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스마트기기ㆍ자율주행차 등 세계 수준 IT와 다양한 산업군 접목…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 도약 밑거름
불필요한 규제 과감한 혁파 선행돼야
중국 맹추격ㆍ보호무역주의 파도 넘어 성장동력 회복 국가 경쟁력 `본궤도`
박정일 기자 comja77@dt.co.kr | 입력: 2014-03-04 20:27
|
■ 2014 빛나는 산업
경제불황의 먹구름이 서서히 걷혀지면서 정부와 산업계는 신성장엔진 마련을 위해 분주한 움직임이다. 보릿고개를 넘으면서 산업계는 과거 선진국과 범용 대량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신시장 개척ㆍ고부가가치 서비스로 서서히 눈을 돌리는 중이다.
하지만 시장은 만만찮다. 중국의 빠른 성장과 지속되는 원고(高) 현상, 셰일가스의 등장으로 재편되는 제조산업, 글로벌 대기업들의 무차별 특허전쟁, 미국 등 선진국들의 보호무역 강화 기조 등 넘어야 할 산들이 산적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가진 세계적 수준의 IT 경쟁력을 다양한 산업군과 접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나가야 한다. 미래 후손들을 위해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과 다시 도약할 수 있는 새 신성장엔진 장착이 절실하다.
◇정부,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 추진…"뿌리를 다지고 시장을 선도한다"=정부는 지난달 4대 분야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를 정하고 올해부터 10년 간 10조원 이상을 투입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산업계 R&D 매칭 투자까지 합하면 15조원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계획에는 시스템 산업과 소재ㆍ부품산업, 창의산업, 에너지 산업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13개 기반기술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우선 시스템 산업 쪽에서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극한환경용 해양플랜트, 국민 안전ㆍ건강 로봇, 자율주행 자동차, 고속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등이 꼽혔다. 소재ㆍ부품 산업에서는 탄소소재와 첨단산업용 비철금속 소재, 창의산업에서는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시스템, 생체모사 디바이스, 가상훈련 시스템, 에너지산업에서는 고효율 초소형화 발전시스템과 직류 송배전시스템 등이 꼽혔다.
정부는 이 같은 사업을 10년 이상 장기 추진해 융합을 통한 부가가치 및 일자리를 창출하고, 대ㆍ중소기업이 동반 성장하는 신 산업생태계를 창출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마이스터고ㆍ특성화고 졸업생의 일ㆍ학습 병행환경 조성, 엔지니어링 등 인력수요 급증분야 특성화대학 역점지원, 여성 R&D 인력의 산업현장 진출 확대 등 인력 창출에도 힘쓰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산업계, 새 먹거리 찾기 부심…R&D 강화=산업계 역시 새 성장동력 찾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삼성그룹은 `스마트폰' 사업에 이어 그룹의 성장을 이끌어갈 새로운 먹거리 창출을 위해 2020년까지 5대 신수종 사업(바이오제약ㆍ의료기기ㆍLEDㆍ자동차용전지ㆍ태양전지)에 23조3000억원을 투자, 50조원의 매출을 올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역시 올해 경영방침을 `역량 강화를 통한 미래 성장기반 강화'로 정하고 수소연료전지차ㆍ전기차 등 친환경 그린카와 자율주행자동차 등 스마트카 같은 혁신기술 개발에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LG는 주력사업인 스마트폰과 스마트TV, 자동차부품, 에너지솔루션 등 차세대 성장동력 사업에서 이러한 융ㆍ복합 IT 역량에 새로운 시장을 창조해 나가고 있다. SK그룹은 연구 시스템 전환을 통해 사업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택했다.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니라 사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신개념 연구ㆍ개발(R&D)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금융업계서 주목하는 새 먹거리는 금융IT 보안 서비스다. 해킹 등으로 인한 정보유출 및 보안사고가 발생하면 금융회사 신뢰도에 큰 손상이 가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서비스가 1일 평균 1조원을 넘어서고 있어 모바일 보안 구축이 큰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동통신사들은 광대역LTE(롱텀에볼루션) 네트워크 서비스가 본격화되는 올해를 중요한 시점으로 보고 있다. 통신이 빨라지면서 사람 간 네트워크 뿐 아니라 사물과 사물도 연결되는 사물지능통신의 시대가 본격화 될 전망이다. 통신의 진화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헬스케어는 물론 자동차 원격관리 등 다양한 형태의 융합 서비스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스마트폰의 정보를 표현해주던 스마트밴드는 심박, 체온계 등 건강관리 기능과 융합한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LTE와 결합한 자동차는 차량의 상태와 교통정보, 블랙박스 영상 등을 그대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전송해 빅데이터 기반의 더 빠르고 안전한 운전을 가능하게 해준다.
콘텐츠업계 역시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 확산과 디지털 방송시대를 맞아 유료방송업계를 중심으로 N스크린 서비스에서 신성장동력을 찾고 있다. CJ E&M의 경우 PP전체 매출액의 29%(2012년 기준)를 N스크린 서비스에서 벌어들이고 있다.
화학 및 중소 제조업체에서 올해 주목받는 분야는 태양광발전과 LED(발광다이오드)다. 태양광 시장조사업체 PV인사이트에 따르면 고순도 폴리실리콘 가격은 연말부터 올 초에 걸쳐 13주 연속 상승하면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ED조명 역시 정부의 본격적인 백열전구 규제가 시작되면서 대체수요를 중심으로 성장속도를 더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소프트웨어 업계는 해외로 시장 영역을 넓히고 있다. 높아진 경쟁력을 바탕으로 좁은 내수시장을 넘어 해외로 발돋움 중이다. 요즘은 대기업 뿐 아니라 벤처기업들도 국내와 글로벌 시장을 함께 공략하는 분위기다.
◇신성장엔진 `규제개혁' 전제돼야=신성장엔진은 전통적인 산업 영역을 뛰어넘은 새로운 개념에서 탄생된다. 하지만 이 경우 큰 문제는 기존 산업 및 규제와의 충돌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 헬스케어 또는 원격진료 같은 경우 기존 산업의 근간을 흔들 수도 있다는 점 등으로 인해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울러 기업들은 각종 토지인허가 등 문제로 기업들이 투자할 곳을 찾지 못하고, 규제로 인해 신사업을 만들어도 수익을 창출할 수 없는 점 등도 개선해야 할 점으로 꼽고 있다. 예를 들어 친환경 에너지 시장 육성을 위해 정부가 기업들의 `전력저장장치(ESS)'를 유인하고 있긴 하지만, 발전사업자 규제로 인해 저장한 전력을 다시 되팔 수 없어,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이에 규제 개선 로드맵을 내놓았다. 산업부는 기존 소관 등록규제 1200여 개 가운데 산업ㆍ투자 활성화와 직접 관련이 있는 과제를 선별해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실물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가장 빠르고 쉬운 길은 불필요한 규제를 과감하게 혁파하는 것"이라며 "실물경제 현장의 최접점에 있는 산업부와 중기청이 투자 걸림돌 이해 관계자와 관련 부처를 끈질기게 설득해 해결을 위해 노력하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박정일기자 comja77@
출처: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030502011732781001
경제불황의 먹구름이 서서히 걷혀지면서 정부와 산업계는 신성장엔진 마련을 위해 분주한 움직임이다. 보릿고개를 넘으면서 산업계는 과거 선진국과 범용 대량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신시장 개척ㆍ고부가가치 서비스로 서서히 눈을 돌리는 중이다.
하지만 시장은 만만찮다. 중국의 빠른 성장과 지속되는 원고(高) 현상, 셰일가스의 등장으로 재편되는 제조산업, 글로벌 대기업들의 무차별 특허전쟁, 미국 등 선진국들의 보호무역 강화 기조 등 넘어야 할 산들이 산적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가진 세계적 수준의 IT 경쟁력을 다양한 산업군과 접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나가야 한다. 미래 후손들을 위해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과 다시 도약할 수 있는 새 신성장엔진 장착이 절실하다.
◇정부,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 추진…"뿌리를 다지고 시장을 선도한다"=정부는 지난달 4대 분야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를 정하고 올해부터 10년 간 10조원 이상을 투입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산업계 R&D 매칭 투자까지 합하면 15조원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계획에는 시스템 산업과 소재ㆍ부품산업, 창의산업, 에너지 산업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13개 기반기술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우선 시스템 산업 쪽에서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극한환경용 해양플랜트, 국민 안전ㆍ건강 로봇, 자율주행 자동차, 고속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등이 꼽혔다. 소재ㆍ부품 산업에서는 탄소소재와 첨단산업용 비철금속 소재, 창의산업에서는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시스템, 생체모사 디바이스, 가상훈련 시스템, 에너지산업에서는 고효율 초소형화 발전시스템과 직류 송배전시스템 등이 꼽혔다.
정부는 이 같은 사업을 10년 이상 장기 추진해 융합을 통한 부가가치 및 일자리를 창출하고, 대ㆍ중소기업이 동반 성장하는 신 산업생태계를 창출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마이스터고ㆍ특성화고 졸업생의 일ㆍ학습 병행환경 조성, 엔지니어링 등 인력수요 급증분야 특성화대학 역점지원, 여성 R&D 인력의 산업현장 진출 확대 등 인력 창출에도 힘쓰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산업계, 새 먹거리 찾기 부심…R&D 강화=산업계 역시 새 성장동력 찾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삼성그룹은 `스마트폰' 사업에 이어 그룹의 성장을 이끌어갈 새로운 먹거리 창출을 위해 2020년까지 5대 신수종 사업(바이오제약ㆍ의료기기ㆍLEDㆍ자동차용전지ㆍ태양전지)에 23조3000억원을 투자, 50조원의 매출을 올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역시 올해 경영방침을 `역량 강화를 통한 미래 성장기반 강화'로 정하고 수소연료전지차ㆍ전기차 등 친환경 그린카와 자율주행자동차 등 스마트카 같은 혁신기술 개발에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LG는 주력사업인 스마트폰과 스마트TV, 자동차부품, 에너지솔루션 등 차세대 성장동력 사업에서 이러한 융ㆍ복합 IT 역량에 새로운 시장을 창조해 나가고 있다. SK그룹은 연구 시스템 전환을 통해 사업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택했다.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니라 사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신개념 연구ㆍ개발(R&D)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금융업계서 주목하는 새 먹거리는 금융IT 보안 서비스다. 해킹 등으로 인한 정보유출 및 보안사고가 발생하면 금융회사 신뢰도에 큰 손상이 가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서비스가 1일 평균 1조원을 넘어서고 있어 모바일 보안 구축이 큰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동통신사들은 광대역LTE(롱텀에볼루션) 네트워크 서비스가 본격화되는 올해를 중요한 시점으로 보고 있다. 통신이 빨라지면서 사람 간 네트워크 뿐 아니라 사물과 사물도 연결되는 사물지능통신의 시대가 본격화 될 전망이다. 통신의 진화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헬스케어는 물론 자동차 원격관리 등 다양한 형태의 융합 서비스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스마트폰의 정보를 표현해주던 스마트밴드는 심박, 체온계 등 건강관리 기능과 융합한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LTE와 결합한 자동차는 차량의 상태와 교통정보, 블랙박스 영상 등을 그대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전송해 빅데이터 기반의 더 빠르고 안전한 운전을 가능하게 해준다.
콘텐츠업계 역시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 확산과 디지털 방송시대를 맞아 유료방송업계를 중심으로 N스크린 서비스에서 신성장동력을 찾고 있다. CJ E&M의 경우 PP전체 매출액의 29%(2012년 기준)를 N스크린 서비스에서 벌어들이고 있다.
화학 및 중소 제조업체에서 올해 주목받는 분야는 태양광발전과 LED(발광다이오드)다. 태양광 시장조사업체 PV인사이트에 따르면 고순도 폴리실리콘 가격은 연말부터 올 초에 걸쳐 13주 연속 상승하면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ED조명 역시 정부의 본격적인 백열전구 규제가 시작되면서 대체수요를 중심으로 성장속도를 더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소프트웨어 업계는 해외로 시장 영역을 넓히고 있다. 높아진 경쟁력을 바탕으로 좁은 내수시장을 넘어 해외로 발돋움 중이다. 요즘은 대기업 뿐 아니라 벤처기업들도 국내와 글로벌 시장을 함께 공략하는 분위기다.
◇신성장엔진 `규제개혁' 전제돼야=신성장엔진은 전통적인 산업 영역을 뛰어넘은 새로운 개념에서 탄생된다. 하지만 이 경우 큰 문제는 기존 산업 및 규제와의 충돌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 헬스케어 또는 원격진료 같은 경우 기존 산업의 근간을 흔들 수도 있다는 점 등으로 인해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울러 기업들은 각종 토지인허가 등 문제로 기업들이 투자할 곳을 찾지 못하고, 규제로 인해 신사업을 만들어도 수익을 창출할 수 없는 점 등도 개선해야 할 점으로 꼽고 있다. 예를 들어 친환경 에너지 시장 육성을 위해 정부가 기업들의 `전력저장장치(ESS)'를 유인하고 있긴 하지만, 발전사업자 규제로 인해 저장한 전력을 다시 되팔 수 없어,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이에 규제 개선 로드맵을 내놓았다. 산업부는 기존 소관 등록규제 1200여 개 가운데 산업ㆍ투자 활성화와 직접 관련이 있는 과제를 선별해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실물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가장 빠르고 쉬운 길은 불필요한 규제를 과감하게 혁파하는 것"이라며 "실물경제 현장의 최접점에 있는 산업부와 중기청이 투자 걸림돌 이해 관계자와 관련 부처를 끈질기게 설득해 해결을 위해 노력하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박정일기자 comja77@
출처: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030502011732781001
'Insights & Trends > Political/Regula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정책] 미래부, 스마트광고 발전협의회 발족 (0) | 2014.03.13 |
---|---|
[스크랩] 방통위 디지털기기 통합TV시청률 추진…TV광고시장 지각변동 불가피 (0) | 2014.03.06 |
[스크랩] 방통위, 보조금 위반 이통사 13일 제재 발표 (0) | 2014.03.04 |
[스크랩] 국가융합기술발전전략 확정…"고성장·스마트 5대기술 5년내 구현" (0) | 2014.03.04 |
[스크랩]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시장 잡아라" 2년후 67억弗 급성장 (0) | 201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