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통신] 단통법 후폭풍…10월들어 이동전화 일평균 가입자 33% 줄었다
Insights & Trends/Political/Regulatory 2014. 10. 13. 08:22미래부 이동통신 시장 변화 분석 발표, 중고폰가입도 늘고 저가요금제 비중도 높아져
자료 제공 -미래부 © News1 |
10월부터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이 시행된 이후 이동전화 하루평균 가입자가 33% 가량 떨어졌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지난 1일~7일까지 이통3사의 이통서비스 가입현황을 분석한 결과 일일 평균가입자가 4만4500건으로 9월 평균 6만6900건보다 3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신규가입자가 3만3300건에서 1만4000건으로 58% 줄었고, 번호이동 가입자가 1만7100건에서 9100건으로 46.8% 감소했다. 반면, 기기변경 가입자는 1만6500건에서 2만1400건으로 29.7% 증가했다. 미래부는 "신규·번호이동 가입자 감소한 것은 공시 지원금 규모가 낮다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며 "반면 기기변경 가입자가 증가한 것은 지금까지 신규․번호이동 가입자에 비해 지원금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았던 기기변경 가입자들도 신규․번호이동 가입자와 차별없이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고폰으로 이통서비스에 가입하는 이용자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고폰 일일 평균 가입자는 4800건으로 9월 평균(2900건)에 비해 63.4% 증가했다. 미래부는 이에 대해 "중고폰으로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을 12%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2년 약정이 끝나는 이용자가 매월 약 60만~100만명씩 발생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중고폰 가입자는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저가요금제 가입자 비중도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5~45'요금제와 '55~75'요금제 가입자 비중은 지난 9월 평균에 비해 증가한 반면, '85'요금제 이상 가입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5~45요금제의 비중은 9월 평균 31%였으나 지난 7일 기준 47.7%로 높아졌고, '55~75'요금제 비중도 41.9%에서 43.8%로 올라갔다.
반면, '85'요금제의 비중은 9월평균 27.1%였으나 지난 7일 8.5%까지 내려갔다. 이는 고가요금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원금을 적게 받았던 중저가 요금제 가입자들도 고가요금제에 비례하여 지원금을 지급받게 되었고, 지원금 지급을 조건으로 일정기간 고가요금제를 의무사용하게 하는 행위가 금지돼 이용자들이 처음부터 자신의 통신소비 패턴에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였기 때문이라고 미래부는 분석했다.
가입자의 부가서비스 가입율도 줄었다. 지난 9월에는 신규·번호이동·기변 가입자의 42.3%가 부가서비스를 가입했으나 법 시행 이후(10.1~6)에는 21.4%만이 부가서비스를 가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원금 지급을 조건으로 특정 부가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하던 행위가 금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김주한 미래부 통신정책국장은 “단통법 시행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이통시장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며 “아직 법이 시행된 지 일주일 밖에 지나지 않았으므로 법 시행의 효과를 예단하기는 어려우나, 기기변경이나 중고폰 가입자가 증가하는 등 의미있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시장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철저한 법 시행을 통해 단통법이 당초 목표한 결과를 보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cup@
출처: http://news1.kr/articles/?1896210
'Insights & Trends > Political/Regula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정책/경제] ① 초이노믹스 사면초가…재정지출 확대론 역부족 (0) | 2014.10.15 |
---|---|
[스크랩/커머스/인터넷] 하루 3천명 찾는 쇼핑몰서 `비덧` 직거래…세금 사각지대 (0) | 2014.10.14 |
[스크랩/정책/교육] 질 높은 교육? 자사고 둘러싼 ‘동상이몽’ (0) | 2014.10.07 |
[스크랩/정책/교육] 조희연 "대원·영훈중 내년1월 재평가" (0) | 2014.10.07 |
[스크랩/정책/경제] 사상초유 3년연속 세수부족사태 왜? (0) | 201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