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 콘텐츠진흥원, 웹툰 산업 보고서 발표

지난해 1719억원 규모…간접광고 시장까지 확장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웹툰 '미생'은 지난해 TV 드라마로 방영돼 신드롬을 일으켰고, '은밀하게 위대하게'는 동명 영화로 개봉돼 관객 700만명을 끌어모았다. 그러나 웹툰의 영역 확장은 영화나 드라마에 국한되지 않는다. 지난해 연말까지 애니메이션 8개, 연극 등 공연 11편이 웹툰을 원작으로 제작됐으며 이들 분야 다수 작품도 판권 계약을 마쳤다. 기업 브랜드 스토리를 담은 브랜드 웹툰, 작품 속에 기업 브랜드를 등장시키는 간접광고(PPL) 등으로까지 수익 범위를 넓혀나가고 있다. 부가시장 등 산업 규모가 증가하다보니 콘텐츠 관리를 대행하는 다수 웹툰 에이전시까지 등장할 지경이다. 

웹툰시장 성장이 놀라울 따름이다. 이처럼 빠르게 커지고 있는 우리나라 웹툰시장의 현황을 파악한 보고서가 처음으로 나왔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송성각)은 1일 '웹툰산업 연구조사'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문체부는 보고서에 웹툰시장 규모와 경제적 특성, 효과, 수익 구조 등 다양한 방면의 연구 결과와 향후 전략을 담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웹툰시장 총 규모는 약 171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웹툰을 통해 발생하는 1차 시장을 합산한 규모다. 구체적으로 웹툰 작가들의 원고료 수입 536억원, 보조작가 인건비 268억원, 플랫폼 광고 수익 405억원, 유료 콘텐츠 이용 수입 112억원 등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포털, 웹툰 전문 사이트 등에서 활동하는 작가가 4661명이며 돈을 받고 서비스하는 유료 웹툰이 748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툰 작가들의 원고료는 신인 작가의 경우 주 1회 연재 기준 월 120만~200만원, 경력 작가는 회당 70만~80만원이었다. 유명 작가가 되면 회당 500만~600만원으로 치솟는다. 판권을 다른 분야에 판매하는 라이선싱 수익은 최근 가장 부각되는 분야다. '미생'은 2013년 5월 '미생 프리퀄'이라는 이름으로 모바일 무비로 개봉한 데 이어 지난해 TV 드라마로 만들어져 최고 시청률 10.3%를 달성하면서 케이블 드라마 사상 최대 시청률을 올렸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콘텐츠진흥원 '2014년 만화연계콘텐츠 제작지원사업' 지원작인 '연애세포'도 지난해 11월 총 15부작의 웹드라마로 제작·방영돼 본편 재생 수 600만뷰 이상을 기록했으며 미주지역과 중국, 홍콩지역에 판권이 판매되기도 했다. 웹툰의 작품당 판권료는 5000만~1억원 수준이었다. 이같이 웹툰을 다양한 콘텐츠에 활용하는 원소스멀티유즈(One Source Muti Use)가 활발해지면서 지난해 연말 기준으로 총 73개 작품이 판권 계약을 통해 영화, 드라마는 물론 애니메이션, 공연, 게임 등으로 다시 제작되거나 제작 대기 중이다. 웹툰의 파급력이 확대되면서 광고를 통한 수익도 올린다. 웹툰을 기업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기업 브랜드 스토리를 담은 웹툰을 연재하는 브랜드 웹툰, 배너광고, 간접광고(PPL) 등으로 다양한 수익을 창출한다. 웹툰 수익이 늘어나면서 웹툰 에이전시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현재 활동 중인 웹툰 에이전시는 9개 업체며 여기에 소속된 작가는 235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웹툰시장 규모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재생산되며 얻어지는 각종 부가가치 및 해외 수출을 모두 감안하면 훨씬 커질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들 모두를 고려한 웹툰의 총 생산 유발액은 27조4285억원으로 전체 산업의 1.7%, 부가가치 유발액은 9조8245억원으로 전체 산업의 1.6%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웹툰이 한국의 고유한 만화 플랫폼이고 다양한 소재와 장르를 그려내 세계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를 위해 국가적인 지원을 통한 글로벌화 전략과 현지의 문화, 언어에 적합한 번역, 현지화 등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한철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526575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