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2014년 가계동향’을 보면 소득은 늘었는데 지출은 그에 맞춰 늘리지 못하는 게 가계의 살림살이 형편이다. 지난해 가계별 월평균 소득은 430만2000원으로 전년 대비 3.4% 늘었다. 반면 지출은 월평균 335만6000원으로 전년에 비해 2.9% 늘어나는 데 그쳤다. 내구재 구입이나 여가 등 소비지출과 조세 및 연금·사회보험료 같은 비소비지출이 함께 이뤄졌지만 고령화에 대한 불안이나 가계부채로 지출에 적극적일 수 없었다.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액 비중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72.9%를 기록했다. 100만원을 쓸 수 있는데 72만9000원만 지출했다는 뜻이다. 2003년엔 77.9%였던 가계의 평균소비성향은 2010년(77.3%) 이후 4년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실제로 생활 속에서 가계의 호주머니 사정은 녹록지 않다. 현대경제연구원 분석보고서를 보면 2013년 기준 가계별 가처분소득은 1990년에 비해 4.7배로 늘었지만 주거비와 교육비에 허덕이느라 중산층 삶의 질은 되레 뒷걸음질쳤다. 전세보증금은 평균 13배나 올랐고, 사교육비는 가처분소득의 10.5%를 차지해 가계를 짓눌렀다. 이러니 여가나 취미에 돈 쓸 여유는 늘 없는 것이다. 가처분소득이 중위 소득의 50~150%에 속하는 중산층 비중은 1990년 75.5%에서 2000년 71.7%로, 2013년엔 69.7%로 점차 엷어지고 있다.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소득 격차도 더 벌어지면서 분배 구조도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도시 가구 1분위(최저소득층)와 10분위(최고소득층) 간 명목 기준 소득 격차가 1990년에 비해 6배까지 벌어졌다는 분석도 있다. 고소득층은 이렇게 소득이 더 늘어나는데도 되레 지갑을 더 열지 않아 10분위 대상자의 평균소비성향은 60%에도 미치지 못한다. 고소득층도 고령화에 대비하느라 저축을 늘리고 부동산 가격 하락을 메울 자산 효과를 찾지 못해 많이 벌어도 소비를 늘리지 않아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가계소득 증진이 소비 활성화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려면 경제 전반의 체질을 개선하는 부단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기업은 투자를 늘려 양질의 일자리를 계속 만들어내고, 내부유보금 등으로 쌓여 있는 기업 소득이 가계 소득으로 환류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생산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자발적인 임금 인상이 병행되도록 함으로써 가계 소득을 확충할 기반을 쌓아주는 일도 중요하다.


출처: http://news.mk.co.kr/column/view.php?year=2015&no=150532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