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구조조정 몸살…총장까지 물러나
`교육부 기준 인정못해` 교수 집단 반발
지방대는 "취업률 적용 우리만 피해자"
"올해 초 특성화대학 평가 때 이미 1000여 쪽 분량 자료를 제출했습니다. 사람으로는 안 되고 차량으로 날라야 했어요. 이번에는 대학구조개혁 평가가 나왔으니 연말에 또 바쁘겠어요. 대학 1년 농사가 교육부 페이퍼워크(문서업무)로 끝나네요."
12일 전북 A사립대 총장은 최근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평가 지표가 발표되자 한숨부터 내쉬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대학 평가 사업이 추가되는데 그 지표는 취업률처럼 매번 중복"이라며 "지방대가 불리한 구조는 영원히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같은 구조개혁 몸살은 수도권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홍승용 덕성여대 총장은 임기 절반도 채우지 못하고 지난달 30일 사퇴했다. 지난해 2월 제8대 총장으로 그가 취임한 지 1년6개월 만에 사표를 던진 것은 주요 대학평가 중 악명 높은 정부 재정지원 제한 대학에 이 학교가 선정됐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정원을 추가로 줄이면 재정지원 제한 대학 명단에서 빼주겠다고 했고 홍 총장이 이를 학교 측에 건의했으나 이사회가 거부했다. 대학가 관계자는 "결국 홍 총장이 대학 명예를 실추시킨 것에 총대를 맨 게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
대학가 구조개혁 광풍은 교육부가 이달 초 대학구조개혁 평가 지표를 공개하면서 절정에 이르고 있다. 평가지표 초안은 크게 대학 발전계획과 교육여건, 교육과정 및 성과, 사회봉사영역으로 나뉜다. 중장기 발전계획 및 학생 선발, 교원 및 직원, 교육 기본시설 및 지원시설, 재정ㆍ운영 시스템 등 10개 평가영역에 23개 평가항목, 36개 평가지표를 담고 있다. 이 평가를 통해 대학들은 `최우수`부터 `매우 미흡`까지 5개 등급으로 구분되고 그에 따라 강제로 정원을 감축하게 된다. 두 번 연속으로 `매우 미흡`을 받으면 퇴출당하는 등 대학 존립 자체가 달렸다. 교육부는 대학구조개혁위원회를 통해 이달 중 구체적인 평가 방법과 반영 비율 등을 정하고 다음달에 본격적인 대학 평가에 들어간다.
그러나 취업률, 신입생 충원율 등 주요 지표는 그대로 담겨 있어 일부 학교는 `지방대 죽이기`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날 전국교수노동조합(교수노조)은 성명을 내고 "교육부 평가지표안을 살펴보면 기존 평가지표와 거의 차이가 없다"고 비판했다. 대학들은 내용만 똑같고 무늬만 다른 대학평가 사업이 줄줄이 늘어나고 있다고 비난한다. 지방 B사립대 관계자는 "노무현정부 `BK21` 사업, 이명박정권 `교육역량 강화` 사업 등과 올해 대학구조개혁 평가가 무슨 차이가 있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그동안 대학평가가 양적 지표에 치중돼 정성 지표가 많이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12일 전북 A사립대 총장은 최근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평가 지표가 발표되자 한숨부터 내쉬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대학 평가 사업이 추가되는데 그 지표는 취업률처럼 매번 중복"이라며 "지방대가 불리한 구조는 영원히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같은 구조개혁 몸살은 수도권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홍승용 덕성여대 총장은 임기 절반도 채우지 못하고 지난달 30일 사퇴했다. 지난해 2월 제8대 총장으로 그가 취임한 지 1년6개월 만에 사표를 던진 것은 주요 대학평가 중 악명 높은 정부 재정지원 제한 대학에 이 학교가 선정됐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정원을 추가로 줄이면 재정지원 제한 대학 명단에서 빼주겠다고 했고 홍 총장이 이를 학교 측에 건의했으나 이사회가 거부했다. 대학가 관계자는 "결국 홍 총장이 대학 명예를 실추시킨 것에 총대를 맨 게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
대학가 구조개혁 광풍은 교육부가 이달 초 대학구조개혁 평가 지표를 공개하면서 절정에 이르고 있다. 평가지표 초안은 크게 대학 발전계획과 교육여건, 교육과정 및 성과, 사회봉사영역으로 나뉜다. 중장기 발전계획 및 학생 선발, 교원 및 직원, 교육 기본시설 및 지원시설, 재정ㆍ운영 시스템 등 10개 평가영역에 23개 평가항목, 36개 평가지표를 담고 있다. 이 평가를 통해 대학들은 `최우수`부터 `매우 미흡`까지 5개 등급으로 구분되고 그에 따라 강제로 정원을 감축하게 된다. 두 번 연속으로 `매우 미흡`을 받으면 퇴출당하는 등 대학 존립 자체가 달렸다. 교육부는 대학구조개혁위원회를 통해 이달 중 구체적인 평가 방법과 반영 비율 등을 정하고 다음달에 본격적인 대학 평가에 들어간다.
그러나 취업률, 신입생 충원율 등 주요 지표는 그대로 담겨 있어 일부 학교는 `지방대 죽이기`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날 전국교수노동조합(교수노조)은 성명을 내고 "교육부 평가지표안을 살펴보면 기존 평가지표와 거의 차이가 없다"고 비판했다. 대학들은 내용만 똑같고 무늬만 다른 대학평가 사업이 줄줄이 늘어나고 있다고 비난한다. 지방 B사립대 관계자는 "노무현정부 `BK21` 사업, 이명박정권 `교육역량 강화` 사업 등과 올해 대학구조개혁 평가가 무슨 차이가 있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그동안 대학평가가 양적 지표에 치중돼 정성 지표가 많이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일호 기자 / 김수영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303747
'Insights & Trends > Social/Consum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시계] `175년 기술` 담긴 32억 시계 (0) | 2014.10.15 |
---|---|
[스크랩/관광/중국] 중국인 관광 코스된 `치맥 문화` (0) | 2014.10.14 |
[스크랩/음료/아이템] 생수가 과즙음료 제쳤다 (0) | 2014.10.13 |
[스크랩/운동화] 운동화 1개 모델로 300억 매출 `빅히트` (0) | 2014.10.13 |
[스크랩/부동산] 위례 분양권, 당첨 직후 '웃돈 1억' (0) | 2014.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