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층 재교육 담당효과 큰데 대학특성화사업 지원 11억 불과…규제 줄이고 전담기구 따로둬야

중장년층 교육 수요를 충족해주고 있는 사이버대학에 대한 규제는 줄이고 지원은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이버대학들은 최근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구조개혁이 진행되면서 위기와 함께 기회를 맞고 있다.
최근 오봉옥 서울디지털대 부총장은 “고졸자보다 대졸자가 많은 시대다. 단순히 대학 졸업장이 필요한 게 아니라 직무능력 향상과 자아 실현을 위해 학습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며 “이러한 시대적 변화를 감안할 때 사이버대는 교육 복지 차원에서 바라봐야 하며 정부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2001년 ‘평생교육법’을 근거로 원격대학 형태 평생교육시설로 설립된 사이버대학은 2007년에는 ‘고등교육법’에 의한 고등교육기관으로 전환되면서 꾸준히 발전해 왔다.
설립 첫해 9개 학교에 재학생 6000여 명이었던 사이버대학 규모도 지난해에는 21개 학교에 재학생 9만9000여 명에 이르는 등 급속하게 성장했다. 특히 학생 3분의 2가 직장인인 사이버대학은 경력 단절 없이 경제활동과 교육활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사회적 재교육 수요를 흡수하고 있는 고등교육기관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사이버대는 정부 지원 사각지대에 놓여 있고 오히려 규제만 많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지난 3월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학 구조개혁과 사이버대학의 미래 방향’이라는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한 강은희 새누리당 의원은 “사이버대학은 실질적인 자기 성장 수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꾸준히 확산돼 나갈 교육 패러다임”이라며 “이미 국내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명문대를 중심으로 온라인 공개강좌와 학점·학위 취득 과정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국내 사이버대학이 보다 미래 지향적이고 창조적인 성장을 계속해 나가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제도 개선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이버대학은 진입 장벽이 높지 않으며 전문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실제 사이버대학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나 내신을 반영하지 않고 학교에서 만든 자체 시험, 인·적성 면접, 논술 등을 통해 학생을 선발하며 등록금은 일반 대학 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하다. 또 사이버대학은 평균 기대수명 100세 시대에 중장년층 재교육을 담당하는 효과적 수단이다. 사이버대학 연령별 등록생 분포 비율을 살펴보면 30대와 40대 등록생을 합한 비율이 2008년 55.8%, 2010년 54.7%, 2012년 53.7%, 2013년 53.4%로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50대 등록생 비율도 2008년 4.5%, 2010년 5.4%, 2012년 7.5%, 2013년 8.2%로 꾸준히 늘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대학에 대한 정부 지원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14년 대학특성화 사업 지원 현황에 따르면 수도권 대학에 556억원, 지방대에 2031억원, 전문대에 2696억원, 대학평생교육 활성화에 263억원을 투입한 반면 사이버대학에는 고작 11억7000만원이 배당됐다.
사이버대학들은 교육부에 원격대학을 전담하는 제대로 된 기구가 없다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한다. 현재 사이버대학은 전담 기구가 아닌 교육부 교육정보통계국 산하 이러닝과에서 담당하고 있다. A사이버대학 관계자는 “교육정보통계국 자체가 전문 교육자보다는 기술 인력이 많아 사이버대학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다”며 “사이버대학이 교육 기구가 아닌 오프라인 매개체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업무 담당자들마저 자주 바뀌어 사이버대학이 등한시되고 있다”고 밝혔다. 윤병국 경희사이버대학 교수는 “오프라인 대학과 사이버대학 수요층 기능이 다르다”면서 “사이버대학에 대한 정부의 근본적 인식 전환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이버대학이 정부 지원만 바라고 있는 것은 아니다. 자체 평가를 통해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사이버대학 모임인 한국원격대학협의회는 작년에 사이버대학 역량평가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교직원, 교육과정, 정보화 등 5개 영역에서 우수한 사례를 발굴하고 미흡한 부분은 컨설팅을 통해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다.
사이버대학들은 최근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구조개혁이 진행되면서 위기와 함께 기회를 맞고 있다.
최근 오봉옥 서울디지털대 부총장은 “고졸자보다 대졸자가 많은 시대다. 단순히 대학 졸업장이 필요한 게 아니라 직무능력 향상과 자아 실현을 위해 학습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며 “이러한 시대적 변화를 감안할 때 사이버대는 교육 복지 차원에서 바라봐야 하며 정부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2001년 ‘평생교육법’을 근거로 원격대학 형태 평생교육시설로 설립된 사이버대학은 2007년에는 ‘고등교육법’에 의한 고등교육기관으로 전환되면서 꾸준히 발전해 왔다.
설립 첫해 9개 학교에 재학생 6000여 명이었던 사이버대학 규모도 지난해에는 21개 학교에 재학생 9만9000여 명에 이르는 등 급속하게 성장했다. 특히 학생 3분의 2가 직장인인 사이버대학은 경력 단절 없이 경제활동과 교육활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사회적 재교육 수요를 흡수하고 있는 고등교육기관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사이버대는 정부 지원 사각지대에 놓여 있고 오히려 규제만 많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지난 3월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학 구조개혁과 사이버대학의 미래 방향’이라는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한 강은희 새누리당 의원은 “사이버대학은 실질적인 자기 성장 수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꾸준히 확산돼 나갈 교육 패러다임”이라며 “이미 국내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명문대를 중심으로 온라인 공개강좌와 학점·학위 취득 과정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국내 사이버대학이 보다 미래 지향적이고 창조적인 성장을 계속해 나가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제도 개선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이버대학은 진입 장벽이 높지 않으며 전문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실제 사이버대학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나 내신을 반영하지 않고 학교에서 만든 자체 시험, 인·적성 면접, 논술 등을 통해 학생을 선발하며 등록금은 일반 대학 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하다. 또 사이버대학은 평균 기대수명 100세 시대에 중장년층 재교육을 담당하는 효과적 수단이다. 사이버대학 연령별 등록생 분포 비율을 살펴보면 30대와 40대 등록생을 합한 비율이 2008년 55.8%, 2010년 54.7%, 2012년 53.7%, 2013년 53.4%로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50대 등록생 비율도 2008년 4.5%, 2010년 5.4%, 2012년 7.5%, 2013년 8.2%로 꾸준히 늘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대학에 대한 정부 지원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14년 대학특성화 사업 지원 현황에 따르면 수도권 대학에 556억원, 지방대에 2031억원, 전문대에 2696억원, 대학평생교육 활성화에 263억원을 투입한 반면 사이버대학에는 고작 11억7000만원이 배당됐다.
사이버대학들은 교육부에 원격대학을 전담하는 제대로 된 기구가 없다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한다. 현재 사이버대학은 전담 기구가 아닌 교육부 교육정보통계국 산하 이러닝과에서 담당하고 있다. A사이버대학 관계자는 “교육정보통계국 자체가 전문 교육자보다는 기술 인력이 많아 사이버대학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다”며 “사이버대학이 교육 기구가 아닌 오프라인 매개체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업무 담당자들마저 자주 바뀌어 사이버대학이 등한시되고 있다”고 밝혔다. 윤병국 경희사이버대학 교수는 “오프라인 대학과 사이버대학 수요층 기능이 다르다”면서 “사이버대학에 대한 정부의 근본적 인식 전환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이버대학이 정부 지원만 바라고 있는 것은 아니다. 자체 평가를 통해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사이버대학 모임인 한국원격대학협의회는 작년에 사이버대학 역량평가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교직원, 교육과정, 정보화 등 5개 영역에서 우수한 사례를 발굴하고 미흡한 부분은 컨설팅을 통해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다.

[기획취재팀 = 문일호 팀장 / 김수영 기자 / 김시균 기자 / 송민철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457936
'Insights & Trends > Social/Consum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사회/풍자] (스압)연세대 경제학과가 생각하는 노력충 병신들 (0) | 2014.11.25 |
---|---|
[스크랩/교육/심리] 경희사이버대학교, 상담 전문가 양성위한 ‘상담심리학과’ 신설 (0) | 2014.11.25 |
[스크랩/식음료] 반포 센트럴시티에 고급 식음료관 (0) | 2014.11.25 |
[스크랩/인구] 내년 인구 ‘女>男’ 처음 추월 (0) | 2014.11.24 |
[스크랩/소비] 백화점 겨울세일에 지갑닫은 소비자 (0) | 201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