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급 이상 관리직은 11%
내년부터 여성 공무원 수가 남성을 앞지르는 공직 사회 ‘여초(女超)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인사혁신처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행정부 국가직 공무원 중 여성 공무원 숫자가 전체 공무원(63만4051명)의 49.0%에 달하는 31만860명을 기록했다고 1일 발표했다.
여성 공무원의 비율은 2000년 35.6%에서 2005년 43.3%, 2010년 47.2%, 2014년 49.0%로 매년 높아졌다. 혁신처는 내년에 여성 공무원 수가 남성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직종별로 여성 공무원의 비율을 보면 교육직이 69.3%로 가장 많았고, 일반직 32.9%, 외무직 29.1%, 검사 26.8%, 경찰 8.8%, 정무직 6.7%, 소방 5.0% 등이었다. 4급 이상 관리직 여성 공무원의 비율은 2010년 7.4%에서 2014년 11.0%로 높아졌다. 고위 공무원단(1, 2급)의 여성 공무원 비율은 2010년 3.4%에서 2012년 4.2%, 지난해 4.5%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5급 승진자와 경력 채용에서도 여성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5급으로 승진한 여성의 비율은 2010년 10.9%에서 2014년 16.4%로 상승했다. 5급 경력채용으로 공직에 진출한 여성의 비율도 2010년 34.7%에서 2014년 43.0%로 8.3%포인트 높아졌다.
이와 함께 혁신처는 2010년 1만8000여명에 불과하던 육아휴직 인원이 2011년 2만6000여명, 2012년 2만9000여명, 2013년 3만2000여명, 2014년 3만3000여명으로 증가해 제도가 정착단계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출처: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70175831
'Insights & Trends > Social/Consum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소비/질병] [Case Study] 메르스發 소비 충격, 놀이동산 > 레스토랑 > 버스 > 백화점 > 아웃렛… (0) | 2015.07.03 |
---|---|
[스크랩/사회/전문가] [세상읽기] 우리 사회에 전문가가 없는 이유 (0) | 2015.07.02 |
[스크랩/소비/아이템] 아빠들 애타게 만드는 `터닝메카드` 가 뭐기에 (0) | 2015.07.01 |
[스크랩/소비] 귀리·퀴노아·렌틸콩 …`슈퍼곡물` 한국인 밥상을 점령하다 (0) | 2015.07.01 |
[스크랩/도서] 정리하는 뇌 / 대니얼 J. 레비틴 지음 / 김성훈 옮김 / 와이즈베리 펴 [서평] 브리짓 슐트의 <타임 푸어> (0) | 201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