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몇 년은 음반기획사에게

꿈과 같은 시간이었습니다.

 

동방신기는 일본 골든디스크 대상에서

2년 연속 5관왕을 거머쥐었고

 

(사진=SM엔터테인먼트)

(사진=SM엔터테인먼트)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유튜브 최다 조회수를 기록했으며

 

(사진=YG엔터테인먼트)

(사진=YG엔터테인먼트)

 

음반기획사 양대산맥이라 할 수 있는

SM과 YG는 한때 시가총액 1조원을

돌파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사진=네이버)

(사진=네이버)

 

사실 이 모든 것은 공짜가 아니었습니다.

 

2000년 전후 무료 MP3가

음반시장을 강타했을 때

 

주먹구구식 경영에서 벗어나

악착같이 비즈니스 모델을 다각화, 고도화하고

이를 토대로 콘텐츠에 꾸준히 투자에 했던 게 

결실을 맺은 것입니다.

 

지금은 크게 여섯 개 비즈니스 모델이

이들의 생존과 성장을

굳건하게 받쳐주고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음반업계 영향력이

콘텐츠산업을 넘어

어느덧 IT벤처업계에 이르고 있고 

먹고사니즘 해결과정에서

배울 게 많다는 판단 하에

 

구체적으로 어떤 비즈니스 모델이 있는지

규모가 큰 순서대로 하나하나 살펴볼까 합니다. 

 

1. 콘서트매출

 

(사진=YG엔터테인먼트)

(사진=YG엔터테인먼트)

 

많은 사람들의 예상과 달리

음반기획사의 매출을 책임지는 것은

오프라인 비즈니스인 콘서트입니다.

 

대표적으로 동방신기나 빅뱅의 경우

콘서트 문화가 잘 발달된 일본에서만

한해 1000억원 가까이 되는

매출을 거두고 있습니다.

 

이들은 매년 70~80만명의

관람객을 동원하고 있는데요.

 

티켓료가 10만원에 육박한다는 사실을

염두에 뒀을 때 거두는 수익이

엄청나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생각할 수 있죠. 

 

게다가 기획상품, 음반, 응원도구 등

현장에서 버는 돈도 꽤 짭짤합니다.

 

(SM 콘서트 일정, 자료=KB투자증권)

(SM 콘서트 일정, 자료=KB투자증권)

 

명실상부 황금알을 낳는 거위!

 

2. 음반매출

 

(사진=SM엔터테인먼트)

(사진=SM엔터테인먼트)

 

요즘 누가 CD, DVD를 사냐

물을 수 있지만 여전히 많이 팔립니다.

 

크게 두 가지 이유 때문인데요.

 

음반기획사 입장에서는

상품단가가 1~2만원으로

도저히 포기할 수 없는,

매력적인 수익원이라 욕 먹으면서까지

다양한 패키징 전략을 내놓고 있고

 

팬 입장에서는 팬심을 기반으로 사는 거죠.

 

어떻게 보면 음악매체가 아닌

소장품, 혹은 사치품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셈입니다.

 

3. 광고매출

 

(사진=티켓몬스터)

(사진=티켓몬스터)

 

생각하는 그대롭니다.

 

소속가수들을 인터넷광고, TV광고의 모델로

등장시키는 것이죠. 

 

대형 IT기업들이 주요 광고주로서 

돈을 그야말로 퍼다주고 있는데요. 

 

한편당 적게는 몇천만원에서

A급의 경우 10억 안팎의 광고료를 받곤 하죠. 

 

헌데 이 또한 국내보다는

해외비중, 특히 중국쪽이 높습니다.

 

4. 상품매출

 

(사진=SM엔터테인먼트)

(사진=SM엔터테인먼트)

 

요즘 대형 음반기획사 중심으로

열심히 파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소속 연예인의 초상권을 이용해

의류, 악세서리 등

다양한 기획상품을 만들어

 

오프라인 팝스토어나

공연장 등에서 파는 것인데요.

 

가장 빠르게, 그리고 큰 부침없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나중에는 기획상품 중 괜찮은 것을 선별해

자체 브랜드로 런칭하는 한편

모바일게임 등 디지털 분야로의 진출을 

시도할 예정입니다. 

 

5. 음원매출

 

(사진=로엔엔터테인먼트)

(사진=로엔엔터테인먼트)

 

멜론, 벅스 등 스트리밍 업체로부터

저작권료를 받는 것인데요.

 

가장 척박합니다.

SM조차 100억원을 넘기 힘드니까요.

 

2000년 전후 MP3 트라우마가

너무 강렬해서 그런지

별로 관심을 갖지 않는 듯 한데요. 

 

조금 더 영리하게,

조금 더 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한다면

충분히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분야가

아닐까 싶습니다.

 

스마트폰 이용자를 흡수해서

고객 숫자를 대폭 늘리거나 (Q)

저작권료 자체를 높이거나 해서 말이죠. (P)

 

미국 유명 랩가수 제이지(Jay-Z)가 그런 것처럼

자체 플랫폼을 만드는 것도 

충분히 고민해볼 만하지 않나 싶습니다. 

 

6. 기타매출

 

(사진=스타쉽엔터테인먼트)

(사진=스타쉽엔터테인먼트)

 

이밖에도 음반기획사에게는

여러 매출원이 존재하는데요.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아무래도 행사출연료일 테고요.

 

영화, 드라마, 예능 등 이종분야에 대한

매출도 종종 있죠.

 

7. 어떻게 외연확장을 모색할까

 

(사진=월트디즈니)

(사진=월트디즈니)

 

대형 음반기획사들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또 한번 외연확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기존 사업부문에서 더 뽑아먹겠다는

이른바 수직적 확장 대신

새로운 사업부문을 만드는,

이른바 수평적 확장에 역점을 두고 있죠. 

 

이미 시행하고 있는 것은

비음악인 매니지먼트와

프로그램 제작, 문화시설 건립 등이며

 

아까 언급한 것처럼

디지털 콘텐츠 및 기획상품 강화,

더 나아가 인터넷방송, 온오프 커머스,

IT플랫폼, 이종 콘텐츠, 조인트벤처에 대한

투자가 예상됩니다.

 

아마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진화를 모색하겠죠. 마치 디즈니처럼.

 

어렵지 않게 예상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outstanding.kr/요즘-음반기획사는-어떻게-돈을-벌까/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