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령화 쇼크 무방비…10명중 6명 응답, 20%는 1원도 투자안해

 

◆ 한국 고령화 쇼크 무방비 2부 / ① 노후 준비 안녕하십니까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김 모씨(54)는 올해 초 28년간 근무한 직장에서 구조조정 여파로 물러났다. 앞으로 8년 후인 62세부터 국민연금, 5년 후부턴 퇴직연금이 들어온다. 합쳐서 190만원이다. 용돈으로 쓰기에도 버겁다. 김씨는 "두 자식이 일찍 취업한 게 그나마 다행"이라며 "다른 명퇴자들은 자식 등록금까지 대느라 허리가 휠 지경이라고 한다"고 한숨을 쉬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늙어가는` 나라가 한국이다. 2026년이면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전망이다. `고령화 쇼크`가 다가오지만 한국은 손을 놓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6명은 노후를 위한 준비에 평소 소득 중 10%도 채 안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매일경제신문이 모바일 여론조사업체 오픈서베이에 의뢰해 전국 20~50대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평소 수입에서 어느 정도를 노후 대비에 활용하느냐는 질문에 전체 중 57.2%가 10% 미만이라고 답했다. 특히 10% 미만이라고 답한 성인 남녀 572명(57.2%) 중 189명(18.9%)은 노후 대비를 위해 단돈 1원도 투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민연금이나 공무원연금 등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연금 외에는 딱히 노후 대비를 위한 수단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연금을 제외하고 따로 노후를 위해 대비하고 있는 수단이 있느냐는 질문에 전체 중 27.6%가 `없다`고 답변했다.

최성재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노동시장 활동 가능 연령이 71세 정도에 이른다"며 "정년 퇴직 후에도 일할 수 있는 체계적 직업훈련과 재교육을 40대 이후부터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원요환 기자 / 최희석 기자 / 김시균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208027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