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위플래쉬` 논쟁…토드 부크홀츠 vs 에이드리언 고스틱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천재적 경영자는 채찍질(Whiplash)로 빚어지는가. 영화 '위플래쉬'를 감상한 한국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애정과 사랑으로 직원들을 다루라고 강조하는 요즘 경영학자들의 뻔한 이야기에 느껴왔던 환멸과 염증이 일순 씻기는 느낌이 들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래, 내가 임직원들에게 심하게 대한 이유도 대머리 플렛처 교수처럼 시련을 주기 위해서였어"라고 셀프(self) 변론을 곱씹으면서 말이다. 사실 지독한 채찍질만 가해대는 윗사람이 등장하는 영화는 위플래쉬가 처음이 아니다. 

하버드대학의 공부벌레들(1973)에서는 집요한 질문세례를 퍼붓는 킹스필드 교수가 있었다. 록키(1976)에는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록키 발보아를 향해 고함을 치던 늙은 코치 '미키'가 나왔다. 사관과 신사(1982)에서 주인공 리처드 기어에게 얼차려를 퍼붓는 흑인 하사관 에밀 폴리를 기억하는가. 하지만 이 영화들은 너무 해피엔딩 일색이라 리얼리티가 없다. 

현실에서 임직원을 괴롭히는 경영자의 마음은 영화 '위플래쉬'의 결말처럼 모호하기 짝이 없다. 그들이 가혹행위를 저지르는 이유가 과연 쓰러져 가는 이 시대의 기업가정신을 되살리기 위한 것인가? 아니면 그저 자신들의 변태적 이기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인가? 한국의 최고경영자 중에는 유독 임직원들에게 엄격하다고 소문난 사람이 많다. 대기업에는 '회장님 방에서 얻어맞고 돌아온' 임원 이야기가 전설처럼 돌아다닌다. 하지만 그들이 왜 그렇게 충격과 공포 요법을 선호하는지에 대한 진짜 이유는 마치 '위플래쉬'의 결말처럼 아무도 모른다. (가해자들은 과연 알고 있을까?) 

매경 MBA팀은 이 궁금증을 조금 더 발전시켜 보고자 했다. 경영학자들에게 영화를 보여 준 뒤 무대를 음악학교가 아니라 기업 경영 현장으로 치환시켜 본 것이다. 화두는 하나. '주인공 앤드류를 괴롭힌 플렛처 교수의 채찍질이 과연 이 시대가 진정으로 원하는 기업가정신을 가진 천재를 만들 수 있을 것인가?'였다. 

이를 위해 상반된 입장의 두 사람을 인터뷰했다. '채찍이 없는 경제 시스템은 허구다'라는 주장을 담은 책 '러시'의 저자인 토드 부크홀츠는 기꺼이 플렛처 교수의 편에 서겠다는 용기를 보여 줬다.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인 '상사를 내 편으로, 부하를 심복으로'의 저자인 에이드리언 고스틱은 부크홀츠의 채찍질 같은 입담에 현혹되지 말라며 이메일을 수차례 매경 MBA팀에 보냈다. 두 사람의 설전은 사회자의 질문 →대답 →상대방에 대한 추가 질문 →응답 등 모두 2라운드에 걸쳐 이뤄졌다. 

부크홀츠는 "플렛처 교수는 주인공 앤드류를 천재 드러머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며 "그 근본 비결은 학생(앤드류) 스스로가 '나는 세계 최고 드러머가 되기 위해 내 모든 것을 희생할 각오가 되어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게끔 만들었다는 데 있다"고 했다. 오늘날 기업인들에게는 조금 안락한 삶을 희생하는 대신 보다 더 큰 존재가 되어 보겠다는 '헝그리정신'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는 "99.9%의 응답자들은 이 질문에 대해 '아니다. 나는 좀 더 편안하게 살고 싶다'라고 대답할 것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이런 후학들의 나태함을 뻔히 보고 있는 선배들 마음 한편에 플렛처 교수와 같은 광기가 깃드는 것도 당연한 게 아닐까? 

고스틱은 이에 정면으로 반대했다. 그는 "플렛처는 전혀 성공하지 않았다. 대체 영화의 마지막 장면을 어떻게 성공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재능 있는 청년들의 삶을 망가뜨리고 직장을 잃게 만든 리더가 어떻게 성공했다고 볼 수 있느냐는 것이다. 그런 기업경영자가 있다면 종업원을 파괴하고 결국 기업의 명성을 해칠 것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고스틱은 대신 "오늘날 기업인들에게는 협업이 더욱 중요하다"고 밝혔다. 혼자 잘났다는 정신이 필요한 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과 공동으로 작업하고 집단지성을 잘 활용할지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플렛처 교수가 보여 줬던 광기는 협업을 방해하는 암적인 존재라는 게 고스틱의 생각이다. 

부크홀츠는 최고경영자의 가혹행위가 협업을 방해한다는 증거는 없다고 반박하면서 미국의 전직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를 사례로 든다. 키신저는 갓 들어온 백악관 인턴에게 아시아에 관한 외교정책 보고서 초안을 작성해 오라고 시켰다. 인턴이 보고서를 들고 오자, 키신저는 물었다. "이게 네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보고서냐?" 인턴은 "그렇게 생각합니다만, 다시 한 번 해 보겠습니다"라고 답했다. 며칠 뒤 인턴이 돌아오자 키신저는 또 한 번 물었다. "진짜로 이게 네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담은 보고서 맞느냐?" 인턴은 또 "정말 그렇게 생각합니다만, 한 번 더 해 보겠습니다"라고 했다. 키신저는 일곱 번 더 인턴에게 같은 질문을 던졌고, 인턴은 그때마다 보고서를 다시 썼다. 아홉 번째가 되자 인턴은 급기야 "한 글자도 수정할 게 없습니다"라고 했다. 키신저는 고개를 들더니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한번 보겠네." 

오늘날 청년 실업이 사회적 문제이다 보니 '희망고문'이나 '열정페이'라는 말이 유행한다. 하지만 인턴이 아홉 번 원고를 다시 쓴 것이 과연 희망고문이나 열정페이인가? 오히려 더 큰 애정과 협업의 발로로 볼 수 있는 것 아닌가? 두 사람의 격정적 논쟁이 아래 관련기사에 펼쳐진다. 

■ 토드 부크홀츠는… 

케임브리지대학교와 하버드대학교를 졸업했고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경제담당 비서관을 지냈다. 세계적 헤지펀드인 타이거펀드 설립자인 줄리언 로버트슨과 함께 펀드를 운용했다.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 있는 아이디어'와 '러시'라는 책으로 유명하다. 

■ 에이드리언 고스틱은… 

십 수년간 '팀(Team)' 연구를 해 보니 신바람이 나는 팀에는 '당근', 즉 인센티브가 많았다. 체스터 엘튼과 함께 '당근시리즈'로 불리는 일련의 저서들을 발표하면서 국내에도 유명해졌다. '당근의 법칙(The Carrot Principle)' 등은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발간된 베스트셀러다. 

[신현규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365628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