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션 10:00~12:00 | 프롤로그 : 비즈니스 스토리텔링이란 무엇인가?
1. 의사소통의 두 수단
숫자(과학) : 결과가 명확함. 설명과 증명에 유리, 분석적
글자(문학) : 소통을 중시함. 설득에 유리, 종합적
 2. 설명과 설득의 차이
뱀장사(설득)와 교사(설명)의 사례
설명의 대상 : 결정된 것(과거) - 정보화시대에 ‘팩트’의 중요성 감소
설득의 대상 : 결정해야 할 것(미래) - 공감 - 행동으로 옮기게 함
뉴스 기사 비교(사실 전달 VS 감성 전달)
 3. 기업이 스토리텔링에 주목하는 이유
변화의 시대(‘새로운 미래가 온다’- 다니엘 핑크)
감성경영의 시대(디지로그, 드림소사이어티)
지식경영의 시대(정보와 경험의 체계화 = 스토리텔링)
ex) 제록스 복사기는 어떻게 고쳐지는가(“스토리 이코노미”)
ex) 스티븐 데닝 세계 은행 변혁 사례(“스토리텔링으로 성공하라”)
 4. 스토리텔링 확산 추세
지하철 결혼식(스토리텔링의 위력을 보여준 사례)
PD 수첩 -> 공포 확산(정서를 움직임) ->촛불집회
광고, 마케팅 사례
스토리텔링학과(대학)
웅진코웨이 홈페이지 = 감성적 형식 + 스토리(뉴스) |
|
Lunch Break |
2세션 13:00~14:50 | 스토리텔링 개요
1. 스토리텔링의 정의
story + tell+ing = 이야기로 말하기(목적성), 전달하기, 연속, 휘발성
 2. 스토리텔링의 효과
구체적이다(체험, 경험을 전달)
- ‘안네의 일기’는 한 개인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비극을 실감나게 전달(추상적인 숫치 제시보다 효과적)
- 스티브 잡스의 ‘졸업 연설’이 유명한 것도 같은 이유임
흥미있다
- 오감을 자극해 흥미를 유지시킨다(‘피 흘리는 늑대 사례’)
- 기본적으로 사람들은 드라마, 소설, 영화를 좋아한다
* 인지적 흥미 VS 감성적 흥미
종합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 ‘이솝 우화’
- 축적된 데이터를 엮어 핵심 관점을 전달
문제 해결 중심이다
- 스토리에는 늘 갈등, 즉 문제가 있다
“대화 상대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문제에 쉽게 접근하는 방법으로 고객 설득은 물론 직원 개인과 부서, 회사의 상황과 문제점, 해결방법 등을 자연스럽게 찾아내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스티븐 데닝) |
|
3세션 15:00~16:00 | 스토리텔링 활용
1. 활용 영역
고객 설득 및 참여 유도
변화 설득 및 참여 유도
우수 사례 수집 및 전파
직원 교육
 2. 활용 사례
CEO 메시지, 회사 비전 전파
ex) 여덟 가지 리더십 내러티브 패턴(“스토리텔링으로 성공하라”)
변화 유도 및 관리
ex) 모니터 내용을 스토리로 전달(story Quest)
ex) Best Practice 발굴, 전파
직원 교육
ex) e러닝
ex) 영업사원 화법개발 : 프리젠테이션, 협상, 제안, 토론, 서비스, 기획
스토리 마케팅
ex) 삼장법사 주문은 스토리(손오공의 사고를 통제)
ex) story buying process
브랜드 홍보
 3. 수집방법
대내,외 공모
BR(blogger relations - 블로거와 관계 만들기)
홈페이지를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구성(사용 후기 등)
학습팀 운영
 4. 기업에서 잘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
직원들이 스토리를 만들고 가공할 수 있어야 대내,외 의사소통이 활성화되나 스토리 제작 능력이 부족함
* 스토리는 일방향이지만, 기업의 스토리텔링은 쌍방향이다
* 외부 업체에 의뢰가 일반적이나 설득력 부족할 수 있음
주제를 명확하게 뽑아내지 못함
* 데이터를 엮어 핵심을 뽑아내는 기술
|
|
4세션 16:00~17:00 | 스토리텔링 만들기
1. 네 가지 요소(“스토리텔링의 기술”)
메시지(주제)
갈등(문제)
등장인물(선한 사람, 악한 사람)
플롯(배치)
 2. 스토리 기본 구조(“천 개의 얼굴을 가진 영웅”- 조지프 캠벨)
상황(시간, 공간, 인물)
전개(문제 발생)
(질문: 왜? 어떻게 해결하지? 어떻게 될까?)
결말(결론) -> 비즈니스 라이팅은 역피라미드
* ‘민토 논리학’ 도입부 보충 설명
 3. 이야기로 엮기(선형적)
데이터 수집 및 정리
스토리 만들기
* 시나리오 플래닝
 4. 표현의 기술
비유, 유추, 추론, 맥락의 이해와 활용
 5. 스토리텔링 소재 발굴하기
사용자 review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