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웃도는 광고의존 낮추고 수익 다양화 할때
15일 경희대에서 열린 `방송 균형 발전을 위한 광고 정책`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이 토론을 벌이고 있다. 왼쪽부터 박종민 경희대 교수, 심성욱 한양대 교수, 형태근 전 방통위 상임위원, 김관규 동국대 교수, 이춘재 홈스토리 대표. [박상선 기자]
지금 미디어 업계는 지상파 방송광고 문제로 폭풍전야의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8월 공개한 `7대 정책과제`에서 `연내 광고총량제 도입`, `장기적으로 중간광고 허용` 등 지상파 광고 규제를 대폭 완화하겠다는 내용을 밝히고 나서부터다. 방통위의 이런 정책 비전 발표 후 중소 채널사업자(PP) 등 유료방송 업계가 강력 반발했다. 공룡 지상파가 경영합리화 등 자구노력을 하지 않는 가운데 지상파 방송사의 광고 의존도만 심화시켜 방송시장을 더욱 왜곡시킬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반면 지상파 방송사들은 "광고시장에서 지상파 비중이 갈수록 줄고 있다"며 "국내 방송 콘텐츠 제작을 주도하고 있는 지상파 방송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가운데 15일 방송학회와 업계 전문가가 만나 과연 바람직한 방송광고 정책이 무엇인지를 놓고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했다.
사회를 맡은 형태근 전 방통위 상임위원은 "정부의 지상파 광고총량제 허용 여부를 놓고 뜨거운 논란이 일고 있다"며 "정부의 이런 정책이 과연 실효성을 낼 수 있을지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단 참석자들은 현재 지상파 방송사 사정이 전과 같지 않다는 점에는 동의했다. 박종민 경희대 교수는 "지난 2000년 이후 지상파 광고 수입은 정체돼 있는 게 사실"이라며 "정부의 광고 규제 완화는 유료방송 광고시장을 훼손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충분히 논의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터넷ㆍ모바일 광고시장 급성장으로 전체 광고시장에서 지상파 비중이 줄어든 탓이다.
심성욱 한양대 교수는 "지상파 광고비가 감소하고 있는 것은 다양한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며 "문제는 방송매체들이 광고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비정상적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참석자들은 그러나 지상파 위기의 원인을 광고시장 변화보다 내부에서 먼저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영위기를 언급하기 전에 경쟁사 대비 고연봉이나 복지혜택 등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에 귀기울여야 한다는 얘기다.
김관규 동국대 교수는 "지상파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경영합리화나 자구노력을 얼마나 했는지 묻고 싶다"며 "유료방송이 경쟁매체로 등장하기 전까지 지상파는 너무 행복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간 지상파가 경영을 잘 해서(잘됐다)라기보다 그런 구조에서 안주했다"며 "지상파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이 설득력 있게 들릴 수 있도록 경영 부문이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종관 미디어미래연구소 정책실장은 "지상파는 수입의 90% 이상이 광고수입인데, 결과적으로 포트폴리오 다변화에서 실패했다"며 "내년에도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정부의 광고총량제 허용이나 중간광고 검토 등을 통해 국내 전체 광고시장이 커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며 "그러나 아직 국내 미디어시장에서 공정한 경쟁환경이 조성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지상파 광고 규제 완화는 시기상조"라고 지적했다.
이춘재 홈스토리 대표도 "채널사업자(PP) 입장에서 보면 지상파 광고총량제는 결코 받아들일 수 없는 어이없는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현재 국내 방송광고 시장은 `제로섬` 게임으로 광고시장이 성장할 여지가 크지 않다"며 "방통위 정책은 임시방편적 제도로 절대 시행되면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용어 설명>
▷ 광고총량제 : 방송 광고의 전체 허용량을 법으로 정하고, 시간ㆍ횟수 또는 방법 등에 관한 사항은 방송사 자율로 정하는 제도다. 총량제가 허용되면 인기 유형의 프로그램에 인기 광고를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지상파 방송사로 광고 쏠림이 심화될 전망이다.
[최용성 기자]
'Insights & Trends > Political/Regula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의료/ICT] 원격의료 시범사업 이달말 강행 (0) | 2014.09.17 |
---|---|
[스크랩/방송] 방만경영 지상파 `밑빠진 독` (0) | 2014.09.16 |
[스크랩/교육] 서울 자사고 8곳 평가기준 논란…지정취소 여부 10월 결정 (0) | 2014.09.07 |
[스크랩/정치] 2007년엔 11위였는데…국가경쟁력 26위로 `뚝` (0) | 2014.09.04 |
[스크랩/연기금] 조세재정硏 세미나 "국민연금, 복지사업 투자 확대는 위험" (0) | 201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