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불법없다…3만건 공개할것"
공화당 "전체 다 내놔라" 연일 공세
민주당 유력 대권 주자인 힐러리 클린턴이 국무장관 재임 시절 국무부 이메일 계정이 아닌 개인 메일 계정을 쓴 데 대한 논란이 미국 정계를 휘젓고 있다. 공화당이 "보안 규정을 위반했다"며 연일 정치 공세를 벌이자 클린턴이 직접 진화에 나섰지만 해명이 명쾌하지 않아 논란만 더 키운 꼴이 됐다. 보수 언론 등 일각에선 '클린턴 중도 하차론'까지 불거지면서 이메일 게이트가 미국 차기 대선의 폭풍의 눈으로 등장하는 모습이다.
지난 1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힐러리 클린턴 전 장관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업무와 관련된 개인 이메일을 사용한 논란에 대해 "두 개의 기기(휴대폰)를 들고 다니는 불편을 피하기 위한 취지"라고 해명했다. 그는 "불편해도 2개의 휴대폰과 메일을 사용했어야 했다"면서도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규정 위반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번 이메일 논란의 시발점은 9·11 테러 11주년인 2012년 9월 11일 리비아 무장반군이 벵가지 미국 영사관을 공격해 크리스토퍼 스티븐스 대사 등 미국인 4명이 숨진 사건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사건은 오마바 행정부의 대표적 외교 실패 사례로 꼽혔고 당시 국무장관을 맡고 있던 클린턴에게 비난의 화살이 쏟아졌다. 야당인 공화당 의원들은 사건진상조사특위를 만든 후 사건과 관련된 클린턴 전 장관의 이메일 정보 공개를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다. 흘러가는 사건의 모양새는 한국을 한때 흔들었던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훼손 사건, 이른바 '사초사건'과 닮은꼴이다.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의 남북 정상회담 당시 서해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의 진위를 둘러싸고 여야 간 회의록 공개 논란이 일었고 결국 이 논란은 회의론 원본 훼손 사건으로 검찰 고발로까지 이어졌다.
미국 공화당 의원들 역시 공방이 가열되면서 "일부러 벵가지 사건과 관련한 이메일을 제출하지 않는 것이라면 범죄 혐의로 기소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이날 클린턴 전 장관은 이미 국무부에 넘긴 업무 관련 메일 3만490건을 대중에 공개하기로 했다. 그러나 나머지 절반에 속하는 3만2000건의 메일은 "이미 지웠다"며 공개를 거부한 것도 사초사건과 비슷하다.
그러나 공화당 의원들은 "어떤 이메일을 공개할지 말지는 클린턴 전 장관이 결정하는 것이며 모든 사람은 클린턴 전 장관의 판단을 신뢰해야 한다는 뜻이냐"며 공격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또 클린턴이 사용한 'clintonemail.com' 계정은 남편인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을 위한 것으로 정보기관의 보호를 이미 받고 있어 해킹 위험 등 보안상 저촉될 게 없다는 얘기다.
이메일 조사가 완료되려면 몇 달이 소요될 전망이다. 논란의 시발점이 된 벵가지 대사관 테러 사건과 관련된 300여 건 이메일은 미리 공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날 클린턴 전 장관이 내놓은 "2개의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불편했다"는 해명은 또 다른 공격 빌미를 주고 있다. 트레이 가우디 벵가지 특별조사위원회 의장(공화·사우스캐롤라이나)은 "아이패드, 블랙베리폰, 아이폰 등 여러 기기를 다루는 모습이 대중에게 자주 목격됐다"며 공세를 계속 퍼부었다.
클린턴도 역공에 나섰다. 이날 클린턴 전 장관은 "공화당 의원들은 이란을 돕거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해치려 한다"고 말했다.
이란 핵 협상을 비판하던 공화당 의원들이 정권 재창출에 성공하면 오바마 대통령과 합의한 내용도 폐기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긴 공개 서한을 이란 지도자들에게 보낸 것을 염두에 둔 얘기다. 개인 이메일에 대한 공격을 공화당의 반역성 서한(Letter)에 대한 공격으로 받아친 셈이다.
[이지용 기자]
지난 1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힐러리 클린턴 전 장관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업무와 관련된 개인 이메일을 사용한 논란에 대해 "두 개의 기기(휴대폰)를 들고 다니는 불편을 피하기 위한 취지"라고 해명했다. 그는 "불편해도 2개의 휴대폰과 메일을 사용했어야 했다"면서도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규정 위반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번 이메일 논란의 시발점은 9·11 테러 11주년인 2012년 9월 11일 리비아 무장반군이 벵가지 미국 영사관을 공격해 크리스토퍼 스티븐스 대사 등 미국인 4명이 숨진 사건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사건은 오마바 행정부의 대표적 외교 실패 사례로 꼽혔고 당시 국무장관을 맡고 있던 클린턴에게 비난의 화살이 쏟아졌다. 야당인 공화당 의원들은 사건진상조사특위를 만든 후 사건과 관련된 클린턴 전 장관의 이메일 정보 공개를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다. 흘러가는 사건의 모양새는 한국을 한때 흔들었던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훼손 사건, 이른바 '사초사건'과 닮은꼴이다.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의 남북 정상회담 당시 서해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의 진위를 둘러싸고 여야 간 회의록 공개 논란이 일었고 결국 이 논란은 회의론 원본 훼손 사건으로 검찰 고발로까지 이어졌다.
미국 공화당 의원들 역시 공방이 가열되면서 "일부러 벵가지 사건과 관련한 이메일을 제출하지 않는 것이라면 범죄 혐의로 기소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이날 클린턴 전 장관은 이미 국무부에 넘긴 업무 관련 메일 3만490건을 대중에 공개하기로 했다. 그러나 나머지 절반에 속하는 3만2000건의 메일은 "이미 지웠다"며 공개를 거부한 것도 사초사건과 비슷하다.
그러나 공화당 의원들은 "어떤 이메일을 공개할지 말지는 클린턴 전 장관이 결정하는 것이며 모든 사람은 클린턴 전 장관의 판단을 신뢰해야 한다는 뜻이냐"며 공격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또 클린턴이 사용한 'clintonemail.com' 계정은 남편인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을 위한 것으로 정보기관의 보호를 이미 받고 있어 해킹 위험 등 보안상 저촉될 게 없다는 얘기다.
이메일 조사가 완료되려면 몇 달이 소요될 전망이다. 논란의 시발점이 된 벵가지 대사관 테러 사건과 관련된 300여 건 이메일은 미리 공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날 클린턴 전 장관이 내놓은 "2개의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불편했다"는 해명은 또 다른 공격 빌미를 주고 있다. 트레이 가우디 벵가지 특별조사위원회 의장(공화·사우스캐롤라이나)은 "아이패드, 블랙베리폰, 아이폰 등 여러 기기를 다루는 모습이 대중에게 자주 목격됐다"며 공세를 계속 퍼부었다.
클린턴도 역공에 나섰다. 이날 클린턴 전 장관은 "공화당 의원들은 이란을 돕거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해치려 한다"고 말했다.
이란 핵 협상을 비판하던 공화당 의원들이 정권 재창출에 성공하면 오바마 대통령과 합의한 내용도 폐기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긴 공개 서한을 이란 지도자들에게 보낸 것을 염두에 둔 얘기다. 개인 이메일에 대한 공격을 공화당의 반역성 서한(Letter)에 대한 공격으로 받아친 셈이다.
[이지용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233980
'Insights & Trends > Environmental/Glob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환경] 지난달 서울 미세먼지, 작년 보다 50% 악화 (0) | 2015.03.16 |
---|---|
[스크랩/환경] 美 연구팀 분석 "2036년부터 온난화 대재앙 온다" (0) | 2015.03.12 |
[스크랩/세계/경제] 신흥국 금융위기 또 닥치나…슈퍼달러 글로벌 경제 강타 (0) | 2015.03.12 |
[스크랩/브랜드/삼성] `삼성` 이름값만 90조원…애플 이어 세계 2위 (0) | 2015.03.06 |
[스크랩/세계/경제/기업] GE왕국 이멀트의 추락…퇴진론 솔솔 (0) | 201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