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소프트웨어(SW) 테스팅 방식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크라우드 테스팅 공식 서비스가 출시되자마자 러브콜이 잇따르고 있다. 크라우드 테스팅은 전문지식이 있는 일반인 및 전문 테스터가 집단지성 커뮤니티를 구성해 소프트웨어(SW) 제품과 서비스 성능을 검증하는 방법이다. 기존 테스트 방식보다 많은 인원수가 프로젝트에 투입돼 SW품질 테스팅에 유리하다는 평가다.

콘크릿(대표 권원일)은 크라우드 테스팅 서비스를 출시한 지 한달 만에 공공과 민간에서 잇따라 프로젝트 계약 체결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SW 품질향상과 성능확보를 위한 테스팅 업계에 집단지성 바람이 불고 있는 셈이다.

콘크릿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올해 프로슈머평가개발 사업을 지난달부터 시작했다. 15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웹, 사물인터넷(IoT) 제품이 대상이다. SW품질뿐 아니라 수출을 위한 현지화 테스팅도 함께 진행한다. 한국과학창의재단 공공 웹사이트 크라우드 테스팅도 추진한다.

민간 시장에서도 크라우드 테스팅이 각광받고 있다. 내수용 SW 테스팅뿐 아니라 해외 시장을 겨냥한 SW에도 진출 사업에도 크라우드 테스팅이 적용되면서 글로벌 시장 확대 기반을 닦고 있다. 콘크릿은 국내 한 면세점의 중국 시장 공략을 지원한다. 중국어판 웹·모바일 앱이 중국 상하이와 베이징 등 현지 기기와 통신환경 간 호환되는지를 테스팅한다.

스타트업 기업 IoT 제품·모바일 앱의 중국 현지화 테스팅 작업도 수행한다. 회사는 “국내 게임 벤처회사와 모바일 게임 현지화 테스팅을 논의 중”이라며 “아시아·북미·유럽 10개국 현지 통신 환경 테스트가 주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콘크릿은 시범 서비스 당시부터 업계 주목을 받았다. 지난해 1차 해외 통화 품질 테스팅을 진행했던 네이버 라인도 추가로 2차 테스팅을 올해 말까지 진행한다. 음악 전문 크라우드 펀딩 기업 뮤직킹 앱서비스 테스팅도 시범 서비스 단계에서 이뤄낸 성공 사례다.

개방형 SW 테스팅, 잇딴 러브콜 바람 `해외까지 나간다`

콘크릿은 기존 인력 기반 SW 테스팅 한계를 극복한 개방성이 강점이다. 권원일 콘크릿 대표는 “일반적 SW 테스팅 프로젝트는 3명 안팎으로 진행해 인력 운용에 한계가 있다”며 “크라우드 테스팅 방식은 프로젝트별로 20~30명이 투입돼 품질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국내 SW 테스팅 커뮤니티 ‘스텐’을 운용, 2만6000여명 테스팅 가용인력을 확보했다. 전문분야나 프로젝트별로 전문인력을 선별해 프로젝트에 투입한다. 사용자 테스팅까지 합치면 단일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인력은 50~60명에 이른다.


콘크릿이 국제 SW 테스팅 자격시험 ‘ISTQB’ 주관사라는 점도 크라우드 테스팅 인기에 한몫했다. ISTQB 창립자인 스튜어트 리드 박사가 콘크릿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기술책임자(CTO)다. SW테스팅 국제표준 ‘ISO·IEC·IEEE 29119’ 워킹그룹 의장을 맡은 경험으로 콘크릿 기술 전문성을 더하고 있다. 리드 박사는 “유럽을 중심으로 세계 SW 테스팅 트렌드를 경험한 노하우를 콘크릿에 적용하고 싶다”며 “콘크릿 해외 진출에도 기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권동준 기자 | djkwon@etnews.com


출처: http://www.etnews.com/20150709000131

Posted by insightalive
,

커뮤니티가 직접 참여해 소프트웨어(SW) 제품과 서비스 성능을 검증하는 ‘크라우드 소싱’ SW 테스팅 방법이 등장했다.


콘크릿(대표 권원일)은 크라우드 SW 테스팅 정식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26일까지 출시 전이거나 최근 출시한 SW 제품을 무료 테스팅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콘크릿 크라우드 테스팅은 모두에게 공개된 오픈 플랫폼 형식으로 운영된다. 일반 사용자는 물론이고 자격증을 보유한 국내외 전문 테스터까지 다양하게 참여가 가능하다. 집단지성을 활용해 짧은 시간 안에 효율적 테스팅이 가능하다.

고객이 애플리케이션(앱)·서비스·홈페이지 등 테스트 대상과 기간, 인력 규모, 수준 등을 요청하면 오픈 플랫폼을 통해 관심 있는 사람을 모아 품질을 검증하는 방식이다. 프로젝트별로 전문 인력을 고용할 필요가 없어 인건비 등 고객과 테스팅 업체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다.

콘크릿은 국제 SW 테스팅 자격시험 ‘ISTQB’ 국내 주관사다. 국내 대표 SW 테스팅 관련 커뮤니티 ‘스텐(STEN)’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문 테스터 2만6000명을 확보했다. 전문 테스트 관리 시스템도 갖췄다. ISTQB 창립자이자 SW 테스팅 분야 전문가 스튜어트 리드도 공동 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로 합류해 전문성을 높였다.

콘크릿은 시범 서비스 출시 후 ‘네이버 라인’ 글로벌라이제이션 테스팅, 미아방지용 스마트 밴드 ‘리니어블’ IoT 서비스 테스팅, 음악전문 크라우드펀딩 기업인 ‘뮤직킹’ 앱서비스 테스팅 등 성공 사례를 확보했다. 기존 SW 테스팅 문제로 지적되던 인력기반 서비스 한계를 극복해 혁신성과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권원일 콘크릿 대표는 “국내외 SW 테스팅 분야 경력자가 크라우드 소싱 방식으로 테스팅에 참여해 더 정확하고 효과적인 SW 테스팅이 가능하다”며 “집단지성을 이용한 국내 크라우드 소싱 SW 테스팅 시장 창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http://www.etnews.com/20150618000213

Posted by insightalive
,

[이진우의 친절한 경제씨] 공유지의 비극, 대리인 비용 아시나요?


아파트 관리사무소, 내 땅도 네 땅도 아닌 공유지

주민을 위해 일한다지만, 점차 자기 편하게 일하기 마련

제대로 감시하려면, 회계사 선정 주체가 관리소

구조적으로 부정 적발 쉽잖아… 주민의 깐깐한 의지가 관건 

이진우 친절한 경제씨 아파트 관리비

한국일보 자료사진 

길을 걷다 보면 전봇대 아래나 공터 등에 쓰레기봉투나 재활용품들이 수북이 쌓여있는 걸 발견하게 되는데요. 이런 곳은 동네 주민들이 쓰레기를 모아 내놓는 곳으로 '암묵적으로' 정해놓은 곳입니다. 그런데 그런 장소는 자세히 보면 공통점이 있습니다. '누구네 집 앞'이라고 하기 어려울 만큼 모호하고 어정쩡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는 겁니다. 이 곳들이 쓰레기 배출 장소가 되는 이유는 '공유지'이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하면 내 땅도 아니고 네 땅도 아닌 모호한 곳이라는 건데요. 그런 곳에는 늘 쓰레기가 쌓이기 마련입니다. 경제학에서는 이런 걸 '공유지의 비극'이라고도 하죠.

경제학에는 '대리인 비용'이라는 개념도 있는데요. 누군가에게 일을 시키면 그 사람은 일을 시킨 나를 위해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이 일하기 편한 쪽으로 일을 하기 마련이라는 뜻입니다. 가게에 들어가서 내가 혼자 먹기 위해 아이스크림을 고르면 이것 저것 따져보게 되지만, 사장님이 "직원들 나눠주게 아이스크림 50개만 사와라"고 시키면 그냥 가까운 가게에 가서 아무 아이스크림이나 막 골라 집게 되죠. 사장님은 나에게 대리인 비용을 치른 셈입니다. 

우리가 매월 내는 아파트 관리비 고지서는 이런 공유지의 비극과 대리인 비용이 모두 발생하는 곳입니다. 아파트 관리비는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고지서를 발부하고 관리하지만 관리사무소는 주민들의 돈을 말 그대로 관리만 하는 곳입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가 어떤 곳인지는 관리사무소에 가서 이런 질문을 해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제가 1년 동안 낸 아파트 관리비에 대해 현금영수증을 해 주실 수 있나요?" 아파트 관리비로 자동 이체된 돈을 다 모아서 현금영수증을 받으면 금액이 꽤 될 테니까요. 그러나 아파트 관리비는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습니다. 관리비를 신용카드로 내려고 해도 불가능합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는 영리업체가 아니라서 그렇습니다. 동창회나 산악회 회비를 모임 총무에게 내면서 신용카드로 내겠다고 하거나 현금영수증 발행을 해달라고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인 거죠. 아파트 관리를 위해 주민들이 '자기들끼리' 모아서 쓰는 일종의 회비 같은 겁니다. 

대부분 학교 동창회 회비가 어떻게 쓰이는 지 관심이 없듯이 아파트 관리비도 마찬가지입니다. 아파트 주민들이 스스로 챙겨보지 않으면 아무도 관리해주지 않습니다.

실제 아파트 관리비만큼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는 것도 없습니다. 서울시가 2010년에 서울의 2,000여개 아파트들의 관리비를 조사해본 결과 상위 10%의 관리비는 ㎡당 1,385원이었는데 하위 10%의 평균 관리비는 447원이었습니다. 아파트 관리비의 용처가 어느 아파트든 대부분 비슷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관리비를 알뜰하게 쓰는 아파트와 흥청망청 쓰는 아파트의 차이가 꽤 크다는 걸 미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관리비가 흥청망청 쓰이는 사례는 꽤 많지만 대부분은 싸게 살 수 있는 걸 비싸게 사고 그 차액을 리베이트로 받아 챙기는 겁니다. 관리사무소장이 챙기는 경우도 있고, 관리사무소 직원이 챙기는 경우도 있고, 그런 관리사무소장을 감시하라고 만들어놓은 아파트 입주자회의 대표들이 챙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아파트 관리비는 연간 12조원에 달할 만큼 규모가 큽니다. 우리나라 주택의 70%가 공동주택이니 그럴 만도 하죠. 지금까지는 아파트 관리비는 동창회비나 산악회 회비 관리하듯이 주민들이 알아서 들여다보거나 말거나 방치했지만 정부도 아파트 관리비가 제대로 관리되는 지 슬슬 들여다보기 시작했습니다. 올해부터 300가구 이상 아파트단지는 회계사로부터 회계감사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는 규정도 만들었습니다. 

회계감사만 받게 하면 관리비가 제대로 관리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는 게 문제입니다. 회계감사라는 것은 관리비를 쓰면서 영수증을 제대로 갖춰놓았는지, 그래서 장부상 잔고와 현재 관리비 통장에 들어있는 잔고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 보일러 수리를 5,000만원 주고 했으면 5,000만원을 지급했다는 영수증이 있는지 확인한다는 겁니다. 

서울 주요 구별 아파트 평균 공용관리비

그런데 실제 보일러 수리비용은 1,000만원인데 수리업체에 5,000만원을 지급하고 관리사무소장이 리베이트로 수천만원을 받았다면 그건 회계감사에서도 적발하기 쉽지 않습니다. 관리사무소 장부에는 5,000만원짜리 영수증이 당당하게 붙어 있을테니까요.

아파트 회계감사를 어떤 회계사에게 시킬지를 결정하는 주체가 관리사무소장이나 입주자대표회의라는 점도 아파트 회계감사 의무화 제도를 머쓱하게 만듭니다. 관리사무소장이나 입주자대표회의에서 부른 회계사가 관리사무소장이나 입주자대표회의의 부정이나 비리를 적발할 수 있을까요? 

다시 원점으로 돌아오면 아파트 관리비의 문제는 결국 아파트 주민들이 관리비에 얼마나 관심을 갖고 시시콜콜 따져보느냐에 달려있습니다. 화단 관리에 300만원을 썼다면 뭘 하는데 그렇게 썼는지 다른 업체들과 비교는 해봤는지 챙겨보는 수 밖에 없습니다. 정부가 마련한 공동주택관리시스템(k-apt.go.kr)은 그런 일을 도와주는 기초적인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여기에 들어가보면 다른 아파트의 관리비가 얼마나 나오는지 알 수 있는데요. 우리 아파트와 비슷한 규모의 다른 아파트들은 관리비를 얼마나 쓰는지 비교할 수 있게 해놨습니다. 생각해보면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딱 여기까지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진우

이진우 경제방송 진행자

경제뉴스가 어렵게 느껴지는 건 어려운 용어나 복잡한 숫자 때문이기도 하지만, 뉴스 속에 '왜(why)'가 제대로 담겨있지 않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아내가 밥상을 차리다 말고 눈물을 흘리기 시작했다'고만 하면 이해가 잘 안 되는 것과 비슷합니다. 양파가 매워서인지 갑자기 친정 엄마 생각이 나서인지 그 이유를 듣고 나면 고개가 끄덕여지죠. 경제뉴스도 마찬가지입니다. 경제뉴스 속에 숨어있는 이유와 맥락을 찾아서 친절하게 풀어드리겠습니다.


출처: http://www.hankookilbo.com/v/2206f8f0e65c494eb5eefac28b5e765b

Posted by insightalive
,

피해상황 고화질로 동영상 공유…기지국 파괴돼도 전화연결 가능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재난망 시연회에서 한 응급 구조대원이 방수·방진 스마트폰으로 현장에서 중앙관제소와 통신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 응급 구조대원이 부상을 입은 환자를 들것에 실어 재난 상황에서 신속하게 벗어났다. 본부에서는 대원이 재난망용 스마트폰 단말기로 보내주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며 어떠한 구조 활동을 펼쳐야 할지 바로바로 명령을 내렸다. 잠시 후 현장에 도착한 대원 여러 명이 동시에 통신을 시도하자 끊김 없이 깨끗하게 통화가 됐다. 급박한 상황 속에서 한 대원이 전용 단말기를 물기가 많은 진흙탕에 빠뜨렸지만 아무 이물질 유입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글로벌 표준에 기반한 재난안전통신망(재난망) 시연에 성공했다. 

삼성전자는 1일 수원 삼성 디지털시티에서 정부와 학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PS-LTE(Public Safety-LTE) 표준에 맞는 통신장비를 이용해 재난 상황을 가정한 재난망 테스트를 마쳤다고 밝혔다. 

재난망은 경찰, 소방, 국방, 철도, 지방자치단체 등 국가기관의 무선통신망을 통합해 재난 시 국가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 

이번에 삼성전자가 시연한 기술은 △동시에 여러 명에게 신속하게 연락할 수 있는 PTT(Push To Talk) △인파가 몰려도 다수 통신기기에 고화질 영상을 전송해주는 eMBMS(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기지국이 파괴돼도 통신을 지원하는 D2D(Device to Device) 등이다. 이 기술은 대형 사고 발생 시 신속한 구조와 대응을 위해 다수의 단말기를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해 필수적이다. 실제 1500명 이상 재난 안전 관련 인력이 투입될 때 원활한 멀티미디어 통신을 지원하는 eMBMS는 필수적 기술이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이날 함께 선보인 재난망용 스마트폰 단말기도 재난 특화형 기능으로 주목을 받았다. 방수·방진 기능을 갖춰 수심 1m 깊이에 30분간 빠뜨려도 작동되며 이물질 등 침입을 원천 차단한다. 또 외부 버튼을 통해 두꺼운 장갑을 껴도 조작을 쉽게 할 수 있고 큰 소음에도 의사 전달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스피커 기능을 향상시켰다. 

삼성전자가 선보인 통신장비와 단말기는 세계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 3GPP가 지난 3월 제정한 PS-LTE 표준기술이 적용됐다. 통상 1년여 이상이 걸리는 일반 국제 표준기술 시연을 삼성전자는 불과 3개월 만에 마쳤다. 이는 칩셋, 단말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등 재난망 구축과 관련된 대부분 분야에서 핵심 기술과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삼성전자는 PS-LTE 표준화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표준 제정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재난안전통신망 관련 인력 확충에도 나서고 있다. 

글로벌 표준에 맞춘 재난망 통신장비와 통신기술을 보유하게 됨에 따라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글로벌 재난망 시장 진출에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전 세계 각국에서도 재난망 통신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라 시장 확대 가능성은 큰 편이다. 

■ <용어 설명> 

▷ PS-LTE(Public Safety LTE·공공안전 LTE) : 영상, 고해상도 사진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해 재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기술. LTE 통신을 기반으로 한다. 

[추동훈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525544

Posted by insightalive
,
M&A 5단계-인수 후 통합(Post-merger Integration)
시너지를 
극대화 하려면…

전략적 인수의 대부분은 통합을 추진해 시너지를 최대화한다. 2개 회사를 한 소유권지배로 통합하는 작업은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통합작업은 인수된 기업과 인수한 기업의 핵심요소들-자원(resources), 업무처리방식(processes), 책임소관(responsibilities)-을 완전히 합치는 작업으로, 확대(grow)와 축소(shrink), 인수(buy)와 창업(build), 보유(keep)와 매각(sell), 통합(Integration)과 독립(entity alone)사이에서 선택해야만 하는 연속되는 의사결정(a series of decisions)과정이다. 모든 Deal이 전부 인수 후에 합쳐지는 것은 아니다. 재 매각을 통해 재무수익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재무적 인수는 일반적으로 독립운영의 형태를 유지한다.



글 싣는 순서
① 인수합병(M&A: Merger & Acquisition) 이해
② M&A 1단계 - 전략수립 및 매물선정
                     (Strategic Planning & Target Screening)
③ M&A 2단계 - 가치산정(Valuation)
④ M&A 3단계 - 실사(Due Diligence)
⑤ M&A 4단계 - 협상(Negotiation) & 종료(Closing)
⑥ M&A 5단계 - 인수 후 통합(PMI: Post M&A Integration)


통합의 의미(Implication of Integration)
인수를 완료한 후 수행하는 통합은 자원(resources), 업무처리방식(processes) 및 책임소관(responsibilities)을 하나의 소유권 아래로 합치는 작업이다. 자원은 인적자원, 유형 무형의 재무자원, 회사명 및 브랜드와 같은 지명도 관련 자원도 있다. 프로세스는 경영시스템, 복지제도, 상여제도 등 모든 처리규정 및 방식을 포함한다. 

책임소관은 관련법이나 윤리적인 측면에서 이권보유자(stakeholder)에 대한 의무(commitment)로 이권보유자는 고객, 공급자, 주주, 채무자, 종업원, 그리고 지역사회를 포함한다. 조직의 통합은 장점을 강화시키고 약점을 보완하고, 중복적인 것을 감소시켜 프로세스의 효율을 증대하고, 이권보유자에 대한 의무충족을 확인시킴에 의해 자원의 가치를 확대시킬 수 있다. 

매수인은 실사내용을 종료 전에 철저하게 검토해 혹 매수인이 떠 안게 될 지도 모르는 법적 재무적 사업적 Risk를 찾아내야 한다. 이 Risk가 너무 크면 Deal을 포기할 수도 있으나 보통은 인수합의서의 ‘진술과 보장’ 또는 가격양보를 얻어내기 위해 사용한다. 동시에 인수로 인한 상승효과(Synergy) 활용을 위한 전략검토를 하게 된다. 실사 및 협상스타일은 통합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불신과 적대적 태도의 협상프로세스는 신구경영진 사이에 의심과 반감을 형성시킨다. 이는 진술과 보장의 정확성에 의심을 유발시켜 통합된 조직 내에서 서로의 관계를 악화시킨다. 과거와 현재 Event에 관련이 있는 진술과 보장이 먼 훗날 예상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용법을 위반한 적이 없다는 매도인의 진술이 나중에 고용차별을 주장하는 소송에 의해 도전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통합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인수합의서에 양 당사자의 합의로 미리 정해놓아야 한다. 인수되는 회사는 종업원의 고용보장 또는 현 CEO의 유임을 주장할 수도 있고, 역으로 인수하는 회사는 인수되는 회사에게 어떤 제한된 핵심적 역할수행을 요구할 수도 있다. 



통합 계획(Integration plan)
통합계획은 통합되는 새로운 회사의 전략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지속회사와 합쳐지는 회사의 주요자원, 프로세스, 책임소관 등을 언제(When), 어떻게(How) 합칠 것인가를 정리해놓은 문서이다. 이는 산업과 상황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반드시 포함되는 세 가지 기본요소가 있다. 전략목표, 목표를 지원하는 통합방식, 그리고 통합일정이다. 

예를 들어, 두 병원을 통합시키는 경우에, 새롭게 병합되는 새로운 병원의 목적, 그리고 언제 어떻게 이 목적이 성취되는지를 상세하게 일정표와 함께 설명한다. 이사회, 경영진 및 staff 조직, staff 자질, 진료정책이 누구의 책임소관인지, 예산, 회계, 외상매출금, 어음약정은 누가 다룰 것인지, 어떤 진료서비스를 바꾸고, 확대하고, 축소해야지, 어떤 간호표준을 채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세한 지침을 보여준다. 

또한 두 병원의 Mission, Value, 그리고 Vision이 어떻게 합쳐지는지도 포함한다. 통합계획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점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15항목의 checklist를 사용한다. 

①계획이 Deal의 본질적인 목적과 일치하는가? ②통합계획에 인수대금의 지급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기돼 있는가? ③5년 이내의 단기계획 및 5년 이상의 장기계획 모두가 문서로 만들어져 존재하는가? ④단기계획과 장기계획이 서로 잘 맞물리고 있는가? 

⑤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그 계획에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 고급간부(senior manager) 및 직원이 참여했는가? ⑥합쳐지는 두 회사의 운영상 및 문화적 실제(realities)를 고려했는가? ⑦고급간부와 이사회가 문서화된 계획을 검토했는가? ⑧고급간부와 이사회가 의사결정을 할 때 본 계획을 활용하고 있는가? ⑨ 계획이 적절한 정책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는가? 

⑩계획에 자원이 적절하게 공급되고 있는가? ⑪계획이 수단(measures) 및 진행일정을 구체적으로 명기하고 있는가? ⑫누가 책임을 지고 계획을 수행하는가? ⑬계획이 모든 당사자들에게 적절하게 배포됐는가? ⑭계획을 내부적으로 소통하게 하는 프로그램은 있는가? ⑮계획을 외부에 소통하게 하는 프로그램은 있는가? 

모든 답이 예(Yes)이어야 한다. 통합계획은 한 개인이 아닌 Team에 의해 만들어진다. Team member들은 장기적으로 성공적 통합으로 이권(Stake)을 누리게 되는 CEO, 고급간부, 핵심직원 및 비상계획을 수행하거나 도와주기 위해 고용된 한시적 임원으로 구성된다. 한시적 임원(interim executives)은 프로젝트 임원(project executives)이라고도 하며, 두 회사의 합병과 같은 특별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고용된 수행전문가(qualified line manager)이다. 

이들의 전문분야는 Information System, 특히 Financial Management and Reporting System, Process engineering in manufacturing function 및 purchasing, transportation, order fulfillment와 같은 logistic function들이다. 이권보유자(Stakeholders)들에 의해 고안되고, 자격을 갖춘 전문가(qualified experts)들이 자문해 주고, 이사회에 의해 승인된 통합계획은 합병회사의 미래에 효과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Team facilitator는 Team이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안을 찾아내고, 이에 따라 의사결정을 하게 되는 프로세스상의 활동을 도와주는-관련 문제 및 이에 따른 의사결정이 자신의 이익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독립된 제3자이다. Team구성원이 외부인 존재에 거부반응을 보일 수도 있으나, 계획수립이 어느 한쪽에 의해 일방적으로 지배되거나 또는 교착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높을 경우에는 facilitator의 역할이 특히 더 절실히 요구된다.

인적자원의 통합 (Integrating Human Resources)
Fortune 500기업이 행한 200개의 인수를 조사한 결과 핵심인력의 60%가 인수종료 후 5년 이내에 회사를 떠난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직원들의 lay-off는 합병 이후 중복업무에서 기인하거나 단순한 인건비절감을 위해 단행되기도 한다. 통합을 하는 이유는 중복되는 부분을 제거해 비용절감을 위한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매출의 증대를 목적으로 하기에 기존직원의 감소보다 오히려 새로운 직원의 신규고용이 더 확대되기도 한다. 

시너지를 감안한 인원감축의 효과를 -2-2=-3으로 가정하면, 신규고용을 통한 매출증대의 시너지는 +2+2=+5가 돼 상대적으로 효과가 더 크게 되기 때문에 종업원의 순증가가 기대되기도 한다. 회사를 직원 없이 운영할 수는 없고 숙련된 경험 많은 직원이 회사가치에 더 크게 기여한다. 

회사인수를 위해 실제로 지불한 금액과 장부상에 기록된 금액의 차이를 회계적으로 영업권(goodwill)이라 부른다. 작은 개인 서비스회사를 인수할 때 기록되는 goodwill은 핵심직원의 보유와 경쟁금지 합의서 (employment and noncompetition agreement)의 가치로 개인적 goodwill이 대부분이 된다. 

핵심직원의 기술, 지식 및 그들과의 고용계약의 가치인 goodwill은 회사가 성장해 감에 따라 회사의 가치로 녹아 들어가게 되므로 그들이 충분히 기여하기 전에 회사를 떠나게 해서는 안 된다. 

회사가치로의 전환은 상당한 기간을 필요로 한다. 핵심인력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장 좋은 방안은 매수인이 좋은 평판을 유지하고 그에 부합하는 행동을 보여주는 것이다. 새로운 주인이 새로운 식구가 된 모든 직원들에게 즉각적이고 명확하게 그들의 미래가 개인적으로도 회사전체적으로도 밝다는 점을 보여주어야 한다. 

성공핵심요소(critical success factor)가 바로 핵심인력임을 받아드리고 그들과의 관계를 윤리적으로 하겠다는 것을 표준규범(norm)으로 채택함을 의미한다. 연봉인상이나 승진과 같은 혜택을 받아 계속 머물기로 한 핵심인력들이 계약이 파기될 경우 경쟁자를 위해 일을 하는 것을 제한하는 합의를 문서로 요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합의서는 고객정보 및 회사기밀의 사용금지뿐만 아니라 이전 고용주와의 어떠한 경쟁도 금지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연봉인상이나 승진이 합의서의 교환조건으로 인정되므로 이러한 합의서는 법정에서도 합리적(reasonable)인 것으로 받아지고 있다. 경쟁금지합의는 고용주의 합법적 이익(legitimate interests)을 보호하고, 기간이나 범위에 합리적(reasonable)이어야 하며, 고용인에게 비합리적 부담을 주지 말아야 하고, 공공이익에 해를 끼치지 말아야 하는 4가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효력이 없어진다. 



자산의 통합(Integrating Assets)
제일 먼저 대차대조표에 보이는 재무적 자산(현금, 유가증권, 외상매출금 등)을 합친 다음 공장, 설비, 재고, 토지임대 등을 통합한다. 이런 일들은 서류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대차대조표를 통합(consolidate)하면 된다. 단순히 더하는 것이 아니고, 통합되는 회사에 대한 지속회사의 투자분과 같이 중복되는 부분은 제거해야 한다. 

또한 지속회사가 통합되는 회사에 빌려준 자금, 즉 지속회사의 계정에는 미수금(receivable)으로 통합회사에는 미지급금(accountable)계정으로 기록된 부분이, 회사가 통합되면 자기자신에게 부채를 가질 수 없으므로 서로 상계돼 삭제해야 한다. 공장, 설비와 같은 유형자산을 통합할 때는 시장가격(current market value)로 재평가해 기록한다. 

감가상각이 이미 많이 진행돼 가치가 시장가격에 못 미치는 경우에 발생하는데 시장가격으로 재평가해 가치를 높여 놓으면 미래 새로 계상되는 감가상각으로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재고는 시장가격과 구입원가 중 낮은 가격으로 기록한다. 

재고 중에 너무 오래돼 할인가격으로 처분되거나, 판매까지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품목은 이런 부분을 반영해 가치를 조정해야 한다. 새로 인수해 합병되는 회사의 부동산은 시장가격(fair market value)로 기록돼야 하고, 지속회사의 부동산은 과거 구입원가 그대로 기록한다. 

고용약정의 통합(Integrating Commitment to Employees)
인수 후에도 고용약정을 계속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약속을 어기는 것 자체도 잘못된 것이지만, 핵심인력이 새로운 조직에 신뢰를 갖지 못하고 떠나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인력과 동일한 능력을 갖춘 새로운 인력으로 대체하는 것은 부수되는 고용 및 훈련비용을 고려해보면 훨씬 비경제적이다. 

Outsourcing도 때때로 더 큰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게다가 동료직원이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회사를 떠나면 남아있는 직원들은 직장을 잃은 동료에 대해 죄의식을 느끼게 되고, 이는 낮은 생산성으로도 이어진다. 이런 것들로 인해 유발되는 비용이 인력절감으로 얻는 혜택을 초과하기도 한다. 

최근에 대규모의 lay-off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왜(why)와 어떻게(how)가 중요하다. Lay-off가 왜 불가피한지 이유를 명확히 밝히고, 이에 수반되는 통보절차, 보상, 재취업 알선 등 인간적 노력을 제공해야만 개인적 감정에서 기인하는 후유증(trauma)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볼 때 Downsize는 비용을 절감할 수는 있으나 이보다 더 크게 매출을 감소시켜 수익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Downsize는 해고비용을 감안한 순 절약(net savings)이 존재할 때 고려해 볼 수 있다. 합병 이후 일시에 큰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재무성과를 위축시킨다. 

고용주(owner), 종업원(employee), 이권보유자(stakeholder) 모두가 서로 존중하고, 이해하고, 서로 감싸주는 회사가 통합된 회사다. 회사의 핵심은 자원(resources), 업무처리방식(processes), 책임소관(responsibilities)이다. 통합된 회사에서의 갈등은 이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잘 연결돼 있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것들이 유기적으로 잘 엮여있어야 회사가 변화하고 성장하더라도 진정한 통합을 이룰 수 있다.



박용우
미래&융합파트너즈 대표 



출처: http://blog.naver.com/excellceo/60202266615

Posted by insightalive
,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1만편 아시아 푼다


◆ 레이더 A / NIKKEI 아세안100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싱가포르 통신회사 싱가포르 텔레콤(싱텔)이 비(非)통신 사업을 강화하며 사업 다각화에 나섰다. 통신 사업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OTT(Over-the-Top·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사이버 보안, 디지털 광고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 

싱텔은 아시아 신흥국 스마트폰 사용자를 겨냥해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소니픽처스텔레비전, 워너브러더스와 손잡고 합작회사인 '훅(Hooq)'을 설립했다. 지난 2월 필리핀에서 첫 서비스를 시작했고, 앞으로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모바일 데이터 통신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할리우드, 아시아 대표 영화 1만편을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OTT 사업 강화 방침은 싱텔의 성장 전략 전환을 의미한다. 

과거 싱텔은 인도의 바티에어텔, 인도네시아의 텔레커뮤니카시 셀룰러 등 아시아 신흥국 통신회사를 인수하는 데 주력해왔다. 그러나 스마트폰 시대를 맞아 싱텔은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와 콘텐츠를 강화하는 쪽으로 전략을 수정했다.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데이터 사용량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통신사업자들은 네트워크 확장에 많은 투자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모바일 메신저인 라인, 와츠앱, 애플의 페이스타임 등이 나타나면서 통신사업자들은 자칫 망만 깔아주고 부가가치를 높이지 못하는 '바보 파이프(dumb pipe)' 신세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싱텔은 혁신적인 디지털 서비스를 강화하는 쪽으로 전략을 바꾼 것이다. 

이러한 전략 수정의 핵심에 있는 것이 바로 OTT, 사이버 보안, 디지털 광고 등이다. 

OTT, 광고 등 디지털 사업 강화를 위해 싱텔은 투자금 14억6000만달러(약 1조5756억원)를 책정했고, 현재까지 대략 절반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이버 보안 투자금은 별도로 마련해뒀다. 

이와 관련해 싱텔은 지난 8일 미국 사이버 보안 서비스 업체 트러스트웨이브(Trustwave) 지분 98%를 8억1000만달러(약 8742억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건은 싱텔이 통신사업 이외 부문에서 단행한 인수·합병 중 최대 규모다. 

추아속쿵 싱텔 최고경영자(CEO)는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글로벌 플레이어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해 싱텔은 사이버 보안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미국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 파이어아이와 제휴를 맺었다. 

아울러 싱텔은 2012년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모바일 광고회사인 애모비를 3억2100만달러(약 3464억원)에 인수했으며 애모비를 통해 지난해 북미 애드코니언 다이렉트, 호주 애드코니언을 사들였다. 

또 디지털 콘텐츠·마케팅 기술 회사인 콘테라테크놀로지스도 인수했다. 여기에 쏟아부은 자금은 총 3억5900만달러(약 3874억원)였다. 

[정리 = 박은진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401641

Posted by insightalive
,

[기자회견문]

“만약 우리 아파트에서 불이 났다면?” 화재 당시 비상벨이 울리지 않았다면? 너무 끔찍한 일이 아닌가?

세상에 이런 경우 보았습니까? 국민의 70~80%가 아파트에 삽니다.

관리소장실에 화재가 나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습니다. 당시 현대하우징(주)(대표이사 이병주, 권선구 금호동 마을만들기협의회장/2015년 2월 28일까지 금호동 주민자치위원장 역임)소속 표춘근 관리소장은 관리실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서 3,234세대의 관리를 지금껏 맡고 있습니다. 소방서는 화재현장조사서 공문을 조작하고, 경찰은 축소. 은폐, 부실 수사로 기소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이게 무슨 뚱딴지 같은 이야기일까요?

이 자리에 선 사람은 수원시민신문사 대표를 맡고 있는 김삼석입니다. 올해로 창간 10년이 됩니다. 저는 지난 해 12월 풀뿌리 민주주의를 아파트 동네에서부터 실천하고자 12월 17일 수원 권선구 금곡엘지빌리지아파트(3,234세대) 9기 입주자대표회의 회장이 되었습니다.

선거과정에서 관리사무소 소장실 화재사건을 듣게 되었습니다. 당선된 뒤 진상을 파악하기위해 관심을 가졌습니다. 더더욱 새해 벽두에 의정부지역 아파트 화재사건이 났을 때 엘지빌 아파트 화재사건이 섬짓하게 주마등처럼 지나갔습니다.

관리소장실 화재사건은 지난 2013년 6월 20일 저녁 11시 50분에 발생했고, 여러 제보자의 증언 녹취록에 따르면 “소장이 퇴근하면서 선풍기를 켜놓고 퇴근해 선풍기 과열로 불이 났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말이 사실이면 소장은 형법상 업무상 과실을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수원서부경찰서 취재결과, 관리소장은 아파트 주민들에게 재산상 피해를 입힌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로 바뀌어 진술에 참가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 수원소방서 화재현장조사서에는 “비상벨이 울렸다”고 조사되었습니다. 그러나 증언 녹취록에 따르면 “비상벨이 울리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관리소장도 최근 입주민들한테 “(불나자마자)누전기가 차단되어 비상벨이 울리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 당시 입주자 대표회의, 관리업체에서 관리소장 견책에 그치고 계약준수 위반 문제 안삼아

관리소장실 화재복구하는 공사비로 1,429만원 정도가 소요되었습니다. 입주자대표회의(8기, 회장 이현석 2010년~2014년 4년 역임)는 관리주체인 관리소장의 책임을 묻지 않고있다가 사고 한달 뒤인 2013년 7월 18일 정기회의에서 위탁관리업체 현대하우징(주) 장호수 이사를 참석시켜 향후대책에 대해 브리핑받은 뒤, 현대하우징(주)이 소장에게 ‘견책’의 징계처분을 내리는 데 그쳤습니다.

2013년 9월 16일, 메리츠 화재에서 45,865,578원이 입금되었습니다. 입주자대표회의 보험금 수령시 화재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화든 방화든 위탁업체인 관리실 책임으로서 현대하우징(주)이 가입한 보험을 통해 보험금을 수령해야하는 데도 불구하고, 아파트가 가입한 보험금(메리츠 화재)을 수령한 셈이 되어버렸습니다.

아울러 당시 입대회는 관리업체와의 위수탁계약서의 4조(준수의무) ‘선량한 관리자’로서 의무 위반에 대해 책임을 묻고 계약해지를 할 수 있었는데도 그렇게 하지 않았고, 입대회는 현대하우징(주)에 위탁관리를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3년 계약기간을 연장해주었습니다. 결국 3,234세대 입주민들은 업무상 과실혐의가 있는 관리소장이 지금껏 관리함으로서 관리규약 목적상 ‘입주민들의 보호’를 제대로 받지 못한 상태가 하루하루 지속되고 있습니다.

– 수원소방서 화재현장조사서, 공문서 마음대로 조작

올 1월 5일, 제가 정보공개청구한 결과 소방서측은 국민안전처 화재정보시스템에 보관되어 있는 공문서인 화재현장조사서를 출력해 복사해주었습니다. 공문서에는 비상벨이 울리지 않았는데도 비상벨이 울린 것으로 나타나 있었습니다. 아울러 공문서에는 ‘인적 부주의’가 없었다고 조사를 마친 걸로 나왔습니다. 원본이 고쳐져서 각각 다르게 2부 작성된 상태입니다. 공문서가 이렇게 보관되고 고쳐져도 되는 것입니까?

먼저 보여준 첫 번째 조사서는 개인정보를 보호한다면서 조사서 ‘7. 발화지점 판정’란의 ‘관계자 진술’ 부분에서 <“관리사무소동 앞에서 경비를 서던 경비원은 “비상벨 소리가 들리고…”>라는 문서를 주었습니다. 경비원의 이름을 지우고 그 대신 경.비.원으로 고친 것입니다. 1년 6개월 전의 공문서를 이름을 지운 다음에 지운 문서를 원본대조필해서 기자에게 준 것입니다.

기자가 따져 물었습니다. 공문서는 원본 그대로 프린트 한 다음에 경비원 이름을 모자이크 처리하면 되는 데 왜 원본인 공문서를 고쳤냐고 캐물었습니다.

이병익 소방위는 “국민안전처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화재 관련 문서가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문서를 찾아 개인정보인 이름이 있어 이를 고쳐서 프린트 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공문서를, 그것도 원본을 고치는 있어서는 안될 일이 벌어진 셈입니다.

기자가 다시 공문서는 원본 그대로 프린트 한 다음에 경비원 이름을 모자이크 처리해서 달라고 했습니다. 소방서 과장과 소방위는 결국 원본 그대로 프린트해 경비원 이름위에 까맣게 칠한 뒤 기자에게 원본대조필해서 두 번째로 조사서를 건넸습니다. 원본이 졸지에 2장이 되어버렸습니다. 한국의 화재정보시스템 관리가 어떻게 되고 있는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순간이었습니다.

1년 6개월 전의 공문이 언제든, 얼마든지 고쳐질 수 있다는 의혹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조사서에 “비상벨이 울리고…”라는 내용도 신뢰가 가지 않는 이유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소방서의 조사서는 물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전기적요인’이라고 밝힌 부분도 근본적인 신뢰가 가지 않을 수 없습니다.

– 수원서부경찰서는 관리소장을 피해자로 둔갑시켜 내사종결 처리해버려

기자는 1월 6일, 수원서부서에도 당시 화재사건 관련 자료 일체를 정보공개 청구했다. 1월 13일 수원서부서 행정지원팀에서 준 내사결과 보고(기안 김영길 경사, 결재 김명철 경위)에 따르면 당시 서부서는 소장을 실화혐의자로 보기보다는 처음부터 피해자로 놓고 수사를 했고, 진술을 받은 약105일 뒤 내사종결(결재 김경수 경정)처리했습니다.

서부서가 서장에게 보고한 발생보고(화재) 자료에 따르면 화재 다음 날인 6월 21일 새벽 3시 21분에 작성된 문서에서는 화재발생 3시간 30분만에 이미 아파트 경비를 화재 신고자로, 관리소장을 피해자로 적시해 경찰서에서 수사를 벌여 “소장실 바닥에 있던 선풍기에서 원인모를 불꽃이 발생하여…”로 초동수사부터 왜 선풍기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에 대해 더 이상 주목하지 않았습니다. 서부서는 끝내 관리소장의 진술조서를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또 피해자 상대 진술서에는 “이동용 선풍기에서 원인모를 불꽃이 발생하여…화재발생”, 이라든가 “퇴근 당시 선풍기를 켰는지 껐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고…”라면서 내사결과 의견을 밝혔습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장 고재모, 감정관 남정우, 이기태)도 화재 감정을 의뢰한지 일주일만에 감정서에서 “선풍기의 전원코드는 콘센트에서 접속되었던 상태로 추정되나, 스위치는 꺼짐 위치이며, 당시 켜져 있었다고 판단할 특이점은 없다”고 적시하면서 선풍기에 집중 주목했지만, 특이점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결국 서부서는 “전기적인 특징에 의한 화재가 난 것으로 추정하면서 범죄혐의점 등으로 볼만한 단서를 발견치 못하여 내사종결”의견을 냈습니다. 진실이 이대로 묻혀야 하겠습니까?

– 주택관리업체 ‘골리앗’에 맞선, 작은 신문 ‘다윗’이 어떻게 하면 될까요?

그러나 일부 동대표는 올해 입대회 회장인 제가 수원시민신문에서 ‘관리실 화재사건’ 기사와 ‘입대회 회장선거에 관리실장 개입 기사’ 등을 보도했다는 등의 이유로 4월 16일 저녁8시 입주자대표회의 회장인 저를 해임하겠다고 해임안을 상정했습니다.

한 아파트가 변화를 두려워하는 일부 동대표들의 쪽수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현실을 보고만 있어야 할까요. 왜 아파트는 무관심 속에 이 모양 이 꼴로 가야됩니까? 왜 수원에는 배우 김부선 씨가 없습니까?

다시 말씀드리자면 당시 현대하우징(주) 소속 관리소장은 관리실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서 3,234세대의 관리를 지금껏 맡고 있습니다.

화재사건! 시간이 지난 과거일이라 하여 묻혀두어야 합니까? 이제 엘지빌리지 화재사건의 진실을 담은 화재현장 조사서는 어디에 있습니까. 왜 당시 입대회와 관리업체, 소방서와 경찰서, 국과수는 사건을 축소하고 덮는 데만 급급했을까요? 누구의 검은 손이 작용했을까요?

– 14일, 수원지방검찰청에 관리소장을 직접 수사 촉구하는 고소고발장 접수

낱낱이 밝혀주십시오. 입주민들은 뒤늦게 수원시민신문 보도로 화재사건을 알고, 지금 관리소장 해임과 관리업체 교체를 요구하는 서명을 벌이고 있습니다. 저는 내사종결한 이 사건을 검찰이 직접 제대로 된 수사를 하기를 바라면서 4월 14일 관리소장을 검찰에 고소고발 합니다. 소속사인 현대하우징(주)의 연대책임도 묻습니다. 향후 국민안전처 화재정보시스템에도 경종을 울릴 것입니다. 공동주택관리에 대한 지도감독부서인 수원시 도시정책실 주택과에도 이후에 책임을 물을 것입니다.

현대하우징(대표이사 이병주)은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2012년 10월 현재 129개단지 91,000세대를 관리하고 있다고 하면서 동종업계 경기도 선두주자라고 홍보하고 있습니다.(엘지빌리지 아파트와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계약기간입니다). 년간 매출액이 100억대라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안타깝게도 4월 16일은 세월호 참사 1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국가의 안전시스템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아 안타까운 목숨이 우리를 떠났습니다. 올 초에 제가 확인한 국민안전처 화재정보시스템상의 공문서는 여전히 언제든 고쳐지고 있다는 것을 경험한 순간이었습니다. 세월호는 우리 가까이 있습니다. 안전불감증에 걸리면 우리 아파트와 여러분들의 아파트가 세월호가 될 수 있습니다. 안타까운 희생에서 교훈을 찾아야 합니다. 일부 경직된 감사와 동대표들에 의해 엘지빌리지 아파트 주민들이 표류한 채 물에 잠기고 말아야 하겠습니까?

저는 아파트 풀뿌리 민주주의 종을 난타하는 타수의 일익임을 자랑할 것입니다. 이제 아파트내 삶의 질과 관리형태, 아파트 내 공동체 참여, 안전에 관심을 가질 때입니다. 고맙습니다.

2015년 4월 14일

김삼석 수원시민신문사 대표
수원 금곡 엘지빌리지 입주자대표회의 회장

[참고 전화번호]
현대하우징(주) 대표이사 이병주 031-214-0856
금곡엘지빌리지 관리사무소(소장 표춘근) 031-297-3181~2
수원소방서 화재조사분석과 박재호 과장 031-8012-9470
수원소방서 화재조사분석과 이병익 소방위 031-8012-9472
수원서부서 형사지원팀 이민호 경사실 031-8012-0371
메리츠화재 법인영업2부 02-753-2976

출처: http://newsfriday.com/2015/04/경기도에는-왜-김부선씨가-없나요-아파트-관리-1328505

Posted by insightalive
,

판교 창조혁신센터 개소 KT 공학도 황창규회장 아이디어 반영

게임·핀테크·사물인터넷 융합메카로 육성
삼성전자·노키아·에릭슨 등 글로벌 기업 참여


 기사의 0번째 이미지
내년 말까지 경기도 판교 일대가 정보기술(IT)과 문화·금융·건강이 결합한 융합단지로 변모한다. 또 차세대(5G) 이동통신 시범단지로 변해 국내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은 최첨단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연구·개발 활동이 가능해진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문화체육관광부·경기도·KT는 30일 판교 공공지원센터에서 IT 기반 신산업 육성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박근혜 대통령과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김종덕 문화체육부 장관, 황창규 KT그룹 회장,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경기센터는 판교공공지원센터 1층과 5층에 오디션룸과 미팅룸 등 개방형 공간과 개발랩·핀테크 지원센터·스타트업 입주공간 등이 마련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축사에서 "판교는 국내 중소벤처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베이스캠프'가 되고,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믿음직한 '셰르파'가 되어 스타트업들의 해외시장 개척을 안내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센터는 IT업체들이 밀집된 판교테크노밸리의 지리적 특성을 활용해 게임과 핀테크, 헬스케어 등 3대 분야 신산업 창출을 집중 지원한다. 

우선 게임분야는 가상현실(VR) 기기를 활용한 게임 등 차세대 글로벌 히트 게임을 육성할 계획이다. 현재 판교는 국내 상장 게임사 전체 매출 중 85%, 수출 중 71%를 차지하고 있다. 또 최근 화두로 떠오른 핀테크 분야 혁신적 기업도 지원한다. 핀테크 지원센터에는 7개 은행과 4개 카드사, 전산유관기관 등 13개 기관이 금감원과 연계해 상주하며 핀테크 아이디어가 상용화되기까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이외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사물인터넷(IoT) 관련 유망 기업을 선발해 병원·기업과 연계한 서비스 개발과 판로 개척을 지원한다. 이들 3대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에 총 1050억원이 지원된다. 

경기 창조경제혁신센터는 '게임콘텐츠' '핀테크' '사물인터넷(IoT)' 세 가지를 축으로 IT융합을 펼쳐나갈 예정이다.

지난해 가을 KT가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경기도의 파트너사로 선정되자 황창규 회장은 센터 개소 직전까지 현장에 총 5번 방문했다. 황 회장은 신산업 분야 지원책을 어떻게 꾸려갈 것인지 실질적인 의견을 제시해 왔으며 또 센터를 통해 해외로 진출하려는 스타트업을 위한 G-얼라이언스 체제를 구축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스페인 통신사인 텔레포니아의 세자르 엘리에르타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힘을 보태달라고 요청했고 이달 초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그를 다시 만나 승인을 얻어냈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기술을 구현해 중소기업이 이를 기반으로 장비와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지원한다. 삼성전자와 에릭슨, 노키아 등 글로벌 장비업체와 연계해 이 같은 취지를 살린 '오픈 이노베이션 랩'을 오는 11월까지 구축한다. 내년 4분기에는 판교지역을 차세대 이동통신 시범 단지로 만들어 개발자들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ICT분야 창업기업을 위한 맞춤형 '창조펀드' 1050억원도 조성됐다. 이를 통해 세 가지 신산업 분야를 집중적으로 키워갈 예정이다. 한국 판교-미국 실리콘밸리-중국 선전을 잇는 창업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우선 게임콘텐츠 육성을 위해 중소기업 대상의 '게임 소프트웨어 랩(Lab)'을 구축·운영하기로 했다. 게임 제작에 관심 있는 경기도 내 대학생과 예비 창업자, 스타트업 종사자라면 한국콘텐츠진흥원, 글로벌게임허브센터 등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다. 

공학도 출신인 황 회장이 센터 내 게임콘텐츠 개발과 관련해 랩실을 개발실과 테스트실로 이원화하는 것이 좋겠다고 건의하자 이것이 그대로 반영된 것. IT와 금융을 결합한 핀테크 사업에도 종합적인 지원이 이뤄진다. 핀테크 지원센터는 KT와 함께 은행(7개사), 카드사(4곳), 전산 유관기관 코스콤 등 13개사로 구성됐다. 핀테크 사업에 대한 1대1 멘토링부터 테스트 지원, 자금조달·특허출원 상담까지 갖춰졌다. IoT를 헬스케어와 보육분야에 활용한 시범 사업(어린이 안심보육, 청소년 비만관리)도 센터에서 진행된다. 센터는 위치 추적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해 각종 사고를 예방하고 인터넷TV(IPTV)나 스마트폰으로 CCTV를 시청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김선걸 기자 / 서찬동 기자 / 이경진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301192

Posted by insightalive
,

교통질서 구축 3자협력 첫 모델…"양심 대한민국 출발"


◆ 2015 신년기획 線지키는 先진사회 / ⑤ 시위 관행을 바꾼 부산 / 매경·경찰청·KT MOU◆ 

 기사의 0번째 이미지

10일 서울 미근동 경찰청에서 매경미디어그룹-경찰청-KT 간 '안전 gogo 캠페인' 양해각서(MOU) 체결식이 열렸다. 행사에 앞서 경찰들이 제보와 신고 등을 직접 시민들이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들어 보이고 있다. [김재훈 기자]

"KT, 매경미디어그룹과 협력을 통해 국민들이 쌍방향으로 교통 제보를 할 수 있게 됐습니다. 대한민국 제1의 앱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강신명 경찰청장) 

"길거리에 각종 교통 관련 제보 현수막이 가장 많은 나라가 한국입니다. 양심적인 대한민국은 이런 작은 출발에서부터 가능합니다."(장대환 매경미디어그룹 회장) 

"KT가 보유한 강력한 유무선 통신 인프라 등을 통해 어떤 사건사고와 재난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국민 제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협력하겠습니다."(황창규 KT 회장) 

대한민국 교통안전을 위해 경찰과 국내 대표 미디어·통신사가 의기투합했다. 이들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해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교통안전선 위법 사례를 적극 청취하고 올바른 교통질서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가용할 수 있는 모든 협력을 하기로 다짐했다. 

강신명 경찰청장은 10일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에서 장대환 매경미디어그룹 회장, 황창규 KT 회장과 '국민 참여형 목격자 정보공유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은 안전한 교통질서 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경찰, 언론, 통신사가 손을 잡은 첫 협력 모델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협약의 핵심 골격은 MBN이 개발한 국민제보 앱인 '안전 대한민국 GO GO(일명 GOGO앱)'와 경찰청의 스마트폰 국민제보 앱인 '목격자를 찾습니다'를 상호 연동시키는 것. 예컨대 GOGO앱을 설치한 스마트폰 이용자는 이곳에서 직접 보행자와 다른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끼어들기, 차선위반 등 불법 사례를 올리거나 '신고하기 GO'를 누르면 곧바로 경찰청 '목격자를 찾습니다' 앱으로 연결된다. 교통안전선을 잘 지킨 모범 사례도 'GOGO앱'의 칭찬하기 코너를 통해 올려 공유할 수 있다. 매경미디어그룹과 경찰청 앱 간 연계가 공익신고 활성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KT는 이 플랫폼을 저변에 확대하는 중책을 맡게 됐다. 

경찰청 '목격자를 찾습니다' 앱을 KT가 운영하는 모바일 앱 마켓인 올레마켓(market.olleh.com)에 등록하고 단말기에도 선탑재될 수 있도록 공동협력할 계획이다. 

아울러 3개 기관은 이번 교통 분야를 시작으로 종래에 각종 사건사고와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 시민들의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호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강신명 경찰청장은 "국민 참여형 목격자 정보공유 서비스는 그 명칭처럼 국민 참여를 얼마나 많이 이끌어 내느냐에 서비스의 성패가 달려있다"며 KT와 매경미디어그룹의 적극적인 협력을 당부했다. 그는 "매경미디어그룹과 KT, 경찰청의 오늘 협약은 대한민국 치안협력의 새로운 거버넌스 모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대환 회장은 "경찰청과 매경미디어그룹의 앱은 양심적인 대한민국의 출발"이라며 "길거리에 교통사고 제보 현수막이 가장 많은 대한민국의 풍경도 이 앱을 통해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기획취재팀 = 황인혁 차장(팀장) / 이재철 기자 / 백상경 기자 / 원요환 기자 / 최희석 기자 / 김시균 기자 / 박윤예 기자 / 박창영 기자 / 안갑성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229617

Posted by insightalive
,

카드 3사 개인정보유출과 한국수력원자력 해킹 사건 등 대형 보안 침해 사고의 확산, 클라우드와 모바일로 대표되는 새로운 IT패러다임의 급부상, 여기에다 정부발 규제 완화 정책과 보안도 편리해야 한다는 사용자 요구의 증가까지.
 
2015년 보안 시장을 둘러싼 환경이 달라져도 확 달라졌다. 규제와 기술 패러다임이 한꺼번에 바뀌는 가운데, 보안 시장 판세가 연초부터 요동치는 양상이다. 환경의 변화는 업계 판도 변화를 예고하는 전주곡들이다. 달라진 환경에서 지분을 확대하려는 업체 간 헤게모니 싸움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게 펼쳐질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
 
가장 큰 변화는 금융권에서 시작됐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액티브X, 공인인증서 없는 간편결제 환경을 만들자는 논의는 이제 핀테크 열풍으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금융 보안을 다루고 있는 전자금융거래법, 전자금융감독규정의 경우 2002년 2월 인터넷뱅킹에 공인인증서 사용이 의무화된 뒤 12년만에 의무사용규정이 폐지된다. 관련 법 개정안은 오는 2분기안에 국회 통과가 유력하다.
 

▲ 환경과 기술이 달라진 보안 시장에 새로운 판이 짜여지고 있다.


지난 1월에는 금융규제당국은 IT금융융합지원방안을 통해 전자상거래 영역 뿐만 아니라 은행, 증권사에도 비액티브X 방식 결제를 허용토록 권고했다. 보안솔루션을 도입하려는 금융사가 필수적으로 신청해야 했던 보안성심의, 공인 인증서 대체 인증수단으로 인정받기 위해 거쳐가야 했던 관문인 인증방법평가 위원회도 폐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 핀테크 사전 보안성 심의 폐지…사후 책임↑) 
 
그동안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호소해왔던 백신, 방화벽,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등 보안 3종 세트 역시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되도록 규제가 완화된다.(관련기사 : 금융권 '보안 3종 세트' 의무적용 없어진다) 
 
액티브X 이후 보안 환경을 둘러싼 업체 간 경쟁도 본격화됐다. 전자상거래 부문을 제외하고 은행, 증권사 등을 포함한 금융사들이 규제 환경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의 변화는 보안규제 완화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기조의 변화에 가깝다. 금융사 자율에 맡겨 편리함과 보안성 사이에 중심을 잡도록 유도하되 더 엄격한 사후책임을 묻는 쪽으로 정책의 무게중심이 넘어간 것이다. 
 
올해 들어 보안 시장은 클라우드와 사물인터넷(IoT) 등 새로운 IT패러다임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어섰다. 뜬구름 잡는 비전이 아니라 디테일을 갖춘 비즈니스 모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어 주목된다.
 
SK텔레콤이 글로벌 보안 업체인 시만텍과 협력해 자사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보안서비스를 제공하려 하는 것이 최근 사례다.(관련기사 : SKT-시만텍 제휴, 클라우드 보안 탄력받나)
 

▲ CES2015 내 삼성전자 사물인터넷 IoT 존.


IoT 보안 시장을 잡기 위한 관련 업계의 행보도 빨라졌다. IoT에 활용되는 개별센서들에 대한 보안은 네트워크 포인트, 센서들이 데이터를 교환하는 창구인 게이트웨이 단을 보호해야 가능해진다. 그런 만큼 단순한 장비, 솔루션 설치가 아니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서비스형 플랫폼(PaaS), 서비스형 인프라(IaaS)와 같이 특정 기간 동안 사용료를 지불하고 보안서비스를 활용하는 형태의 비즈니스가 확산될 것이란 전망이다.(관련기사 : IoT 시대, 클라우드 기반 보안 힘실려)
 
IoT 환경을 겨냥한 보안 위협은 더 이상 먼 얘기가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지난해 12월 발생한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망을 노린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에는 일반 가정에 설치된 무선 인터넷 공유기가 악용된 것으로 확인됐다.(관련기사 : 이통사 겨냥 DDoS 공격, 공유기 허점 노렸다?)
 
정경호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부원장은 "올해가 IoT 공격의 첫 시발점이 될 것 같다"면서 "무선랜 공유기는 물론 중앙 냉난방시스템과 같이 넓은 의미에서 IoT 영역에 포함되고 있는 기기에서 발생한 보안위협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IoT를 둘러싼 보안 위협은 PC, 스마트폰 등 인터넷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공격 보다도 더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장도 격전지로 부상했다. 그동안 앞문을 지키는 '경계보안'에 역량을 집중해 왔다면 이제는 네트워크 전 영역을 보고, 세부적인 정책설정까지 가능케 하는 일명 '전수보안'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과 같이 PC 외에 기기들이 업무용으로 활용되기 시작하고,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들이 보급되면서 애플리케이션(L7) 영역에 대한 세부적인 정책관리가 중요해졌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다. 이에 더해 공격자들이 추적을 피하기 위해 암호화 통신을 악용하기 시작하면서 SSL 등으로 암호화된 트래픽에 대해서도 분석이 필요해졌다. 
 
APT는 올해도 보안 업계를 주도할 중량감 있는 키워드다. 알려지지 않은 보안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전제조건은 '공격에 당할 수도 있다'는 점을 받아들이는 일이다. 모든 알려지지 않은 공격을 100% 막아낸다는 말은 거짓말이다. 그만큼 공격을 얼마나 빠르게 확인하고, 또한 피해를 최소화 하는 대책을 세울 수 있는가에 역량을 집중해야한다는 것이다. 
 

▲ IoT, 핀테크, 간편결제 등이 부상하고,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에 대한 재정의, 보안위협정보에 대한 인텔리전스, UX를 고려한 보안솔루션이나 서비스가 강조되고 있다.


2015년 보안 시장 관전 포인트 중 하나는 인텔리전스가 보안 업계 판도에서 중요한 변수로 등장했다는 것이다. 인텔리전스는 전 세계에 보안센서를 통해 수집한 위협정보를 분석하는 것이 골자다.
 
시만텍, 인텔시큐리티(맥아피), 카스퍼스키랩, 트렌드마이크로, 블루코트, 파이어아이 등 글로벌 보안회사들은 물론 IT인프라 회사인 IBM, HP 등도 단순히 악성코드를 분석하는데 그치지 않고, 일련의 공격흐름을 파악하는 용도로 활용하고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 최근 추세다.(관련기사 : 글로벌 보안 업계, 경쟁우위로 인텔리전스 전진배치) 
 
아이폰의 등장으로 관심을 끈 사용자 경험(UX) 이슈도 보안 시장을 강타하기 시작했다. 액티브X, 공인인증서 없는 금융환경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는 보안은 반드시 불편함을 수반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에 의문으로 이어지는 양상이다.  
 
애플페이, 카카오페이 등장 이후 최근 삼성전자까지 관심을 보일 정도로 논의가 뜨거운 핀테크 열풍도 뒤집어 보면 기존과는 달리 편리하면서도 안전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열망이 녹아있다. 무작정 보안성이 있으니 불편해도 괜찮다고 외치는 건 변명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얘기다. 사용자 편의성은 이제 매출과도 직결되는 사안으로 부상했다. 
 
전자상거래 업계에서 가장 먼저 간편결제에 도입하기 시작한 인터넷 서점 알라딘 웹기획/마케팅팀 김성동 팀장은 "보안 3종세트를 플러그인 방식으로 설치 않는 결제방식을 도입하는 것으로 고객이탈율을 3% 가량 낮췄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간편결제, 고객이탈 막기 위한 승부수
 
UX의 부상은  보안솔루션을 구매해 사용하는 기업들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네트워크 보안 업체 나루시큐리티의 김혁준 대표는 "모든 보안장비에서 나온 로그를 분석할 수 있는 고성능 장비를 도입한 기업들은 많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담당자를 두고 있는 곳은 거의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아무리 좋은 보안장비를 구매한다고 하더라도 결국 이 장비를 다뤄야하는 담당자들이 더 쉽고 편리하게 문제를 파악해 대응할 수 있도록 사용자경험(UX)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진 시점이다.


출처: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0227134800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