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청망청 술잔치 그만…인성부터 배운다
대학 10곳중 9곳 학교·학생회 공동 행사
삼육대는 학교본부 주도로 올해 신입생 환영회(OT)를 이달 중 학교 기숙사에서 3박4일간 진행하기로 했다.
술 먹고 노는 ‘흥청망청’ OT 대신 인성 교육을 주로 하고 비용도 학교 측이 부담한다. 한성대는 작년과 달리 올해 OT를 교내에서 학교 주관으로 개최하는데 학부모들도 함께 참가한다.
부산지역 14개 대학은 올해 OT를 대학본부와 학생회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이 중 영산대 총학생회는 학교 측에 ‘술 없는 OT’를 진행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동안 과도한 음주 등으로 구설에 올랐던 대학 OT가 올해부터 ‘차분한’ 학교 주관 행사로 탈바꿈하고 있다. 총학생회 단독으로 OT를 떠났던 부산외대 학생들이 희생된 마우나오션리조트 참사(작년 2월 17일) 1주년을 앞두고 대학들이 그동안 ‘학생회 주관·학교 밖 진행’을 원칙으로 한 OT 관행을 깨면서 이 같은 변화가 시작됐다. 그러나 일부 대학 학생회는 “학생들끼리 친목을 다지는 OT 전통과 자율성이 침해됐다”며 반발하고 단독 OT를 강행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매일경제신문이 2일 입수한 교육부 ‘대학 신입생 OT 안전관리 현황’에 따르면 전국 144개 대학(본·분교 구분) 중 142개교(98.6%)가 올해 OT를 이미 실시했거나 2~3월 중 추진한다.
교육부는 ‘제2의 마우나 사태’를 막겠다며 지난달 특별 점검을 실시했고 조사 대상 189개 대학 중 144곳이 OT 실시 현황을 제출했다. 작년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 붕괴로 이곳에 OT를 간 부산외대 신입생 등 10명이 사망하자 대학 OT에 대한 안전 문제가 부각되면서 이번 점검이 이뤄진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OT의 범위나 장소를 지정한 게 아니라 올해부터 OT를 학교가 주관하도록 지침을 내린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대학본부가 주관하는 학교는 142개교 중 69곳(48.6%), 대학·학생회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곳은 66개교(46.5%)로 나타났다.
전국 대학 중 95%가 교육부 지침을 따른 것이다. 또 학교 안에서 OT를 치르기로 한 대학은 91개교(64%)로 나타났다. 반면 조사 대상 대학 중 고려대(세종)·대신대·상명대·인천대·차의과학대·한세대·한중대 등 7개교(4.9%)는 교육부 지침을 거부하고 학생회가 단독 주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 학생회장은 “선후배 간 친목 도모의 장인 OT 자율성이 훼손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학생회 단독 OT에 대해선 별도 현장 지도를 실시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 밖 OT도 숙박시설 보험 가입, 사전 안전 답사 등 7대 안전 조치를 준수하도록 지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마우나 사태’ 이후 1년 가까이 흘렀지만 피해 배상은 아직 끝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날 부산외대 등에 따르면 붕괴 사고 피해 학생 300여 명 중 10%가량이 피해 배상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특히 합의한 학생들은 단순 부상을 입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합의하지 못한 학생들은 상담 치료가 필요한 이들이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마우나리조트 관계자는 “합의가 진행되지 못한 이유는 치료가 끝나지 않아 치료비를 계속 지급해야 하기 때문”이라며 “학생회 측이 요구하는 금액 중 상당 부분이 영수증이 없는데 이를 놓고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부산 = 박동민 기자 / 서울 = 이재철 기자 / 문일호 기자]
술 먹고 노는 ‘흥청망청’ OT 대신 인성 교육을 주로 하고 비용도 학교 측이 부담한다. 한성대는 작년과 달리 올해 OT를 교내에서 학교 주관으로 개최하는데 학부모들도 함께 참가한다.
부산지역 14개 대학은 올해 OT를 대학본부와 학생회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이 중 영산대 총학생회는 학교 측에 ‘술 없는 OT’를 진행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동안 과도한 음주 등으로 구설에 올랐던 대학 OT가 올해부터 ‘차분한’ 학교 주관 행사로 탈바꿈하고 있다. 총학생회 단독으로 OT를 떠났던 부산외대 학생들이 희생된 마우나오션리조트 참사(작년 2월 17일) 1주년을 앞두고 대학들이 그동안 ‘학생회 주관·학교 밖 진행’을 원칙으로 한 OT 관행을 깨면서 이 같은 변화가 시작됐다. 그러나 일부 대학 학생회는 “학생들끼리 친목을 다지는 OT 전통과 자율성이 침해됐다”며 반발하고 단독 OT를 강행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매일경제신문이 2일 입수한 교육부 ‘대학 신입생 OT 안전관리 현황’에 따르면 전국 144개 대학(본·분교 구분) 중 142개교(98.6%)가 올해 OT를 이미 실시했거나 2~3월 중 추진한다.
교육부는 ‘제2의 마우나 사태’를 막겠다며 지난달 특별 점검을 실시했고 조사 대상 189개 대학 중 144곳이 OT 실시 현황을 제출했다. 작년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 붕괴로 이곳에 OT를 간 부산외대 신입생 등 10명이 사망하자 대학 OT에 대한 안전 문제가 부각되면서 이번 점검이 이뤄진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OT의 범위나 장소를 지정한 게 아니라 올해부터 OT를 학교가 주관하도록 지침을 내린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대학본부가 주관하는 학교는 142개교 중 69곳(48.6%), 대학·학생회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곳은 66개교(46.5%)로 나타났다.
전국 대학 중 95%가 교육부 지침을 따른 것이다. 또 학교 안에서 OT를 치르기로 한 대학은 91개교(64%)로 나타났다. 반면 조사 대상 대학 중 고려대(세종)·대신대·상명대·인천대·차의과학대·한세대·한중대 등 7개교(4.9%)는 교육부 지침을 거부하고 학생회가 단독 주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 학생회장은 “선후배 간 친목 도모의 장인 OT 자율성이 훼손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학생회 단독 OT에 대해선 별도 현장 지도를 실시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 밖 OT도 숙박시설 보험 가입, 사전 안전 답사 등 7대 안전 조치를 준수하도록 지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마우나 사태’ 이후 1년 가까이 흘렀지만 피해 배상은 아직 끝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날 부산외대 등에 따르면 붕괴 사고 피해 학생 300여 명 중 10%가량이 피해 배상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특히 합의한 학생들은 단순 부상을 입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합의하지 못한 학생들은 상담 치료가 필요한 이들이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마우나리조트 관계자는 “합의가 진행되지 못한 이유는 치료가 끝나지 않아 치료비를 계속 지급해야 하기 때문”이라며 “학생회 측이 요구하는 금액 중 상당 부분이 영수증이 없는데 이를 놓고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부산 = 박동민 기자 / 서울 = 이재철 기자 / 문일호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108299
'Insights & Trends > Social/Consum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문화] 유니클로가 바꾼 대한민국 라이프스타일 (0) | 2015.02.07 |
---|---|
[스크랩/미디어] 집에서 TV 왜 봐!…한국도 ‘인터넷TV’시대 (0) | 2015.02.03 |
[스크랩/부동산] 전세금 급등이 집값 밀어올렸다 (0) | 2015.02.02 |
[스크랩/사회/언론] 하루 3개꼴 늘어나는 인터넷언론…기업 위협하는 흉기 (0) | 2015.02.02 |
[스크랩/사회/취업] [기자 24시] 패션계 ‘열정페이’ 관행 척결해야 (0) | 201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