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년 애써 키워놓으면 대기업으로 `메뚜기 이직`

中企도 처우개선 할수있게 납품 적정수익 보장해줘야


◆ 양극화 이렇게 풀자 ② 기업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핵심에는 '인력 양극화'가 자리 잡고 있다. 대기업에는 '스펙 뻥튀기'를 해서라도 들어가려 하고, 중소기업은 문을 활짝 열어 놓고 기다리고 있는데도 눈길 한번 주지 않는다. 한 인사 담당자는 "입사 지원자 중에는 중소기업에 입사하는 것을 진정한 취직으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고 귀띔했다. 

이처럼 청년 인재들이 대기업만 바라보는 이유는 간단하다. 중소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종업원 5~9인 규모 소기업 월평균 임금은 222만원으로 300인 이상 대기업(447만원) 대비 50% 수준에 불과하다. 더 큰 문제는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시간이 흐를수록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1994년 '종업원 5인 이상 299인 이하' 중소기업 임금은 '300인 이상 대기업' 임금 대비 76.7%였다. 하지만 이 비율은 점차 떨어져 2002년 70% 밑으로 내려갔고 2010년에는 59.9%까지 떨어졌다. 

급여 차이는 이직에도 영향을 미친다.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중소기업 직원들이 이직하는 이유로 임금 수준 불만족(48%)이 가장 많았고 작업 환경 불만족(24.3%), 타 업종 근무 선호(24%), 유사 중소기업 스카우트(10.5%) 순이었다. 채용하기도 어렵고 이직도 심하다 보니 중소기업들은 늘 인재가 없다고 아우성이다. 

지방 기업일수록 상황은 더 안 좋다. 화성시 소재 금형업체 W사 대표는 "병역특례, 특목고나 마이스터고 인력으로 그나마 충원하고 있는데 이들도 얼마간 일하고 자리를 잡으면 더 큰 기업으로 가 버린다"고 하소연했다. 요트를 제조하는 P사 관계자도 "정규직을 채용하면 정부에서 임금을 지원하고 세제혜택도 준다고 하지만 장기근속하려는 사람 자체가 없기 때문에 실효성이 별로 없다"고 토로했다. 

중소기업이 대기업만큼 직원들에게 혜택을 줄 수 없는 것은 적정 수익을 낼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중소기업 중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대기업 협력사들은 제대로 된 납품단가를 인정받지 못하고, 그러다 보니 부가가치 높은 신사업에 투자할 여력도 없다. 자동차 도금 전문 협력업체인 A사는 매년 영업이익률이 떨어지더니 올해는 제로에 가까워졌다. 연매출은 30억원대인데 이익이 거의 없어 연구개발(R&D)은커녕 똑같은 제품을 찍어내기도 힘들다. 이 회사 대표는 "대기업에 꽉 잡혀 있다 보니 회사 운영은 이른바 '인건비 따먹기'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대·중기 생산액 편차는 2007년 25조9000억원에서 2013년 74조1000억원으로 3배가량 벌어졌다. 부가가치 격차도 2007년 중소기업이 174조7000억원으로 대기업 170조3000억원에 앞섰지만 2010년 역전된 뒤 그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소한섭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은 "불공정 행위, 경영자의 보수적 마인드, 사회 전반의 부정적 인식 등으로 핵심 인력을 못 구한 중소기업 경쟁력이 떨어지고 대기업과 격차는 더 심해지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주요 기업집단 매출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삼성 21.2%, 현대차 11.5%, SK 11.1%, LG 8.1%, 롯데 4.2%였다. 한국에 있는 전체 370만여 개 기업 가운데 300인 이상 기업은 0.1% 미만이다. 상위 0.1% 기업이 한국 기업 전체 매출 중 50% 넘게 차지한다. '99-88'이라는 말이 있듯이 중소기업 수가 99%, 중소기업 고용이 88%에 달한다. 

[민석기 기자 / 정순우 기자 / 김정범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859318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