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단계 `카톡송금` 조차 금융당국서 아직 심사중

 

◆ 핀테크 금융혁명 ◆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의 약 90%가 이용하는 카카오톡 운영 업체 카카오의 송금 서비스 `뱅크월렛 카카오`는 금융감독원의 보안성 검사가 진행 중이다. LG유플러스는 공인인증서나 액티브X 없이 온라인 결제를 할 수 있는 간편 결제 서비스 `페이나우 플러스`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최근에야 나타나는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금융업 진출 움직임은 역설적이게도 한국 금융 기술 수준의 후진성을 방증한다. 이베이는 1998년 지급결제 서비스 `페이팔`을 내놓았고,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가 `알리페이`를 론칭한 게 2003년이다. 구글이 `구글 월렛`을 출시한 건 2011년이고 2년 뒤에는 이메일 기반 송금 서비스도 선보였다. 아프리카 케냐 이동통신사 사파리컴도 2007년 전자화폐 서비스를 개발했다.

한국은 이 같은 글로벌 흐름에서 뒤처져 있고, 잠재력 있는 핀테크 기업도 없다.

글로벌 벤처기업 소개 사이트인 벤처스캐너에 따르면 핀테크 기업이 가장 많은 나라는 미국(374개)과 영국(57개)이고 한국은 전무하다.

IT 강국 한국에서 왜 이러한 현상이 벌어진 걸까. 국내 금융사 간 경쟁은 기술(비대면채널)이 아닌 사람(대면채널) 중심으로 이뤄졌고, 여전히 기존 관행만 따르려 하고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학원을 마치고 최근 귀국한 직장인 손 모씨는 "미국에서는 은행 점포에서 금융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게 너무 느려 주로 온라인ㆍ모바일을 이용했는데 한국은 반대"라며 "은행 창구 직원 업무 처리 속도가 빠른 반면, 온라인은 너무 불편하다"고 지적했다.

규제도 큰 원인이다. 국내 금융시장 법규상 비금융회사의 독자적인 금융업 진출은 사실상 막혀 있다. 전자금융법상 비금융회사가 할 수 있는 금융 업무로 전자화폐 발행ㆍ관리 등이 있지만, 그마저도 금융위원회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허가 취득 및 등록을 위한 인력 확보, 재무건전성, 주요 출자자의 재무건전성 등과 같은 기준도 금융위가 결정한다. 허가를 받기 위한 최소 자본금도 큰 장애물이다.

내수시장 공략만을 지상 목표로 삼은 한국 금융사의 소극적 대응도 문제다. 주요 금융지주 계열사는 물론 기업계 금융사에까지 만연한 분위기다. 한 금융사 임원은 "최고경영자(CEO) 임기가 정해진 상황에서 금융당국과 각을 세우면서까지 금융 기술에 적극 투자하긴 어렵다"고 토로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캡제미니의 `세계결제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금융에서 모바일 결제 건수는 290억건을 상회할 전망이다.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ICT기업 등 비금융권 비중이 2010년 7%에서 올해 16.3%로 2배 이상 늘어난다는 점이다. 조윤정 산업은행 선임연구원은 "핀테크 기업을 포함한 비금융회사의 금융업 진출 기반이 확대되면서 금융시장 경쟁 구도가 재편되고 있다"며 "미국의 경우 2020년까지 전통적 은행권 시장 점유율이 약 30%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유섭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112609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