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자가 찍자면 언제든 OK
미국 대선 후보들의 '셀카' 열풍이 뜨겁다.
민주당 유력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을 비롯해 랜드 폴 공화당 상원의원, 공화당 소속 젭 부시 전 플로리다 주지사 등은 유세 현장에서 유권자들과 함께 셀카 찍기에 여념이 없다. 뉴욕타임스는 이 같은 현상을 '셀피 선거'라고 표현했다. '셀피'는 '셀카'의 미국식 표현이다.
랜드 폴 의원은 지난달 뉴햄프셔 주에서 2시간을 할애해 셀카 찍는 시간을 가졌다. 테드 크루즈 공화당 상원의원은 각종 행사 전후에 별도의 셀카타임을 갖고 있다. 젭 부시 전 주지사는 셀카봉을 항상 휴대하고 다닐 정도다.
대선 주자들의 셀카 행보는 이 같은 직접 소통이 '약발'이 먹힌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클린턴 전 장관은 최근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동성애 소년의 고민을 위로하고 격려해 화제를 모았다. 이는 최근 뉴햄프셔 거리행진에서 흰색 밧줄까지 동원해 기자들 접근을 막은 것과 대조적이다.
클린턴 전 장관은 페이스북에 "동성애자인 나는 미래가 두렵다"는 10대 소년이 쓴 글이 올라오자 2시간 만에 "한 어른의 예상 : 네 미래는 굉장할 거야. 넌 네가 뭘 할 수 있을지, 앞으로 하게 될 놀라운 일들이 무엇인지 스스로 찾아낼 거야. 너를 사랑하고 믿어줄 사람들을 찾아보길"라고 댓글을 달았다.
클린턴 전 장관이 쓴 답변에 3만3000명이 '좋아요'를 눌렀다. 힐러리 선거캠프 공보 부수석인 크리스티나 셰이크는 클린턴 전 장관의 댓글을 찍어 트위터로 공유했다.
하지만 대선 주자들의 셀카와 댓글 홍보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정책을 이해할 통로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셀카와 댓글로 소통을 했다고 해서 그 후보를 지지하게 되는지도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 이유다.
[워싱턴 = 이진명 특파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645528
'Insights & Trends > Social/Consum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쇼핑/해외] 15일 `아마존데이`에 흥분하는 전세계 직구족 (0) | 2015.07.09 |
---|---|
[스크랩/사회] "양육비 내놔라" 이혼부부의 2차전쟁 (0) | 2015.07.08 |
[스크랩/사회/창업] 취업난에 떠밀려 창업…"결혼 안해도 돼" 60% (0) | 2015.07.08 |
[스크랩/통신] 전세계 이통가입 72억명 에릭슨 분석…인구수 곧 추월 (0) | 2015.07.08 |
[스크랩/사회/대학] 서울대 연구역량 1위, 연세대 창의성 1위, 고려대 조직친화 1위 (0) | 201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