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통신·e커머스 등 6개 사업 개발

해외기업 최대 8년까지 법인세도 면제
한국 홈쇼핑·방송 콘텐츠 공략 기회


◆ 레이더 A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한국 CJ오쇼핑과 태국 대표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GMM 그래미 간 합작회사인 GMM CJ오쇼핑 태국 방송화면. 태국 쇼호스트들이 국내 중소기업 이넬화장품 대표 브랜드인 입큰 화장품을 소개하고 있다. GMM CJ오쇼핑 채널은 태국에서 하루 24시간 방송된다. 속옷, 화장품, 여성 패션 품목이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 제공〓CJ오쇼핑]

■ 구글, 태국 마케팅 인력 두배이상 늘려 

'태국 내 모든 기업이 온라인 활동을 하는 것'을 장기적 사명으로 내세우고 있는 구글 태국은 최근 석 달 동안 마케팅팀 인력을 2.5배 늘렸다. 구매력이 높아지고 있는 태국 소비자들이 자국 모든 기업들의 상품·서비스 정보를 온라인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이들의 임무다. 지난 1월 새로 부임한 핏 누차나타논 마케팅팀장은 27일 현지 언론과 인터뷰하면서 "검색엔진, 유튜브, 구글맵(지도), 구글번역 등 소프트웨어의 태국 콘텐츠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일본 라쿠텐, 태국 오픈마켓 영역 확장 

이미 6년 전 태국 전자상거래 업체인 타라드(TARAD) 지분 67%를 인수하면서 태국 시장에 진출한 일본 오픈마켓 공룡 라쿠텐은 최근 태국 시장의 잠재력에 다시 한 번 주목했다. 라쿠텐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15개 국가에서 활용하고 있는 자사의 글로벌 플랫폼을 타라드와 연동시켰다. 온라인으로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는 태국 소비자들을 15개국 전자상거래 시장에 노출시키는 동시에 역으로 태국 상품들도 15개국 온라인 시장에 선보인 것이다. 

관광업, 수산업, 농업에 국가 경제를 의존해왔던 태국 경제가 IT 중심으로 진화할 태세를 취하고 있다. 선진국 산업 개조 프로젝트 '디지털 이코노미'를 통해서다. 

1인당 국민소득 5000달러 수준인 태국 정부는 '중진국 함정(middle-income trap)'에서 벗어나고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디지털 이코노미 정책을 발표하고 올해부터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는 통신, 방송, IT, 디지털 콘텐츠, e커머스, e마케팅 등 6개 사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전략이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디지털 이코노미 정책에 따라 태국 정부는 디지털·IT산업에 투자하는 해외 기업에 대해 분야별로 최대 8년까지 법인세를 면제해주는 법안을 준비 중이다. 

정부의 디지털 이코노미 정책이 궤도에 오르면 한국 기업들에도 큰 기회가 열릴 수 있다. 이미 CJ오쇼핑과 합작회사를 설립해 2012년부터 태국에서 홈쇼핑 채널을 운영하고 있는 GMM 그래미는 정부의 디지털 이코노미 정책에 발맞춰 올해 30억바트(약 1000억원)를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투자할 계획이다. 태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GS홈쇼핑과 최근 태국 진출을 선언한 현대홈쇼핑 등 관련 업체들은 TV홈쇼핑뿐 아니라 인터넷·모바일상거래 분야로 사업영역 확대 및 강화도 가능해질 것이다. 특히 올해 태국 정부는 디지털 방송 전환을 실행하고 있어 채널 수가 증가하면 한국 방송콘텐츠 제작업체들에도 기회가 될 수 있다. 

최근 짜끄라몬 파수까와닛 태국 산업부 장관이 태국 투자청 관계자들을 이끌고 방한한 이유 역시 IT·디지털 분야 강국인 한국의 우수한 업체들을 유치하기 위해서였다. 짜끄라몬 장관은 최근 매일경제와 단독 인터뷰하면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는 한국 업체들의 태국 진출 기회가 많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짜끄라몬 장관은 또 은행업을 예로 들며 "은행 업무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국내 업체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라며 "금융 시스템 구축에 경쟁력이 있는 한국 기업이 태국 기업과 손잡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주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중소기업들은 '디지털 이코노미'의 한 축인 디지털 콘텐츠 시장도 노려볼 만하다. 지난해 태국의 애니메이션, 게임, 이러닝(e-learning) 시장은 각각 4%, 26%, 9% 증가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모바일(3G) 이동통신 가입자 수가 5000만명을 넘어서는 등 모바일 콘텐츠 수요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어 주목된다.  

▶짜끄라몬 산업부 장관 인터뷰 전문은 '레이더A'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연규욱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401648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