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인구 ‘女>男’ 처음 추월

女 2531만명 - 男 2530만명



 기사의 0번째 이미지

내년부터 여초(女超) 현상이 본격화한다. 여성 인구가 남성 인구를 추월하는 원년이 되기 때문이다. 

23일 통계청이 내놓은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내년에 여성 인구는 2531만명을 기록하면서 남성 인구(2530만명)를 처음으로 추월할 전망이다. 남아 선호사상이 강했던 한국에서 남녀 인구 역전 현상이 가시화한 것으로 이는 1960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여성 인구는 2031년 2626만명을 정점으로 2032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고 남성 인구는 2029년 2591만명을 정점으로 2030년부터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여초 현상이 나타나게 된 원인은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영향이다. 작년 출생성비는 105.3으로 이는 여아 100명당 남아가 5.3명 더 많다는 의미다. 이는 여전히 아들이 많이 태어나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출산율은 낮은 반면 고령 인구 비중이 늘어나면서 여성의 기대수명이 남성보다 길기 때문에 전체 여성 인구가 남성보다 많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639만명을 기록한 고령 인구는 계속 늘어나 2017년에는 712만명으로 700만명을 넘어서면서 유소년(0∼14세) 인구(684만명)를 사상 처음으로 추월할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고령 인구 비중은 올해 12.7%에서 2017년에는 14.0%에 도달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 2000년 고령화사회(65세 이상 인구 7% 이상)에 진입한 이후 17년 만에 고령사회를 맞게 된다. 고령 인구 비중은 계속 높아져 2026년 20.8%까지 올라가고 한국은 고령사회가 된 지 10년도 안 돼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김유태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455690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