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3.25

 


산업부, 청와대 업무보고…통상협상 모델 마련키로
대기업 불공정 납품단가 인하 근절 추진


【서울=뉴시스】김재현 기자 = 새로 출범한 산업통상자원부가 안전·건강기기 등을 4개 '융합 신산업 분야'로 선정하고 적극 육성에 나선다. 또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 비중을 오는 2017년까지 50%로 확대하고 새로운 통상협상모델을 수립해 협정의 실익을 높이기로 했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25일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이 같은 내용을 보고한다.

산업부는 안전(재난 대비 시스템 등), 건강(스마트 의료기기 등), 편리(스마트 가전·홈 컨트롤 서비스 등 ), 문화(3D 홀로그래피 기술 접목 디지털 공연) 등 4개 분야를 '국민행복형 융합 신산업'으로 선정하고 국민 삶의 질 제고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부처 간 협력·융합 정책협의체를 구성하고 오는 9월 '4대 융합 신산업 육성방안'을 수립한다.

산업부는 오는 6월까지 '주력산업의 창조산업화 전략'을 수립해 신소재, 임베디드 소프트웨어(SW), 지능형 부품 등 융합 경쟁력의 근간에 대한 투자도 확대할 방침이다.

정보기술(IT), 신소재, 공정혁신 등을 통해 신발·의류를 도시형 혁신산업으로 육성하고 전통 기법·소재 융합에 따른 생활용품의 명품 브랜드화도 추진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불공정한 거래 관행도 개선도 된다.

산업부는 '제값 주는 거래 관행'을 정착시키고 전속적 거래 관행을 손봐 중소·중견기업들의 성장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상반기(1~6월) 중 공정거래위원회, 중소기업청 등과 협력해 불공정 거래 관행 실태조사에 나서며 9월에는 전속거래 요구 관행 조사를 실시해 향후 개선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대기업 간 부품 협력업체 제품 교차구매와 협력업체와 글로벌 선도기업 간 파트너십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더해 온라인 대금지급 모니터링 시스템이 공공부문에 시범 도입되고 품질·인증, 수수료 분야의 기업 손톱 밑 가시 뽑기도 집중 추진된다.

동반성장을 1차 협력사 중심에서 2~3차 풀뿌리 기업으로 확산시키는 '산업혁신운동 3.0'도 전개된다. 산업부는 대한상공회의소에 '산업혁신운동 3.0 중앙추진본부'를 설치하고 이를 업종·지역별로 확산시킬 방침이다.

산업부는 월드클래스 300 등 유망 중견기업에 이력관리시스템을 도입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키울 방침이다.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R&D 지원 비중도 오는 2017년까지 50%로 확대되며 자유공모형 R&D 지원도 현재 540억원에서 2017년 1700억원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산업부는 이 같은 방안을 통해 수출 1억달러 이상의 글로벌 전문기업을 2011년 116개에서 2017년 300개로 확대시킬 계획이다.

◇신 통상협상 모델 수립

외교부로부터 통상교섭 기능을 넘겨받은 산업부는 신 통상전략 로드맵 및 협상모델을 수립해 협상의 효율성을 높이기로 했다. 그간 FTA 등 협정 별로 원산지 규정 등이 상이해 통일성,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더해 산업부는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등의 자유무역협정(FTA) 활용 지원시스템을 체계화해 원루프 서비스를 제공하고 한·미, 한·유럽연합(EU) FTA 사후검증에 철저히 대비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대통령 주재의 무역투자진흥회의를 추진해 플랜트 수출, 디지털 병원 등의 상품·서비스 결합형 복합무역 개발 등 새로운 무역 추세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에너지 부문과 관련, 산업부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해 국민 신뢰를 회복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장기가동 원전을 대상으로 EU 방식의 스트레스 테스트가 실시되며 모든 원전에 대한 국제전문기관의 특별점검이 실시될 예정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경각심이 높아진 사이버 테러에 대비해 핵심 에너지시설에 대한 사이버 안전을 강화하고 에너지 공기업의 인사 및 조직문화 쇄신도 추진된다.

산업부는 상반기 안에 공론화위원회를 출범시켜 '사용 후 핵연료 관리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또 공기업은 리스크가 큰 탐사개발을 추진하고 민간은 대규모 투자가 소요되는 개발·생산을 담당토록 분담해 해외자원개발의 내실화를 꾀한다.

아울러 산업부는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광역선도사업, 지역특화사업을 지역발전 및 고용 효과 중심으로 전환하고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연계해 10개 혁신도시의 지역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지역에 본사를 둔 기업이 해당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R&D 지원 등 인센티브를 우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산업부는 비수도권에 대한 R&D 지원 비중을 현재 29%에서 오는 2017년까지 35%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윤 장관은 "업무 방식에 있어 부처 간 칸막이를 허물고 철저하게 산업현장 중심의 정책을 펴겠다"며 "지속적인 평가와 환류를 통해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123123@newsis.com

 

출처: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1028535&cloc=rss

Posted by insightalive
,


이달 말 정부가 주도하는 스타트업 지원 기관이 순차적으로 문을 연다. 창업희망자, 스타트업, 지원기관이 한데 모여 교류하고 일하는 협업 공간 중요성이 커지면서 정부가 직접 나서 분위기를 띄우고 있는 것이다. 창조경제타운 오프라인 센터,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등은 창업 희망자에게 무료로 업무 공간을 제공하고 투자자나 다른 스타트업과 네트워크를 지원하면서 혁신을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타운 오프라인 센터(가칭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이달 27일 광화문 KT 사옥 1층에 둥지를 튼다. 센터장으로는 한국 청년 기업가 정신재단 박용호 본부장이 선임됐다. 한국 청년 기업가 정신재단은 창조경제혁신센터 위탁·운영을 맡는다. 규모는 100명 좌석의 대회의실 1개와 10~20명이 들어갈 수 있는 소규모 회의실 4개, 기타 협업 기관 등으로 꾸며진다.

창조경제타운은 아이디어는 있지만 전문가에게 설명하거나 투자자를 만날 기회가 없는 사람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용자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홈페이지에 상세하게 올리면 된다. 미래부는 온라인에서 운영 중이던 것을 오프라인 센터로 확장해 창업지원 컨설팅, 멘토링과 연계해 확산시켜 나갈 예정이다.

스타트업 얼라이언스는 서울 서초동 한국인터넷진흥원 건물에 입주한다. 임정욱 전 라이코스 CEO가 지난해 11월 센터장을 맡아 이달 말 개관을 목표로 발족을 준비 중이다.

스타트업 얼라이언스는 지난해 7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발족되어 네이버,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등 스타트업과 인터넷 관련 47개 기관이 참여해 만든 연합체다. 정부에서 야심차게 기획해 필요성과 규모에 대해 모두 공감했지만 리더가 없어 방향을 표류하고 있던 중 11월 임 센터장이 전격 발탁되면서 급물살을 탔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부터 미래글로벌창업지원센터, 은행권 청년창업재단이 운영하는 `D캠프(D.camp)` 등의 개관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며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다. 이들 기관은 창업 허브를 표방하며 다양한 이벤트와 행사로 업계 주목을 끄는가 하면 네트워크 구축 모임, 멘토링 모임 등을 지속적으로 열고 있다. 투자(돈)와 네트워크(사람), 그리고 허브(공간)라는 창업 생태계 3대 요소 간 선순환 시스템이 서울 전역에 구축되고 있어 이들을 통한 창업 열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허정윤기자 jyhur@etnews.com

[표2] 주요 스타트업 지원기관 개요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260054

Posted by insightalive
,

원격의료를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 갈등을 풀 실마리를 찾았다. 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는 원격의료 허용과 관련한 입법과 시범 사업 추진을 합의했다. 의료법인 자회사 설립 허용도 원칙적 합의를 봤다. 이에 대한 의사협회 회원 의견을 묻는 투표라는 변수가 아직 남았지만 정부와 의료계 간 첨예한 대립은 해결 국면에 접어들었다.

정부와 의사협회가 원격의료에 합의했지만 의사와 환자간 모니터링, 상담에 국한한 것으로 원격 진료 합의까지 가지 못했다. 의료법인 자회사 설립도 성실공익법인에 한정됐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고 투자 규제를 완화해 의료서비스 질을 획기적으로 높이려던 정부로선 아쉬운 대목이다. 그렇지만 원칙적인 동의를 이끌어내면서 정부는 원격의료와 투자 활성화 정책을 추진할 동력을 확보했다.

정부와 의료계가 의료서비스 불균형한 수가체계를 비롯해 중장기 의료전달체계, 의학교육,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구조 등을 개선하기로 한 것도 긍정적이다. 의료계가 원격의료에 반발한 것도 사실 이런 구조적 문제에 불만이 팽배했던 탓이다. 정부가 적극적인 개선 정책을 마련함으로써 의료계를 서비스 혁신의 방해자가 아닌 능동적 참여자로 만들어야 한다.

아울러 의료 관련 산업도 적극 육성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우수한 의사 양성을 통해 의료 선진국으로 올라섰지만 관련 장비를 거의 외산에 의존한다. 이렇다 할 의료장비 업체를 키우지도 못했다. 극히 일부 대형병원을 빼곤 의료서비스에 세계 최고 ICT 인프라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 우리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만한 의료+ICT 융합 산업을 키우기는커녕 방치하는 셈이다.

의료서비스 질 향상과 함께 관련 산업도 육성해야 의료산업 경쟁력이 높아지며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의료법 개정 이후 정부가 추진하는 시범사업에 의료 관련 업체를 적극 참여시켜야 한다. 의료소비자 요구를 가장 잘 아는 기업들이다. 이들의 의견과 아이디어에서 서비스 질은 물론이고 산업 활성화 길을 찾을 수 있다.

 

출처: http://www.etnews.com/news/opinion/2918647_1545.html

Posted by insightalive
,

 

정부가 3월말까지 전자정부 사업을 대거 발주할 예정이어서 중소 IT서비스기업들의 선택과 집중이 활발히 이뤄질 전망이다. 대보정보통신·대우정보시스템·쌍용정보통신 등 중견 IT서비스기업 참여가 가능한 일부 40억원 이상 사업은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18일 정부에 따르면, 2~3월 동안 10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지원통합관리시스템 구축사업 등 29개 839억원 규모의 전자정부 사업이 발주된다. 이 중 50억원 규모의 법무부 통합사증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등 11개 사업은 발주가 완료됐다.

현재 발주가 완료된 사업 중 가장 관심이 큰 사업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이다. 올해 46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2017년까지 215억원이 추가로 투입되는 대형 사업이다. 대보정보·대우정보 등 중견 IT서비스기업들이 적극 사업 제안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행정심판허브시스템과 통합사증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은 지난해에 이어 2차로 진행되는 계속 사업이어서 IT서비스기업의 참여가 기존 사업자에 한정될 것으로 보인다.

2월 말에는 50억원 규모의 국가 수문기상 재난안전 공동활용시스템 구축 등 4개 사업이 발주된다. 국토교통부가 발주하는 이 사업은 올해 50억원을 포함, 2017년까지 330억원이 투입된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SW) 등이 통합 발주될 예정이어서 관련 업체들 관심도 높다. 마이크로 데이터 통합서비스 시스템 구축과 국가표준 인증 통합서비스 체계 구축 사업은 농심NDS·아이티센시스템즈·진두아이에서·콤텍시스템·KCC70정보통신·LIG시스템 등 중견·중소 IT서비스기업에 관심이 높다. 각 35억원 규모의 사업이다.

3월 초에는 60억원 규모의 과세자료 관리 및 체납방지시스템 구축 사업 등 9개 사업이 발주된다. 가장 규모가 큰 중소기업지원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은 2차 사업이어서 1차 사업자 외에는 큰 관심이 없다. 국가긴급이송정보망 통합 및 공동활용체계 구축 사업 등 20억원 미만 사업 3개는 KCC정보통신·아이티센시스템즈·진두아이에스 등 중소기업만 지원 가능하다. 3월 말에는 빅데이터78 공통기반 및 시범서비스 구축 등 40억원 미만 사업만 5개가 추가 발주된다.

지난해 공공정보화 시장에서 상당수 사업에서 수익성 악화를 경험한 중견·중소 IT서비스기업들은 올해 철저하게 수익성 위주로 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일부 전자정부 사업은 IT서비스기업의 제안 기피로 유찰도 잇따를 전망이다.

한 중소 IT서비스기업 공공사업본부장은 “전자정부 사업 중 선택과 집중으로 5개 사업만 제안에 참여할 것”이라며 “수익성이 확보되지 않는 사업에는 제안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견 IT서비스기업 공공사업본부장은 “수익성 확보를 위해 한 두 사업 외에는 전자정부 사업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2014년 2~3월 주요 전자장부 사업 발주 계획/ 자료:안전행정부>

2014년 2~3월 주요 전자장부 사업 발주 계획/ 자료:안전행정부
Posted by insightalive
,

비타민 프로젝트 확대…과학기술-ICT 융합 가속화

정윤희 기자/ yuni@zdnet.co.kr 2014.02.17

 

미래창조과학부가 오는 2017년까지 잠재성장률 4% 견인을 추진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이를 위해 비타민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예산을 5배 늘리며 창조경제 확산에 박차를 가한다.

미래부는 17일 오전 10시 청와대에서 방송통신위원회와 합동으로 박근혜 대통령에게 2014년 업무추진계획을 보고했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서는 과학기술 및 ICT, 창의와 도전을 바탕으로 생산성을 제고하는 창조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불가피하다”며 “창조경제를 통한 잠재성장률 4%를 견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미래부가 창조경제의 정책적 틀과 기반조성에 주력했다면, 올해는 창조경제 확산과 성과창출의 원년이 되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잠재성장률 4% 견인을 위해 미래부가 제시한 과제는 ▲창조경제 확산 ▲창조경제 역동성 제고 ▲창조경제 기반 강화 등 3개 분야 7개 과제다. 미래부는 과제 이행을 뒷받침하는 규제 개선 및 비정상의 정상화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창조경제 확산 박차…벤처창업 지원 팍팍

우선 창조경제 확산을 위해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립한다. 이를 통해 지역 전략산업을 발굴, 육성하고 지역 인재의 아이디어 사업화를 통한 창업과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및 글로벌 진출을 밀착 지원할 예정이다.

지역 중소·중견기업들은 혁신센터를 통해 지역내 관계기관 및 지원사업의 연계 서비스로 시장 진출, 애로기술 해결 등에 대한 원스톱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미래부는 상반기 중 대전, 대구를중심으로 운영모델을 정립해 우선 개소(2개 이상 목표)하고하반기에는 단계적으로 전국 확산할 계획이다.

또 벤처기업 창업과 해외진출을 가속화한다. 미래부는 자금조달(크라우드 펀딩), 정보수집(창업·투자 교류공간), 제도적 지원(청년창업가 입영 연기) 등 창업 애로사항을 우선 해소하고 청년층 및 중장년층 대상으로 맞춤형 창업지원을 강화한다.

특히 우수한 청년 인재들이 유망 창업기업에 근무해 경험을 쌓는 제도가 새로 도입된다. 창업에 필요한 노하우를 사전에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설립된 미래글로벌창업지원 센터(서울 상암동 소재)는 글로벌 창업 교두보로 육성한다. 이를 통해 법률·회계 서비스, 투자유치 등을 지원하고 민간의 전문성과 자금을 활용, 아이디어 발굴 → 멘토링 → 투자 → 해외진출을 전주기적으로 지원하는 창업 엑셀러레이터를 육성(5개 기관)한다.

아울러 동남아 및 동유럽권 등에 해외진출 현지 거점을 추가로 조성해 판로 개척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해외진출 현지 거점은 3개로 이를 올해는 6개로 늘린다.

 

■5G-웨어러블 등 신산업 육성…비타민 프로젝트 확대

미래 성장동력 발굴, 육성을 위해서는 9대 전략산업과 지속성장의 기반을 조성하는 4대 기반산업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9대 전략산업은 ▲5G 이동통신 ▲서브시(Subsea) 해양플랜트 ▲스마트카 ▲인텔리전트 로봇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실감형 콘텐츠 ▲맞춤형 웰니스 케어 ▲재난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 ▲신재생 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등이다.

4대 기반산업으로는 ▲지능형 반도체 ▲빅데이터 ▲지능형 사물인터넷 ▲미래 융복합 소재 등을 꼽았다. 미래부는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을 중심으로 산·학·연이 협력해 분야별 육성 추진계획을 상반기 중 수립할 계획이다.

▲ 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


비타민 프로젝트도 대폭 확대한다. 해당 프로젝트는 기존 산업에 과학기술, ICT를 융합해 산업 활력을 제고하는 프로젝트다. 지난해 15개 과제 200억원 수준이었던 예산이 올해는 30여개 과제 1천억원 수준으로 5배 확대됐다.

 

올해 비타민 프로젝트는 7대 중점분야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농축수산식품 ▲소상공업창업 ▲문화관광 ▲주력 전통산업 ▲보건의료 ▲교육학습 ▲재난안전SOC 등이다. 미래부는 과학기술, ICT를 통해 식중독균 신속 검출, 녹조 및 적조 사전 예측, 미세먼지 저감 등 국민안전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신공공서비스를 창출하는 사회문제해결형 사업도 지속 추진한다. 이밖에도 사물인터넷(IoE), 바이오헬스 산업 등 과학기술 및 ICT 신산업도 육성한다.

 

■출연연-공과대학 혁신…글로벌 히든챔피언 도약

출연연은 중소·중견기업의 R&D 지원 전진기지가 된다. 미래부는 오는 5월 출연연 R&D 지원센터를 설립하고, 기업 기술개발 수요를 바탕으로 기업수요에 맞는 원천기술을 개발·이전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기술협력이 아닌 원천기술의 개발·이전으로 중소기업이 기술혁신형 글로벌 히든챔피언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다.

 

출연연 스스로의 개혁에도 박차를 가한다. 기존 기초·산업기술 연구회를 통합, 실질적 지원기능을 강화하고, 고유임무를 재정립(기초/공공/산업)하고 민간·대학이 하기 어려운 부분에 출연(연)의 핵심역량을 집중한다.


공과대학은 기존 이론교육 중심에서 기업·현장 중심으로 혁신한다. 범부처 대학 재정지원 재원을 지렛대(평가지표 및 비중 등 조정)로 공과대학을 이론중심에서 실용중심으로 개편하고, 교수임용 및 평가 등에 실질적인 산학협력의 성과를 반영하도록 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관계부처(산업부, 교육부 등)와 공과대학혁신위원회를 공동으로 구성해 오는 4월까지 ‘공과대학 혁신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SW 매출, 2016년까지 90조원…생태계 고도화

소프트웨어(SW) 산업 생태계도 고도화한다. 창조경제의 혈액인 SW의 ‘창업 - 성장 - 글로벌화’로 이어지는 건강한 성장 생태계 조성을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SW창업기획사, SW특화펀드(200억원)를 통해 성장단계별 맞춤형지원을 강화하고, 시장 및 산업 특성에 맞춘 특화된 수출을 지원한다.

중소 SW기업이 세계3위 이내 글로벌 SW전문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대형 기술개발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미래부는 공정한 SW시장 유도를 목표로 일정비율 이상 하도급 제한 및 재하도급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도록 하도급 제도도 개선할 예정이다.


또 창의적 SW인력 양성을 위해 대학 교과과정 개편, 산학협력을 강화했다. 미래부는 SW를 어릴 때부터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도록 방과후학교 및 온라인SW 교육도 확대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에 장기 근무하는 SW개발자의 재교육을 위해서는 SW 바우처를 발급한다.

동시에 상시규제개선 체계로서 민관합동 SW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SW 투자·규제 개선을 위한 원스톱 해결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하드웨어(HW) 중심으로 성장하는 비정상적인 ICT 산업구조를 정상화하고, SW가 젊은층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내는 핵심 서비스 산업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를 통해 지난 2012년 SW 매출액 48조원을 오는 2016년 90조원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출처: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40217101229&type=xml

Posted by insightalive
,

 2014-02-16

 

160여개 시범학교에 첫 보급

새 학기부터 중학교와 초등학교 3, 4학년 사회, 과학과목에 디지털 교과서가 도입된다.

16일 미래창조과학부와 교육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다음 달 시ㆍ도 교육청이 지정한 160여개 학교에 디지털교과서를 처음으로 보급한다.

정부는 올해 160여개 시범학교 외에 이 달 말까지 수요를 조사해 교사와 학생이 원하는 학교에도 디지털교과서를 제공, 서책형 교과서의 보완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보급되는 디지털교과서는 초등학교 3, 4학년 사회, 과학 국정교과서와 중학교 1~3학년 사회1, 과학1이다. 중학교 사회1은 두산동아 등 검정심사에 합격한 5개 출판사, 과학1은 교학사, 비상교육 등 인정심사에 합격한 8개 출판사의 디지털교과서를 보급한다.

온라인 전송 방식으로 보급되는 디지털교과서는 PC,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패드 등에 내려 받아 가정이나 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제작한 교재이다. PC에는 디지털교과서 뷰어를, 스마트폰ㆍ패드에는 디지털교과서 앱을 설치해 실행하면 디지털교과서를 볼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 본문 내용에 원하는 색상과 두께의 펜으로 쓰고 지우거나 인쇄할 수 있고, 녹음기능을 이용해 소리나 음성 설명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또 하이퍼링크 기능을 이용해 인터넷 주소를 연결할 수 있고, 파일 찾기로 다른 자료와 연결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교과서 내용을 검색하고, 커뮤니티 기능을 이용해 교사, 학생들과 소통하거나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가 활성화되면 교과서 책자가 필요 없어 학생들의 가방이 가벼워지고, 스마트폰 등으로 멀티미디어화된 심화자료를 내려 받아 예ㆍ복습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동식기자 dskang@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2206752

Posted by insightalive
,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최원식 의원 밝혀]

최원식 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저가 알뜰폰(MVNO) 시장에서 재벌 계열사 점유율이 45%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며 "자칫 알뜰폰 시장이 재벌들의 과점 체제로 굳어질 것"이란 우려를 나타냈다.

16일 최 의원은 CJ헬로비전과 SK텔링크, KCT(태광), KT파워텔, KT텔레캅, 이마트 등을 재벌 계열사로 분류하고 이들의 가입자 점유율이 45%에 달한다고 밝혔다.

최 의원이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말 재벌계열사 알뜰폰 가입자수 현황'에 따르면 알뜰폰 가입자 248만여명 중 110만4000여명(약 44.5%)이 재벌 계열사 가입자다. CJ헬로비전이 59만9304명으로 가장 많고, SK텔링크가 37만1497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최 의원은 또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홈플러스와 삼성계열사인 에스원의 가입자 수를 합치면 재벌 계열사 점유율은 45%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했다. 이들 두 업체는 지난해 말까지 각각 4만명, 9000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벌 계열사 점유율은 2011년 말 10%에서 2012년 30%를 기록한 데 이어 1년 만에 45%로 급증했다.

최 의원은 "알뜰폰 시장이 재벌 과점체제로 굳어질 경우 사업자간 경쟁이 둔화돼 통신요금 인하와 가계 통신비 절감도 어려워질 것"이라며 "중소기업 활성화나 일자리 창출에 역행할 수 있다고 우려가 제기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류준영기자 etbbae@gmail.com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8&aid=0003207665

 

Posted by insightalive
,

 

[아이티투데이 성상훈 기자] 기존 산업에 과학기술‧ICT를 융합하여 산업의 활력을 제고하는  '창조 비타민 프로젝트'의 예산 규모가 5배로 대폭 확대된다.

 

17일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시작된 '창조 비타민 프로젝트'의 금년도 예산이 당초 200억원에서 1000억원 규모로 확대된다. 추진 과제도 15개에서 30개로 늘어났다.

 

비타민 프로젝트는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고 몸에 활력을 주는 '비타민' 영양소 특성처럼 미래부 현안사업에 과학.ICT의 전문적 지원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 브랜드를 말한다.

 

농축수산식품, 소상공업창업, 문화관광, 주력 전통산업, 보건의료, 교육학습, 재난안전SOC 등 7개 분야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지난해에는 미래부가 추진하는 사업 중에서 '비타민화' 할 수 있는 과제 15개를 발굴했으며 이중 4개는 가시적인 결과를 이끌어냈다.

 

현재 사업화가 완료된 과제는 전통상인(성남시장)과 지역주민 간 SNS‧모바일을 활용한 스마트마켓 지원, NFC 스마트폰 터치 방식의 오픈형 택시안심서비스 구축, ICT 기반 TPLC(Total Product Life Cycle) 생산공정 및 유지보수 이력관리, 증강현실 기반 '내손안의 고궁‧박물관'  전시안내시스템 개발‧서비스(덕수궁) 등이다.

 

특히 지난해 집행된 200억원의 예산은 추경이 편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R&D 예산에서 충당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올해 1000억원으로 대폭 예산이 확대된 것도 이같은 고충이 인정이 됐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올해는 이를 바탕으로 15개의 과제를 추가해 총 30개의 과제를 발굴할 예정이다. 현재까지는 5개의 과제가 추가로 사업화 검토 단계에 있다. 지난해에는 주로 소규모 사업이 주를 이뤘다면 올해는 국민 체감이나 산업 파급효과가 큰 과제를 중심으로 추진하겠다는 것이 미래부 설명이다.

 

2013 비타민 프로젝트 7대 추진 분야( : 사업화 완료< 2월기준 >)

분야

구분

사업내용

농/축/수산/식품

(비타민 A, F)

생장조건을 최적화‧제어하는 스마트 팜 팩토리 실증단지 조성

스마트 양식장 통합관리시스템 개발‧적용

RFID 기반 마약류(프로포폴 등 향정신성 의약품) 안전 유통‧관리체계 구축

 문화/관광(콘텐츠 포함)

(비타민 C, T)

증강현실 기반 “내손안의 고궁‧박물관”  전시안내시스템 개발‧서비스

보건/의료

(비타민 H, W)

빅데이터 기반 중증환자 생존율 향상 및 질병 주의예보 시스템

스마트폰 기반 운동지수 모니터링 솔루션 및 Wellness ICT 시범적용

주력/전통 산업

 (비타민 M, E)

ICT 기반 TPLC(Total Product Life Cycle) 생산공정 및 유지보수 이력관리

무선통신기술 활용 차량용 인포테이먼트 기술 개발

교육/학습 (비타민 L)

(비타민 L)

교내 시설물 통합이용 등의 스마트 캠퍼스 시범사업

게임형 학습(G-learning) 기반 스마트 러닝 기술‧솔루션 개발

소상공업/창업

 (비타민 B)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점포‧상권 평가서비스

전통상인과 지역주민 간 SNS‧모바일을 활용한 스마트마켓 지원

재난안전/SOC

(비타민 S, I)

NFC 스마트폰 터치 방식의 오픈형 택시안심서비스 구축

유해화학물 사고 실시간 관제‧대응 시스템 개발 및 활용

3D(블랙박스 활용) 기반  교통사고현장 재구성 기술 개발․적용

 

예를 들어 '농축수산식품' 분야에 지능형 로봇을 통한 해파리 퇴치 등 'ICT 활용 농업재해 사전예방책'이 추가되고, 주력 전통산업 분야에 '한국형 해상 디지털통신 기술', '스마트 상수도 에너지절감 관리시스템 개발' 등이 추가된다. 이 사업들은 현재 사업심사를 거치기 위한 준비작업이 진행중이며 다음주 이에 대한 검토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미래부 강성주 정보화전략국장은 이에 대해 "올해 추진되는 비타민프로젝트는 무인자동차에 탑재되는 웨어러블기기, 에너지 절감 시스템에 들어가는 부품들, 패션산업과 연계할수 있는 부분 등 신기술 창출과 신산업 창출이 연계되도록 할 것"이라며 "이후에 대국민서비스증진을 위한 교육분야, 재난안전분야, 보건의료분야도 활용할 수 있는 과제들을 발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Posted by insightalive
,

대기업-중소기업 상생방안 모색

성상훈 기자  |  HNSH@ittoday.co.kr

 

   
지난달 열린 '사물인터넷 국가전략 수립 간담회' 전경.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상생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정부가 사물인터넷(IoT)산업 육성을 위해 올해 244억원을 투입한다.

14일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오는 3월까지 '사물인터넷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사물인터넷(IoT)산업을 본격 육성하기 위해 연말까지 총 244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사물인터넷 육성 기본계획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파트너쉽을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실증, 창업 및 사업화, 해외시장 동반진출 등의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미래부도 이를 위해 스마트홈, 공장자동화, 지능형 차량운행 서비스 등 유망 신서비스 분야에서 범부처 협력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설명이다.

또한 산업생태계 기반 조성을 위해 부처별 제도 개선을 위한 협력 방안도 모색할 방침이다. 사물인터넷은 그 특성상 다른 사업 분야와 합쳐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관리.규제하는 부처도 다르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지난해 주류, 의약품, 소고기 등에 도입된 RFID 시스템의 경우 주류는 국세청, 의약품은 복지부, 소고기는 농림부가 관리한다. 사물인터넷이 적용되면 이에 대한 관리나 규제 역시 해당 부처와 협력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 외에도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로드맵도 상반기내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예산집행 등 구체적인 실행계획은 연말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로드맵 구축을 위한 사전작업이 진행중이다.

미래창조과학부 소프트웨어정책관 박일준 국장은 "사물인터넷 관련 사업은 대기업이라할 지라도 모든 솔루션을 다 스스로 조달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며 "반드시 중소기업과 상생할 수 밖에 없고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들의 사물인터넷 생태계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미래부가 할 일"이라고 말했다.

 

출처: http://www.i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901

Posted by insightalive
,

“수정까지 했는데”...단통법, 18일 통과될까?18일 미방위 법안심사소위 통과 여부 주목

이호연 기자  |  mico911@ittoday.co.kr

 

[아이티투데이 이호연 기자] 오는 18일 국회 법안심사소위를 앞두고 국회서 계류중인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통과 여부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특히, 미래부가 그간 단통법의 최대 쟁점 가운데 하나인 제조사 장려금 규모 자료 제출 조항까지 수정한 것이 알려지면서, 단통법이 과연 통과될 수 있을지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단통법은 차별적인 불법 보조금 지급을 막고 보조금을 투명하게 공시하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법안이다. 단말과 요금제를 분리해 시장에서 보조금 과열 경쟁을 막겠다는 것이 골자다.

 

앞서, 미래창조과학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단통법을 지난해 12월 임시국회에 상정했지만 여야간 공방으로 파행을 겪는 바람에 무산된 바 있다.

   
 

이에 따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는 오는 18일 법안심사소위에서 단통법 통과 여부를 다시 한 번 논의할 예정이다.

 

현재 미래부와 방통위, 이동통신3사는 단통법이 통과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최근 이통시장은 100만원을 훌쩍 넘는 불법 보조금 투입, 211대란 등 비 정상적인 행태를 보이며 시장 과열이 진행됐다. 정부는 물론 업계도 불법 보조금을 근절하기 위해 단통법이 하루빨리 통과되기를 기대하는 상황이다.

 

다만, 삼성전자는 단통법의 핵심 조항인 제조사 자료 제출과 관련,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제조사 자료 제출은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어 따를 수 없다는 설명이다. 이에 미래부는 지난 12월 단통법에서 논란이 되는‘제조사 자료 제출’과 ‘보조금 상한제’ 조항을 3년 일몰제로 한시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힌 바 있다.

 

더불어 이번에는 제조사 장려금 규모 자료 제출 조항은 기존 ‘제조사별’에서 ‘제조사 합계’로 제출하는 방식으로 수정했다. 이는 미방위측에서 미래부에 건의한 것으로, 삼성전자와의 갈등 상황을 조정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이를 두고 업계서는 단통법이 수정 작업을 거치며 본래 취지가 희석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보내고 있지만, 제조사의 입장을 감안해 미래부가 합의를 도출한 만큼 단통법 통과 가능성을 높게 점치는 분위기다.

 

이통사 관계자는“정부가 2번에 걸쳐 쟁점 논란을 수정한 만큼 해당 제조사에서도 반대할 명분은 없어보인다”며 “단통법 취지에 대해서는 미래부와 업계는 물론 여야까지 모두 공감한다. 내용상으로만 놓고 보면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문제는 실제 법안심사소위에서 논의될 지 여부다. 지난 12월 임시국회 때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놓고 여야 대립이 격화되며 법안 소위가 파행된 바 있어 통과 여부를 예측하기 힘들다. 당시 ICT 관련 법안은 ‘정보통신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ICT)' 외에는 거의 처리되지 못했다.

 

현재 국회 계류중인 법안만 341개인데, 이중 100여개가 쟁점 법안으로 단통법도 여기에 포함됐다. 여야간 이견이 적었던 개인정보유출 관련 법안을 놓고도 임시국회때 의견이 엇갈린 만큼 단통법도 상황이 비슷하게 전개될 수도 있다는 우려다.

 

만약 단통법이 이날 통과되지 못하면 6월 지방 선거 일정 등으로 9월 정기 국회서나 상정 가능할 전망이다. 미방위 의원실 관계자는 “단통법 취지에는 여야 의원들도 모두 공감한다”면서도 “실제 통과될지는 그 날 가봐야 알 것 같다”고 전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17일 열린 창조경제분야 업무보고에서 “최근 휴대폰 보조금과 개인정보보호 등 이동통신정책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다”며 “단통법이 국회에서 통과되면 이런 문제점이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만, 세심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출처: http://www.i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944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