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급 다른데 같은 룰 적용…무한도전 광고 24개→44개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지상파 특혜 주는 게 무슨 규제 완화고 혁신입니까? ‘특혜’ 외에 적당한 표현이 없어요.”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성준)가 광고시장 왜곡 등 후유증이 예상되는 광고총량제를 강행하자 지상파를 제외한 유선방송과 IPTV 등 미디어업계는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규모가 한정된 국내 광고시장에서 지상파에 광고를 몰아주면 타 미디어는 눈뜨고 광고를 뺏기는 상황이 벌어지기 때문이다. 유료방송업계 일부에선 “어렵게 콘텐츠 품질을 개선해 시청률을 올렸더니 광고를 도둑맞게 됐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방통위가 이날 공개한 광고총량제 방안은 겉으론 지상파와 유료방송을 공평하게 취급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지극히 지상파 편향적이라는 지적이다. 

현재 유료방송은 프로그램 광고만 광고총량제가 적용돼 시간당 평균 10분, 최대 12분으로 책정돼 있다. 토막광고와 자막광고는 지상파처럼 횟수와 길이 규제를 받고 있다. 방통위는 지상파에 광고총량제를 도입하면서 유료방송도 광고 형태 구분을 없애고 총 광고시간만 규제받도록 했다. 결국 지상파와 유료방송이 같은 광고총량제 체제에서 광고 경쟁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해 유료방송업계에서는 앞으로 방송 광고시장에서 지상파가 ‘100전 100승’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 IPTV업체 관계자는 “지상파 시청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광고주가 지상파와 유료방송 중 어디를 선택하겠느냐”며 “체급이 다른 권투선수를 동일한 시간 룰을 적용해 싸우게 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날 방통위는 광고총량제가 지상파 편향적 정책이 아니며 방송규제 완화의 일환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유료방송은 지상파보다 매체력이 떨어진다고 보고 규제가 덜했지만, 최근 인터넷과 모바일로 광고가 이동하면서 지상파 광고도 어려워져 지상파도 규제를 덜어줘야 한다는 논리다. 

방통위 관계자는 “위축된 광고시장의 규제를 완화해 광고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광고총량제가 전 세계적인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방통위의 이 같은 해명에도 광고총량제 시행으로 지상파의 광고 쏠림이 심해질 것이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하고 있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지난해 국내 방송광고 시장은 3조5712억원이며 이 중 지상파 3사의 비중이 1조8273억원으로 절반을 웃돈다. 

광고총량제가 도입되면 지상파가 얻게 되는 광고 증대 효과는 대략 1500억~2500억원가량으로 추정된다. 

지난 10월 열린 한 토론회에선 지상파 3사가 프라임 시간대 광고의 70%만 팔려도 총 2759억원의 광고 증대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문제는 방송 광고 전체 시장이 2011년 이후 3년째 감소세여서 한 업체의 광고 증가는 타 업체의 감소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즉 광고총량제 시행으로 지상파에 2000억원가량 광고가 쏠릴 경우 종편과 CJ E&M 등 군소 채널사업자(PP)는 그만큼 광고 급감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게다가 100여 개 케이블과 IPTV·위성방송·종편은 업체별 광고액을 모두 더해도 지상파보다 규모가 작다. 지상파 3사의 광고가 10%만 늘어도 이들 개별 업체가 체감하는 광고 감소효과는 20%를 넘을 수밖에 없다. 

방송뿐만 아니라 신문업계도 지상파가 얻게 될 광고 수익이 경영기반이 취약한 신문사의 생존을 위협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신문협회는 방통위의 광고총량제 도입 발표 직후 성명에서 “정부는 신문 등 타 매체의 생존을 위협하는 지상파 편향 정책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유료방송업계는 방통위가 왜 지상파 경영정책 실패로 인한 손실을 해결해줘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관련 업계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방통위가 광고총량제를 강행하는 뚜렷한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최성준 위원장은 최근 정부 기관이 발행하는 한 월간지 인터뷰에서 “복잡하고 경직된 방송 광고 규제를 완화해 광고시장에 창의성을 불어넣으려는 것”이라며 “(지상파가) 광고를 통한 재원이 많이 확보돼야 우수 콘텐츠가 나오고 우수한 콘텐츠는 시청자들에게는 복지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유료방송업계는 최 위원장을 포함해 지상파에 치우친 방통위의 사고방식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최근 중소 PP들도 우수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으며 소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지상파가 우수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중소 유료방송이 광고를 떼줘야 할 어떠한 이유도 없다는 지적이 많다. 

케이블업체 관계자는 “공정해야 할 방통위가 지상파 손에 큰 빨대를 쥐어줬다”며 “광고품목에 대한 규제를 풀어 광고시장 전체를 키우는 정책부터 제시하라”고 강조했다. 

■ <용어 설명> 

▷ 광고총량제 : 방송 광고의 전체 시간만 법에 정하고 광고당 시간·횟수·방법 등은 방송사 자율로 정하는 제도. 방송사는 광고 편성이 자유로워져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인기 프로그램의 광고 시간이 길어져 시청자는 편익이 훼손될 수 있다.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548959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