 5시까지 폐지를 수거한다. 폐지 수거가 끝나면 인근 식당에서 주방일을 한다. 그래야 입에 풀칠이나 할 수 있다. 그는 "이 나이 먹어서도 하루하루 먹고살기 힘든 현실이 가혹하다"며 연신 눈물을 훔쳤다. 그런 김씨에게 또 걱정거리가 생겼다. 폐지 수거에 나서는 노인들이 부쩍 늘어난 것이다. 가로수 한쪽에 놓인 종이박스 더미를 수거하던 그는 "온종일 폐지를 모아도 손에 쥐는 건 3만원도 안 되는데 폐지를 수거하는 노인들이 자꾸만 늘어 걱정"이라고 했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이처럼 노인복지 정책의 `키`는 일단 정부가 쥐고 있다.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금 인상에 대해선 국민 대다수가 부정적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대부분 응답자가 현재의 복지 수준에 대해 불만을 드러내면서도 앞으로 복지 확대를 위한 세금 인상에는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현 정부의 복지 정책에 대해 10명 중 6명 이상인 64%가 `못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앞으로 노인 복지를 위해 세금을 더 낼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전체 중 57.8%가 `그럴 의향이 없다`고 답변했다. 세대별로는 30대(66.8%), 20대(58%), 40대(55.6%) 순으로 반대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8월 13일 전국 20~50대까지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오픈서베이 패널로부터 모바일 앱을 통해 응답을 받았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4%다.

[원요환 기자 / 김시균 기자 / 송민철 기자 /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기금 지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208021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