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구당 月430만원 벌어 255만원 지출

노후·주거비 걱정에 소비성향 72.9% 최저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 씀씀이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경기 불안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급속히 진행 중인 고령화까지 겹친 탓에 좀처럼 소비가 늘지 못한 것이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4년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액 비중을 나타내는 평균 소비성향은 72.9%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 가계가 100만원을 쓸 수 있는데 72만9000원만 지출했다는 의미로 2013년(73.4%)보다도 0.5%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2003년 77.9%로 출발했던 국내 가계의 평균 소비성향은 2010년(77.3%) 이후 4년째 내리막길을 걷는 중이다. 

해마다 평균 소비성향이 낮아지는 것은 지출 증가율이 소득이 늘어나는 정도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430만2000원으로 3.4% 늘었지만 월 평균 소비지출은 255만1000원으로 2.8% 증가하는 데 그쳤다. 통계청은 작년 취업자 증가로 근로소득(3.9%)이 늘었고, 기초연금 지급으로 이전소득(4.2%)이 늘어 소득 증가율이 2013년(2.1%)을 웃돌았다고 분석했다. 

반면 지난해 소비증가율(2.8%)은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등 사회보험료(2013년 대비 7.2% 증가)와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5.4% 증가), 조세(5.8% 증가) 등을 포함한 비소비지출 부문 증가폭(3%)을 밑돌았다. 노후와 주거 문제에 대한 불안 때문에 지갑을 닫아버린 것이다. 

특히 생계가 팍팍한 저소득층은 2013년보다 소득이 늘었지만 오히려 소비를 줄인 것으로 파악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가구별 소득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 소득은 2013년보다 5.6% 증가한 146만원이었지만 소비지출은 전년보다 0.1% 줄어든 125만7000원을 기록했다. 이에 소득 1분위 평균 소비성향은 104.1%로 2013년보다 7.8%포인트 급감했다. 

가계가 돈을 벌어들인 만큼 소비하지 않는 상황이 이어진다면 우리 경제에도 좋을 게 없다.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고 가계마저 소비를 줄인다면 정부 혼자서 아무리 지출을 늘리더라도 경기를 반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은퇴를 앞둔 베이비부머들이 좀 더 오랫동안 일할 수 있도록 정년 연장을 제대로 시행하고, 은퇴 세대가 보유한 자산을 역모기지 등을 통해 유동화시켜서 소비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가계소득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 주환욱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최근 유가 하락이 공공요금에 즉시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유치원비 인상률 상한제 도입, 전세임대주택 1만가구 추가 공급 등 생계비 경감을 통해 가계 소비를 촉진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윤수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149264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