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Julien Boudet, Brian Gregg, Jane Wong, and Gustavo Schuler


What customers want and what businesses think they want are often two different things. Here’s what customers are looking for.

Anyone who has gotten an unsolicited and irrelevant offer related to something they’ve done online knows that creepy feeling that someone is watching me. This kind of reaction is the third rail of today’s drive to personalize interactions with customers.

That’s a problem because, when done right, personalization can be a huge boon for retailers and consumers. Targeted communications that are relevant and useful can create lasting customer loyalty and drive revenue growth of 10 to 30 percent. The challenge is to personalize in a way that doesn’t cross lines and delivers genuine value and relevance. But how do you know?


To better understand what customers really value, we asked 60 shoppers to create mobile diaries of their personalized interactions with various brands over two weeks. With over 2,000 entries in total, we were able to see what kind of personalized communication works for customers and what doesn’t.

Here are the five things that customers said they value when it comes to personalized communications:

1. Give me relevant recommendations I wouldn’t have thought of myself.

One of the most popular personalization techniques is to remind shoppers of items they browsed but didn’t purchase. Using a common digital-marketing feature called retargeting, these reminders appear as ads on other websites the shopper visits or are delivered via email. Although an established technique, it is one with great potential for missteps and can easily come off as creepy or annoying if not executed thoughtfully. Shoppers don’t want to be constantly reminded of products they’ve already bought or searched for, especially if the ads appear either too soon, too frequently, or too late in the process.

Scenario: Product recommendation

One shopper found no value to an appreciation email she received after purchasing a puffy jacket. It recommended other similar jackets she might like. Regarding this product, you only need one. Why send an email for other similar coats? she asked.

To provide something a customer might be interested in, companies need to use more sophisticated recommendation algorithms to offer complementary products or services instead of just the things the shopper has already browsed or bought. This might entail, for instance, suggesting a cocktail dress for someone who has just bought or searched for stiletto heels. Customers who browse at Nordstrom.com often get product recommendations for similar items in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the next time they visit Facebook. Another effective tactic is communicating in a way that people actually talk to each other. The e-commerce clothing retailer Revolve, for instance, nudges shoppers this way: If you can’t stop thinking about it, buy it <3.

Finally, with any retargeting message, it’s important to observe who responds and who doesn’t, adjust the frequency accordingly, and cap the number of impressions for everyone, especially those who never respond—continuing to retarget these shoppers will only be annoying.

2. Talk to me when I’m in shopping mode.

When to send a message is just as important as what it says. Figuring that out requires taking a close look at behaviors, patterns, and habits.

A clothing retailer found that shoppers who visited one of their physical stores or the online store were more likely to open and respond to messages that were delivered either later on that same day or exactly a week later. Sending messages at those particular times meant the company was reaching people when they were either still thinking about shopping, or at a time when shopping for clothes made the most sense for their particular schedule. Previous order data can provide useful cues about activities such as ordering a gift for someone’s birthday or anniversary.

Scenario: Replenishment

Getting the timing wrong virtually eliminates the chance for a purchase while potentially annoying the customer. For example, an Internet service provider figured out that a consumer had moved. But the company waited too long to reach out. It’s now been a month since I moved, so obviously I already have my Internet service hooked up, the customer said.

3. Remind me of things I want to know but might not be keeping track of.

A highly effective way to become relevant to shoppers is through tracking specific events and circumstances they are likely to want to know about. This might take the form of a reminder when someone may be running out of an item purchased earlier, when a desired item is back in stock or on sale, or when a new style is launched for a product or category the shopper has repeatedly bought.

Scenario: Back in stock

Retailers, however, should be careful to provide shoppers with a trigger for the targeted message. One shopper told us she received an Instagram ad for cat-themed socks, which she had purchased from the same retailer a year earlier. The shopper knew the retailer was trying to get her to repurchase, but there was no attempt to connect with her beyond the appearance of the ad.

4. Know me no matter where I interact with you.

Consumers expect retailers to connect digital messages with their offline experiences. For many organizations, this is particularly challenging, because it requires collaboration between disparate areas of the organization, such as store operations, event managers, PR, digital marketing, and analytics. Yet if done effectively, communications that seamlessly straddle both online and offline experiences—and provide real value—can make a customer feel a retailer really knows them.

Scenario: Personalized discount

When cross-channel communication involves using information that customers have not actively provided, retailers should try to supply information that consumers will find truly valuable. Starbucks, which uses location information from customers’ mobile phones, asks people who are about to place an order at a store that’s an hour away from their current location if they really want to place their order now, since the order will be ready (and getting cold) well before they arrive at the store. Most customers do not object to such location tracking because it offers them information they are likely to find helpful.

5. Share the value in a way that’s meaningful to me.

Loyalty programs and direct-purchase information can tell retailers what types of products an individual customer buys, how often he or she buys them, when they buy, and what product categories they never purchase. Many companies, however, fail to take full advantage of this information to personalize their discounts and communications to their loyal customers. Customer offers are an important way to build customer loyalty and prevent churn. Personalizing them (and often gamifying the experience) is a highly effective way to not only inspire purchases but also encourage new buying behaviors.

Starbucks’ bonus star challenge is one such example. The company selects three particular items for loyalty customers to buy within a given week in order to qualify for bonus points that equal a free drink. These items are carefully chosen for each individual customer: two products they purchase frequently and one that leads them into a new, high-value category. If a customer, for instance, frequently purchases breakfast items, their discovery product might be a lunch item. If they tend toward healthier selections, the new item might be a salad.

Scenario: Loyalty (almost at next reward)

What to do to ensure you’re not being creepy

Any successful personalization effort hinges on the creation of messages and experiences offering a high degree of value to the customer. But how do you determine what’s valuable? To help answer this, we use a simple formula:

What shoppers really want from personalized shopping

This formula shouldn’t imply an exact science when it comes to personalization. But it does highlight the key issues that executives need to address.

Customers see value as a function of how relevant and timely a message is in relation to how much it costs, meaning how much personal information has to be shared and how much personal effort it takes to get it. Importantly, trust in the brand will boost overall value, though that can grow or recede over time, depending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various interactions with the brand.

In navigating this value equation, we have found addressing the following questions helpful:

Are you infusing empathy into your customer analytics and communications design?

To truly build empathy for customers, companies must understand their diverse attitudes, shopping occasions, and need states and build them into an attitudinal segmentation. Such attitudinal segmentation then needs to be layered onto the customer database in order for companies to be able to act on it to deliver on relevant and personalized messaging. This is a step many marketers miss.

Additionally, companies should be crafting their customer analytics and communications based on the customer’s journey (the set of interactions a customer has with a brand to accomplish a task). We’ve found that focusing on the satisfaction customers have with their journeys overall drives far more growth than customer satisfaction with individual touchpoints.

Are you listening carefully for feedback on customer acceptance?

Leaders in personalization are constantly testing and learning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nd engagement with customers and to identify potential issues early. They do this by digging into both upstream (likes, opens, clicks) and downstream (conversions, unsubscribes, ROI) engagement metrics. They use this information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he customer, for instance, how much the customer will spend relative to the cost of moving them from less engaged to more engaged.

On the flip side, they can also evaluate the economic impact that negative activity, such as unsubscribes and app notification blocks, has on a customer’s lifetime value. This allows them to more accurately appraise campaigns. For example, if one particular communication brings in twice the revenue but also elicits twice the unsubscribe rate as another communication, they will be able to determine which one is more valuable.

While data and advanced analytics play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shopper behavior, qualitative listening tools are also critical. Regular engagement with an ongoing shopper panel, for example, and ethnographic research and observation can offer valuable, in-depth, attitudinal feedback on the impact of personalized communications. Close monitoring of social media helps with the quick identification and resolution of potential problem areas.

There’s no question that doing effective personalized marketing at scale is a sizable challenge. Companies that deliver customers timely, relevant, and truly personal messages, however, can build lasting bonds that drive growth.


출처: https://www.mckinsey.com/business-functions/marketing-and-sales/our-insights/what-shoppers-really-want-from-personalized-marketing


Posted by insightalive
,

1950년대 이후부터 (아마도 최근까지를) 흔히 마케팅의 시대라 한다. 기업에선 쏟아져 나오는 상품들의 유일한 차별화 전략으로서 마케팅에 엄청난 예산을 쏟아 부었고 경영학,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등 관련 분야는 기꺼이 스스로 마케팅의 아바타가 되고자 했다. 그러나 80년대 후반부터 점차 사회가 복잡해지고 대중매체의 집중도가 흐려지면서 매스커뮤니케이션 중심의 마케팅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빠르게 싹트기 시작했다. 상태가 안좋아지려던 찰나, 마케팅에게 링거를 놓아준 워드가 바로 IMC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통합 마케팅)이다. 

아직도 마케팅 교과서는 IMC로 시작해서 IMC로 마무리된다. 이 워딩이 오랫동안 생명력을 유지해 온 이유는 '통합'하겠다는데 굳이 딴지를 걸 필요가 없어서이기도 했지만, 경쟁 심화와 광고비 축소로 수익이 줄어든 광고회사가 다양한 매체로 광고 예산을 확장하도록 광고주를 설득하는데 요긴했기 때문이다. 광고회사는 이 용어를 프레젠테이션마다 굵은 폰트로 끼워 넣고, 마케팅은 자고로 통합이 생명인데 모르셨냐며 파트너를 다양화하거나 매체비를 축소하면 안 된다고 광고주를 협박하는데 써먹었다. 실제로 통합 마케팅은 각종 미디어를 죽 늘어놓고 메시지를 끼워 맞춰 광고 노출을 확장하는 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래서 통합 마케팅의 다른 표현이 360º 마케팅이나 미디어믹스(Media Mix)다.

개인미디어 시대에 이러한 방식의 통합 마케팅은 의미가 없다. '통'부터 되지 않는데 '통&합'이 될 리 만무하다. 단 하나의 사소한 콘텐츠가 순식간에 전 세계 소비자들을 흔들어 놓고 마찬가지의 과정으로 수십 년 동안 쌓아왔던 브랜드 자산이 한순간에 무너지기도 한다. '통합' 보다 '유효성'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광고의 예상된 노출 경로에 대한 소비자의 회피는 점점 용이해지고 있다. 최근 애플이 발표한 OS에는 강력한 광고 차단기능이 탑재되었다.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놓친 광고는 아무리 전 방위적으로 노출된다고 해도 나카야마 미호가 오타루 설원에서 정처 없이 외치던 '오겡끼데스까'의 메아리가 될 뿐이다.

'마케팅 무용론'은 시장에서 점점 더 힘을 얻어가는 모양새다. 하지만 마케팅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가치 교환 행위를 촉진하는 일체의 과정이라는 정의에 입각해 보면 마케팅의 중요성엔 논의의 여지가 없다. 

다만 지금의 기업에게 필요한 것은 VMC (Valid Marketing Communication, 유효마케팅)이다. 시청률이나 클릭수로 측정하는 미디어 효율성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정량적 도달률을 넘어, 다양한 미디어에 연결된 사용자의 컨텍스트와 브랜드의 스토리가 만나 소비자에게 받아들여지고 공유되는 '유효한 (Valid)' 마케팅만이 그들을 움직일 수 있다.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의 승자는 <그래비티>나 <노예12년>이 아니라 삼성전자였다는 말이 있다. 이 주체 못하는 익살의 사회자 엘런 드제너러스가 갓 출시된 따끈따끈한 갤럭시를 들고 시상식 중간 중간, 지구를 들었다 놨다하는 스타들과 셀카를 찍으며 실시간으로 이를 SNS에 공유했고, 이 전 과정이 생중계 및 리트윗되면서 마케팅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간접광고(PPL)가 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과거에도 소위 '뜬' 광고와 그렇지 못한 광고는 존재했었다. 하지만 기존의 대중매체가 가지는 일방성으로 인해 투입된 광고비에 어느정도 비례하는 마케팅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어쨌거나 지상파의 저녁 드라마와 9시뉴스 사이의 광고는 국민의 반이 멍하니 봐주지 않았던가. 이제 더이상 그런 너그러운 미디어 컨텍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통합'이 마케팅 생산자가 주체가 된 행위라면 '유효성'이라는 공은 생산자가 아닌 사용자에게 있는 것이다. 이제 광고의 콘텐츠는 사용자에게 유효한(Validity) 가치(Value)를 줄 수 있어야 하며 역시 유효한 미디어(Vessel)에 담겨야 한다. 이것이 유효마케팅의 3V이다. 

질 낮은 브랜드 인지만이 목적이 아니라면 생산자 중심의 IMC 프레임에서 벗어나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VMC로 관점을 전환해 보자. 사용자 안으로 깊숙이 들어가 그들이 브랜드와 관련된 가치(Value)있는 경험을 나누고 퍼트리는 장(Vessel)을 만들며 이 과정을 도와주어 유효성(Validity)을 높이라는 것이다.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교수 박보람


출처: http://news.joins.com/article/18773467#home

Posted by insightalive
,

[국내엔 서버 안 둔 구글, 돌연 서비스… 국내 게이머들 어제 종일 소동] 

구글, 지난달 국토부에 한국 지도 데이터 요청하더니… 게임 인기 업고 여론몰이 의혹
"한국서 年 1조 매출 올리지만 세금 안내려 서버 안두나" 논란
구글은 "황당한 억측" 반박

속초에 나타난 포켓몬 - 13일 강원도 속초에서 한 시민이 실행한 ‘포켓몬 고’ 게임 장면. 스마트폰 카메라로 수복탑공원의 잔디밭을 비추니 화면에 포켓몬 캐릭터가 덧입혀져 나타나고 있다.
속초에 나타난 포켓몬 - 13일 강원도 속초에서 한 시민이 실행한 ‘포켓몬 고’ 게임 장면. 스마트폰 카메라로 수복탑공원의 잔디밭을 비추니 화면에 포켓몬 캐릭터가 덧입혀져 나타나고 있다. /연합뉴스

13일 국내 게임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용 게임 '포켓몬 고'(Pokemon GO)가 한국에 상륙했다는 소식에 들썩였다. 이날 인터넷 게임 커뮤니티에는 '강원도 속초·양양에서는 포켓몬 고를 할 수 있다' '속초에서 포켓몬 11마리를 잡았다'는 내용의 글이 1분 단위로 올라왔다. 일부 이용자들은 실제 속초·양양에서 이 게임을 즐기는 모습을 사진·동영상으로 찍어 올렸다.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선 '13일부터 20일까지 속초·양양행 버스가 매진됐다'는 글들이 올라왔고, 일부 온라인 매체를 통해 급속히 확산됐다.

게임 이용자들 사이에 엄청난 화제를 몰고 온 포켓몬 고는 지난 6일(현지 시각) 니안틱이라는 미국 게임 업체가 미국·호주·뉴질랜드 3곳에서만 출시했다. 이 게임에는 스마트폰 카메라로 눈앞의 장소를 비추면 화면 위에 여러 가상 정보가 뜨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 활용됐다. 예컨대 속초에 실제 존재하는 공원·터미널 등에 가상의 포켓몬스터 이미지를 덧입히는 형태다. 게임 이용자는 현실 세계에서 실제로 버스를 타고 공원에 가서 스마트폰 화면에 등장하는 포켓몬을 찾아 포획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한다.

미국 니안틱은 일본 게임 업체 닌텐도로부터 '피카츄' '파이리' 같은 포켓몬스터 캐릭터 사용 권한을 받아 이 게임을 만들었다. 출시 일주일 만에 1000만 다운로드를 넘기며 인기를 끌었고, 직접적인 수혜주로 꼽히는 닌텐도의 주가는 1만4000엔(약 15만4100원)에서 2만1830엔(약 23만9100원)으로 일주일 사이 50% 이상 폭등했다. 니안틱은 구글의 사내 벤처였다가 독립한 업체다. 주요 주주는 구글의 지주사인 알파벳과 닌텐도의 자회사인 포켓몬컴퍼니다.


이 게임은 원래 한국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니안틱이 한국을 서비스 제외 지역으로 묶어놓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에 미국 주소를 등록한 뒤 미국 계정을 만들면 이 게임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게임 업계 전문가들은 "니안틱의 실수 때문에 국내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가 가능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니안틱이 한국 내에서 게임에 접속할 수 없도록 했지만, 속초·양양 등 일부 지역에서 오류가 발생했다는 추정이다. 지난 11일 오후에는 서울에서도 이 게임을 했다는 내용의 글이 인터넷에 올라왔다. 하지만 13일 현재 서울 지역에서는 서비스가 안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게임 업계는 "니안틱이 서비스가 잘못 열린 것을 확인하고 다시 막았다"고 추정하고 있다.

일부에선 이번 포켓몬 고 소동이 '노이즈(잡음) 마케팅'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속초·양양행 버스가 완전히 매진됐다'는 내용은 사실과 달랐다. 속초·양양행 고속버스 업체 관계자는 "지금도 좌석은 여유가 있고, 예매가 정상적으로 진행 중"이라며 "승객 수도 평소보다 많은 편은 아니다"고 말했다.

구글이 한국 지도 데이터의 해외 반출을 위해 니안틱을 활용한다는 설(說)도 있다. 구글은 2007년 국가정보원에 지도데이터 반출을 요구했다가 거부당한 지 9년 만인 지난달 국토교통부에 지도 데이터 반출을 다시 요구했다.

포켓몬 고는 구글 지도를 기반으로 작동된다. 그런데 구글은 대형 컴퓨터(서버)가 해외에 있어 우리나라 지도의 상세 데이터를 받지 못한다. 우리나라는 안보 등의 이유로 상세 지도 데이터의 해외 반출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다 보니 완성도가 떨어지는 현재의 구글 지도에 의존한 포켓몬 고는 정확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결국 국내에서 포켓몬 고를 완벽하게 구현하려면 구글이 서버를 국내로 들여와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하지만 구글은 해외 서버를 국내로 옮기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한국에서 연간 1조원대의 매출을 올리는 것으로 알려진 구글이 세금을 내기 싫어 서버를 한국에 두지 않으려는 것 아니냐"고 의심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구글코리아 측은 "황당한 억측"이라며 "이 게임 회사는 단순히 지분만 투자했을 뿐이고 구글의 자회사도 아니다. 경영에도 전혀 개입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출처: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7/14/2016071400177.html

Posted by insightalive
,

IT발달로 과거 못쓰던 데이터 수집해 타깃광고 가능 

넷플릭스, 고객 자료 분석에 `머신러닝`까지 도입 

영화추천뿐 아니라 콘텐츠 기획·배급에 활용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일요일 오후 2시, 홍대 앞을 거닐고 있는 이영희 씨에게 스마트폰을 통해 식당을 추천하는 푸시(알림)가 온다. 이씨가 어제 '레스토랑'을 검색했기 때문이다. 이 레스토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이 오고, 또 오늘 만날 남자친구에게 줄 선물에 대한 제안도 날아온다. 마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minority report)'를 연상시키는 이 같은 마케팅이 가능할까. 기술적으로 불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씨가 이런 마케팅에 동의하지 않았다면 이는 개인 사생활 침해로 볼 수 있는 여지가 있고, 법적으로 엄격히 규제될 가능성도 크다. 무엇보다 이런 마케팅이 실제 효율적일지도 의문이다.  

SK(주)에서 운영하는 브랜드 교육과정인 서강-SK 브랜드 아카데미에서 강의한 서헌주 SK플래닛 마케팅테크놀로지 사업개발팀장에 따르면 이는 '데이터기반 마케팅(Data-driven Marketing)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다. 빅데이터의 발달과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에 따라 데이터기반 마케팅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실제로 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기업은 드물다는 것이다.  

 소비자 이해 어려워지자 등장한 것이 데이터기반 마케팅 

데이터기반 마케팅은 전혀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AI와 마찬가지로 지난 수십 년간 존재해왔지만 실현할 기반이 마련되지 않아 개념 차원에서만 존재하다가 기술의 발달로 현실적인 대안으로 부상한 것이다. 이는 기존의 '세대' '사회적 계층'과 같은 인구통계적 구분에서 이뤄지던 마케팅이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게 되면서 대두된 것이다. 

지금 소비자들은 과거와 다르게 '전략적 소비'를 한다. 자신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소비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 반면, 그 외에는 극단적으로 실용적인 소비를 추구한다. 해외직구와 유니클로 등 SPA 브랜드의 부상에는 이 같은 전략적 소비가 깔려 있다. 과거 SPA 브랜드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자신의 트렌디한 취향을 채우려는 젊은 층이나 몇몇 기능성 의류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주 고객이었다. 

그러나 지금 SPA 매장에는 어린이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연령대로 붐빈다. SPA 브랜드의 실용성이 나이대를 가리지 않고 모두에게 통하는 것이다. 세대와 같은 단순한 기준으로 소비자의 행동을 예측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그들이 생산하는 정보의 조각들, 라이프로그(life log)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데이터기반 마케팅'의 새로운 출발점이다. 

그렇다면 기업이 필요한 고객의 정보는 어느 정도일까. 기업은 특정 소비자가 원하는 만큼 세분화·맞춤화한 대안을 제공할 수 있지만 여기에는 과도한 비용이 수반돼 이를 통해 수익을 발생시킬 만한 능력은 갖고 있지 않다. 고객의 세세한 정보를 안다고 해도 그것으로 돈을 벌 수는 없다는 얘기다. 또한 고객들에게 무차별한 푸시를 계속할 경우 소비자의 피로도와 반감만 높아진다. 

가장 현실적인 데이터기반 마케팅을 보여주는 사례는 넷플릭스다. 넷플릭스와 같은 선도적인 기업들은 자신의 사업에서 얻은 정보와 가용한 제3자 정보를 적절히 융합해 좋은 성과를 얻고 있다. 

넷플릭스는 사용자 데이터, 즉 평점, 이용패턴, 기기 정보 등과 외부의 2차 자료를 폭넓게 활용한고 여기에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과 같은 고유의 분석 역량을 도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영화를 추천할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콘텐츠를 기획하고 배급하며 연출 등에도 활용한다. 즉 자사가 가용한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고 자신의 비즈니스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데이터기반 마케팅 역량이다. 

기존 마케팅은 도출된 인사이트와 마케팅 실행이 개연성에 의존해 이뤄지지만 데이터기반 마케팅은 시스템에 의해 실제 데이터와 마케팅 실행이 긴밀하게 연동되고 실시간으로 개선된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수집과 분석이 어려웠던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게 되고 마케팅 결과는 다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돼 다음번 마케팅의 효율을 높인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모호함의 영역에 있었던 성과 측정이 가능해지고 다음 전략을 세울 때 더 객관적인 개선이 가능해진다. 

결국 데이터기반 마케팅이란 기존 마케팅에서 어려웠던 활동을 정보기술(IT)과 인프라를 통해 실질적으로 연결시키고 정교화하는 것이다. 새로운 도구를 통해 마케터의 통찰력 범위를 벗어나는 범위의 정보와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마케팅을 말하는 것이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해외에선 프로그래매틱 바잉이 대세로 떠올라 

그렇다면 해외 기업들은 구체적으로 어떤 도구를 사용하고 있을까. 대표적인 것이 프로그래매틱 바잉(Programmatic Buying)이다. 이는 디지털 광고 거래 시장에서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축적한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를 구매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그래매틱 바잉에서는 DSP(Demand Side Platform)이라는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비딩을 통해 거래한다. 여기에 비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DMP(Data Management Platform)를 바탕으로 해 회사가 타깃으로 하는 고객군에만 제한적으로 광고를 노출할 수 있도록 변해가고 있다. 

이 같은 광고 시장에서는 사람에 의존하는 영업과 기획으로는 대응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광고 구매로 진화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프로그래매틱 바잉은 이제 시작 단계에 불과하지만 해외에서는 이미 주요한 미디어의 구매 방식으로 보편화돼 있으며 일반적 디스플레이 광고뿐 아니라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미국에서는 현재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의 50% 이상이 프로그래매틱 바잉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이 비중은 더욱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 <용어 설명> 

▷ DSP(Demand Side Platform) : 광고주 입장에서 광고 목표에 맞게 실시간 비딩을 통해 원하는 오디언스를 정확하게 찾아 광고를 노출시키고, 운영하고, 효과 측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 DMP(Data Management Platform) : 프로그래매틱 바잉을 할 때 개인정보를 원천적으로 배제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주는 플랫폼. 

[이덕주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no=471613&year=2016

Posted by insightalive
,

대다수 광고제, 창의성에 치우쳐 매출 효과와 무관한 작품들 선정 

올해 에피코리아 최고상 `시디즈`, 의자의 중요성 강조해 매출 8배↑ 광고의 매출 파급력 다시 입증


 기사의 0번째 이미지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빠가 되면서 생긴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내 아이가 밥 먹는 모습이 그렇게 예뻐 보인다는 것이다. 옛말은 역시 틀린 법이 없다. 세상에서 제일 듣기 좋은 소리는 '내 논에 물 대는 소리'와 '내 새끼 입에 밥 들어가는 소리'라는 그 옛말 말이다. 그리고 이 시대의 자영업자들에게 가장 아름답게 들릴 소리는 모르긴 몰라도 이 소리지 싶다. 손님이 계산을 마치면 금전출납기가 열리면서 나는 띵~ 소리. 단순하게 말하면 지금 이 시간에도 세상의 모든 기업들은 매출이나 주식 가치, 브랜드 가치 같은 각자의 '띵' 소리를 최대한 많이 듣기 위해 달리고 또 달린다. 

그런 기업을 돕기 위해 광고회사는 '크리에이티브 임팩트'라는 강력한 무기를 만들기 위해 밤을 새운다. 유행어를 만들고, 멋진 그림을 만들고, 뜨거운 모델을 섭외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 임팩트가 매번 금전출납기의 벨소리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오죽하면 1900년대 초반 미국 광고업계의 농담이 아직까지 회자되겠는가. '광고비의 반은 잘못 쓰이고 있다. 문제는 어느 쪽 절반이 문제인지 아무도 모른다는 것이다'라는. 

칸이나 클리오 같은 세계적인 광고제의 수상작을 고르는 기준이 광고주의 문제 해결이 아니라 광고회사의 창의성에만 치우쳐 있다는 비판은 그래서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다. 광고가 원래의 존재 이유인 마케팅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하지 못한다면 대체 그 창의성은 누구를 위한 것일까. 바로 그 문제의식에서 태어난 광고제가 '에피어워드(Effie award)'다. 광고의 마케팅적인 효과(effectiveness)에 집중하는 이 상은 1968년 미국을 시작으로 현재 세계 40여 개국에서 매우 의미 있는 상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한국에 선보인 지도 올해로 3년째를 맞고 있다. 

2016년 에피코리아(Effie Korea)의 최고상인 그랜드에피를 보자. 의자 전문 브랜드 시디즈의 '의자가 인생을 바꾼다' 캠페인이다. 의자가 뭐기에 인생까지 바꾼다는 걸까 싶지만, 들여다보면 치밀한 노림수와 상황 판단이 숨어 있다. 의자 시장을 100으로 보면 우리가 흔히 아는 브랜드 의자 시장은 10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의외로 90%는 흔히 말하는 '사제 의자' 시장이라는 것. 그래서 10%의 시장에서 경쟁자 대비 인지도를 높이겠다는 광고는 보기에는 아름답겠지만 결과적으로는 잘해야 찻잔 속의 태풍이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사진설명 시디즈 의자
그러니 90% 시장 의자를 책상 부록 정도로 여기는 타깃의 의자에 대한 관여도를 올리자는 목표 아래 광고 캠페인이 설계되고 집행됐다. 의자가 얼마나 중요하고, 어떤 것들을 바꿀 수 있는지 알려주는 시디즈의 캠페인은 눈에 띄는 변화를 이끌어냈다. 시디즈의 아동 의자(링고) 매출이 8배, 사무용 의자(T50) 매출이 1.6배 급증한 타이밍과 광고 시점이 정확히 일치하는 그래프는, 효과적으로 설계된 광고는 여전히 파괴력 있는 툴임을 다시 한번 증명해준다. 

다른 수상작들은 어떤 곳이 있을까. 골드에피상은 '삼시세끼 어촌편'에 진행한 씨그램의 간접광고(PPL)가, 실버는 우르오스 '남자, 어려워하지 말고 우르오스', LG전자 로보킹 '극한청소 도전! 시즌 2', 롯데껌 '#껌스타그램', 배달의민족 '신의 배달', 삼성카드 '실용카드캠페인'이 받았다. 

브론즈상은 이니스프리 '피부를 위한 진심', 캔디크러쉬소다 '내 삶의 스윗소다 캔디크러쉬소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 '기부방방', 처음처럼 순하리 론칭, LG 올레드TV '붐업(Boom up)', LG 트롬워시 '생각의 세탁' 등이 수상했다. 멋있는 광고보다 팔리는 광고라는 기준으로 보니 수상작의 양상도 완전히 달라진다는 점이 흥미롭다. 

 기사의 2번째 이미지
불황이다. 많은 회사가 광고비를 줄이거나, 예산을 디지털로 돌리는 시대다. 광고인 입장에서 '광고의 위기'라는 말은 이제 기분 나쁜 징조가 아니라 명백한 팩트처럼 들린다. 이럴 때일수록 기본으로 돌아가야 하지 않을까. 광고회사의 기본. 마케팅적 문제에 대한 소신 있는 진단과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다운 해결 말이다. 언제까지 광고가 초등학생들의 유행어를 목표로 달릴 것인가. 언제까지 '멋있는 그림과 임팩트'가 광고회사를 구원해줄 것인가. 금전등록기의 기분 좋은 벨소리는 바로 그런 문제의식을 가진 마케터와 광고회사를 위해 울리지 않을까. 

[유병욱 TBWA코리아 콘텐츠디렉터(CD)]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no=379975&year=2016

Posted by insightalive
,

스타브랜드, 고객을 `잡은 물고기` 취급했다간…


■ '스타 브랜드' 저자·SVA 교수 캐롤라이나 로골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사진설명 인터브랜드 베스트 글로벌 브랜드 2015'
미국의 한 미술대학교 강의실에서 교수가 학생들에게 던진 질문 한 가지. "가장 좋아하는 브랜드는 무엇인가요?" 이 교수는 해당 강의가 2011년에 신설된 이후 수업 첫날에 늘 같은 질문을 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대답 중 반복되는 브랜드에는 코카콜라, 애플, 스타벅스, 나이키가 포함된다. 이는 마치 사람들에게 "가장 좋아하는 스타는 누구인가요"를 묻는 것과 비슷하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언급하는 브랜드는 일치하는 경우가 많고, 이 브랜드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이 브랜드가 무엇인지는 알고 있다. 이런 질문을 던진 교수는 다름 아닌 미국 스쿨 오브 비주얼 아트(School of Visual Arts·SVA)에서 브랜드학 석사과정의 '브랜드 매니지먼트' 강의를 맡은 캐롤라이나 로골(Carolina Rogoll)이다. SVA는 미국에서 최초로 브랜드학 석사과정을 도입했다. 

세계적인 소비재 기업 P&G에서 브랜드 매니저로 일하면서 강의교수(instructor)로도 활동하고 있는 로골 교수는 저서 '스타 브랜드'에서 수업 첫날을 회상하며 "학생들이 각자가 좋아하는 브랜드에 대해 갖고 있는 열정(passion)은 해당 브랜드가 성공했는지 판단하는 척도가 된다"고 말했다. 그리고 로골 교수는 학생들이 꼽은 '브랜드 세계의 유명인사'를 스타 브랜드(star brand)라 표현했다. 

이렇게 '스타 브랜드'를 만드는 것은 모든 기업의 꿈이다. 그렇지만 '자고 일어나보니 스타가 됐다'는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사실 오랜 기간 준비한 끝에 유명해진 것처럼 브랜드 역시 하루 만에 '스타'가 되지 않는다. 철저한 준비 과정이 필요하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내고 수많은 결정을 지는 결과로 '스타 브랜드'가 탄생한다. 

매일경제 더 비즈 타임스팀은 로골 교수와 인터뷰하며 '스타 브랜드'에 대해 더 자세히 들었다. 그는 스타 브랜드의 토대가 되는 아이디어는 "몇몇 직원들에게만 있는 특별한 능력이 아닌, 두 가지의 사고방식을 넘나드는 사고능력"이라 말했다. 그리고 "스타 브랜드는 한번에 탄생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단언하며 기업의 인내가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했다. 브랜드가 구축된 후에도 "날마다 해당 브랜드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며 "이래야지만 브랜드 이미지가 유지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다음은 로골 교수와의 일문일답. 

 기사의 1번째 이미지
-스타 브랜드의 탄생에는 창의성이 뒷받침돼야 한다. 당신이 생각하는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나는 존 클리즈(극작가로도 활약한 영국 명배우)가 창의성에 대해 한 말을 굉장히 좋아한다. 바로 "창의성은 능력이 아닌, 생각을 하는 방식이다(Creativity is not a talent, it is a way of operating)"란 말이다. 창의성은 일부 직원들에게만 있는 특별한 능력이 아니라, 아이디어가 생성되도록 생각을 하는 방법이다. 

결국 창의성은 두 가지의 사고방식을 넘나들 수 있는 사고능력이다. 첫 번째는 열린 사고방식이다. 다각도로 생각하는 것이다. 나머지 하나는 (놓인 상황에 필요한) 정확한 해결책을 생각해내고 이를 도입하는 '닫힌(closed)' 사고방식이다. 창의력이 가장 뛰어난 사람들은 본인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해답(아이디어)을 빨리 찾으려는 마음을 뒤로하고 다른 사람들보다 아이디어를 더 오랫동안 생각한다. 그리고 알맞은 시간에 모여서 해당 상황에 적합한 아이디어가 뭔지를 파악한다. 

실생활의 예를 들어보겠다. 조직에서 아이디어를 위한 브레인스토밍을 한다. 해당 일에 알맞은 인물들로 팀을 구성하고, 올바른 목표(objective)를 세우며, 미래 소비자 트렌드를 예측하고, 소비자들의 불만을 들여다보는 등의 과정에서 아이디어가 샘솟는다. 이렇게 아이디어가 피어오른 뒤엔 '좋은' 아이디어와 '나쁜' 아이디어가 무엇인지 판단해야 한다. 올바른 판단은 혼자 하기 어렵다. 함께 모여 아이디어를 '분해'하고 분석해 실행 가능한 것이 무엇인지 골라낸다. 

그리고 이를 위한 좋은 분별력을 갖기 위해 해당 팀은 경쟁하고 있는 시장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져야 함은 물론이고, 미래에 브랜드를 세울 아이디어에 대한 선견지명이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평상시에 사람들은 '스타 브랜드' 아이디어를 어떻게 얻는가. 

▷스타 브랜드는 한번에 탄생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을 거쳐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두 종류의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첫째,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다. 이는 어디에서나 얻을 수 있다. 소비자들의 습관, 불만, 새롭게 성장하는 시장 기회 등을 보고 브랜드 제품 혹은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가 생긴다. 둘째, 이렇게 얻은 아이디어를 어떻게 상업적으로 선보일 것인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요구된다. 사람들이 이를 구매하도록 '설득'하는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 미국의 위성방송 업체인 다이렉 TV(DirecTV)의 '케이블을 끊어버려(get rid of cable)' 광고가 이런 상업성 아이디어의 한 예다. 

브랜드를 만드는 것은 예술(art)이면서 과학(science)이다. 창의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예술적이고, 브랜드가 한 사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일종의 과학과 같다. 이 두 가지 '성격'은 소비자들의 감성과 이성에 어필하는 데에도 필요하다. 

 기사의 2번째 이미지
사진설명 코엑스몰에 위치한 버버리 화장품 매장. 캐롤라이나 로골 교수는 변신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크게 높인 '스타 브랜드' 중 하나로 버버리를 꼽았다. 
―스타 브랜드에는 여섯 가지 주요 요소가 있다고 했다. △명확성(clarity) △일관성(consistency) △높은 목표의식(higher order purpose) △감정적 동화(emotional connections) △강력한 혜택(superior benefits) △학구열(commitment to learning)이 그 여섯 가지다. 이 중 스타 브랜드가 되기 위해 첫 번째로 다져야 할 것이 있다면. 

▷명확성이 우선적으로 있어야 한다. 브랜드가 무엇을 상징하는지, 브랜드의 성공 요소는 무엇인지, 제품에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고객과의 소통은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확립해야 한다. 이것이 확립돼야만 그 이후에 해당 제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선보일 수 있다. 

―일관성에 대해 얘기해보자. 현재 각 산업에 빠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변화에 맞춰가지 않으면 기업들은 살아남기 힘들다. 이런 비즈니스 상황에서 일관성 있는 메시지를 보내며 한결같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고수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나. 

▷일관성은 '변하지 않고 발전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다. 브랜드는 사람들의 관심을 유지하고 새로운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신선함'을 보여야 한다. 그렇지만 대중이 해당 브랜드를 (그대로) 인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새로운 모습을 보여야 한다. 

버버리(Burberry)가 이를 잘하는 브랜드다. 몇 년 전 버버리의 상황은 그리 좋지 않았다. 새로운 소비자들에게 어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브랜드 변신을 했다. 브랜드의 주요 요소(core)인 트렌치코트나 '버버리 컬러'는 그대로 유지하되 새로운 디자인을 입힌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라 영화배우 엠마 왓슨을 모델로 '젊음'을 내세웠다. 

버버리의 변신은 성공적이었지만 많은 브랜드가 변화하는 데 실패한다. 브랜드의 주요부문은 유지하면서 새로운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브랜드를 '개조'하는 것은 브랜드매니저의 업무 중 가장 힘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매우 심사숙고해 조심스럽게 브랜드 변화를 위한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 

―스타 브랜드의 또 다른 성격으로 '학구열'을 꼽았다. 그렇지만 모든 직원이 업무 외 자기계발을 하고 본인을 발전시키려 노력하진 않을 것이다. 이에 동의하는가. 

▷조직학습의 시작은 리더가 학습을 위한 환경 만들기에 헌신하는 것으로 비롯된다. 직원 개인이 자발적으로 자기계발을 할 수 있지만, 사내에서 이런 학습 분위기를 시스템화할 수 있다. 회사 관리자들이 자사의 '학구열'을 돋우는 방법을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기심을 칭찬하고 배움을 격려하라(celebrate learning). 둘째, 조직의 우선순위를 직원 교육에 둬라. 이는 직원들에게도 자사의 경영전략에 조직학습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을 말한다. 셋째, 큰 규모의 투자를 한 이후에는 전 직원이 어떤 측면에서 투자가 성공적이었는지, 어떤 일을 다르게 할 수 있었는지 등에 대한 체크포인트를 갖는 것이 예상되는 환경을 만들어라. 이런 시간을 가지면 직원들은 조직학습을 받아들이고 이를 실천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스타 브랜드를 만들기까지 기업이 직면하는 가장 힘든 점은 무엇일까. 

▷장기적 목표와 단기적 목표의 균형을 잘 맞추는 것이 가장 힘들다. 브랜드는 하나의 사업이다. 그렇기 때문에 브랜드가 금전적인 가치를 창출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계속 이뤄진다. 그와 동시에 브랜드가 성공하기 위해선 이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있어야 한다. 멀리 내다보고 투자를 해야 하는데, 이런 투자 결과는 단기적으로 나오진 않는다. 이 때문에 회사의 재정 상태에 따라 장기적 관점에서 한 선택과 단기적 관점에서 한 선택은 직접적으로 상충된다. 이런 장기적 목표와 단기적 목표 사이의 중심을 잡을 때 빠지지 말아야 할 함정이 몇 가지 있다. 우선 브랜드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그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를 너무 많이 바꾸지 말아야 한다. 또한 고객에 대한 이해를 중요한 우선순위로 둬야 한다. 브랜드의 현 고객들과 소통 역시 끊어서도 안 된다.  

―아무리 좋은 브랜드 아이디어가 창출됐다고 해도 그 아이디어에 대한 실행이 잘 되지 않으면 소용없다. 그렇다면 아이디어 창출과 실행을 같은 사람이 도맡을 때 일이 더 효과적으로 진행될까. 아니면 각 업무를 각기 다른 사람이 맡으면 더 좋을까. 

▷특정한 아이디어를 내놓고 이를 상품화해 시장에 내놓기까지 걸리는 시간, 브랜드를 선보일 때 사용하는 자원이 무엇인지 등에 따라 인재 조직화가 결정된다. 브랜드를 만드는 데 완벽한 인재 구성 모델은 없다. 나는 브랜드들이 철저하게 체계적인 팀을 구성하는 것부터 조금 더 느슨하고 자유롭게 브랜드를 담당하는 인재들을 모아 팀 구성을 하는 것을 봤다. 만약 자사에 체계적인 팀을 운영해 각 팀원들이 각각 브랜드 관련 다른 업무를 맡는 것이 맞는다고 판단된다면 회사가 분명하게 할 점이 있다. 바로 팀원들이 각기 다른 일을 하더라도 브랜드 성공에 대한 개념이 일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같은 '브랜드 성공'의 모습이 있어야지 팀원들이 협동하며, 그들의 협동심은 마치 릴레이 경주와 같다. 서로를 신뢰하며, 각 구간을 '달릴' 가장 적합한 '선수'들이 누군지 분석해 그 사람이 해당 업무를 도맡을 수 있다. 

―스타 브랜드가 탄생된 후 해당 브랜드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인가. 

▷매일매일이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거나 떨어뜨릴 수 있는 기회다. 해당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인 기사가 나오면 이것이 얼마나 큰 타격을 입히는지 생각해보자. 또 이런 소식은 얼마나 빨리 전파되는지 피부로 느낄 수 있다. 이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날마다 브랜드를 설립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브랜드를 관리하는 모든 사람이 지는 책임은 시장에서 브랜드가 지속적으로 '살아 숨 쉬게' 하는 것이다. 

소비자들이 브랜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기존의 고객과 새로운 고객들을 어떻게 더 잘 대해줄 수 있는지 등에 대해 끊임없이 고찰해 브랜드의 '맥박'을 뛰게 해야 한다. 

―회사가 아무리 잘나가는 브랜드를 만들었다 하더라도 자사가 큰 실수를 해 브랜드의 팬들이 등을 돌릴 수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예전의 명성을 되찾기 위해 브랜드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브랜드에 (결함이 있어) 잘못된 일이 벌어진 것이라면 최선의 방법은 고객들의 피드백을 듣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후 각 '진단'에 맞게 해결해야 한다. 절대로 고객들의 말을 무시하거나 문제를 피해 숨지 말아라. 

 기사의 3번째 이미지
 한국 소비자들 자국 브랜드 선호
지킬 것과 변화…그 사이 균형 필요
 

―한국에선 어떤 브랜드가 '스타 브랜드'라고 생각하나. 

▷2011년에 한국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당시 전자산업, 뷰티산업 등에서 한국 브랜드가 갖고 있는 영향력에 놀랐다. 이때 나는 한국 소비자들은 해외 브랜드보다 자국 브랜드를 더 선호한다고 느꼈다(다른 나라에서 이런 느낌을 받은 적은 많지 않았다). 이는 한국 브랜드의 강점을 확실하게 입증한다. 한국 브랜드 중에서도 나는 특히 삼성을 존경(admire)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삼성(전자)은 "사람들이 갖고 싶어하는 기술"과 같은 의미로 생각되어왔다. 삼성은 소비자들의 마음을 잘 헤아리고, 풍부한 마케팅 자원을 보유하며, 트렌드를 이끄는 것을 좋아하고 혁신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전 세계적으로 명확하며 일관된 모습을 보인다. 이는 스타 브랜드의 특성과 일치하며 기업 성공의 요소들이다. 

―한국 대기업들은 가족 기업이고 오랫동안 톱-다운 리더십으로 운영되어 왔다. 최근에는 딱딱한 시스템을 완화하고 노력하고 있지만, 직원들이 자유롭게 본인의 의견을 내세우기엔 여전히 어렵다. 이런 환경에서 스타 브랜드 구축을 위한 조언을 한국 가족 기업들에 한다면. 

▷회사의 핵심부문을 지키고 싶은 마음과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시장의 흐름에 맞춰) 변화하는 유연성, 이 두 가지의 균형을 잡는 것은 쉽지 않다. 그렇지만 기억해둘 점 한 가지가 있다. 결국에는 시간이 브랜드의 '진화' 혹은 '멸망'을 강요(force)한다. 특히 가족 기업들은 이를 더 확실하게 느끼고 경험한다. "가장 강한 종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고, 가장 똑똑한 종이 살아남는 것도 아니다.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는 종이 생존한다"는 다윈의 진화론은 브랜드에도 적용되는 말이다. 

 스타 브랜드·Star Brand 

단순히 좋은 서비스와 혜택 제공을 넘어서 고객들과 감정적인 교감을 하고 장기적인 브랜드 충성심을 불러일으키는 브랜드를 의미한다. 사람들이 스타를 볼 때 감탄하듯이 고객들은 스타 브랜드를 따르고, 존경하고, 약간의 경외감을 갖는다.
 

■ She is… 

콜롬비아의 로스안데스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캐롤라이나 로골은 2003년부터 지금까지 P&G에서 일하며 커리어를 쌓아왔다. 미국 스쿨 오브 비주얼 아트가 처음으로 석사 브랜딩 프로그램(Masters in Branding program)을 도입한 2011년부터 브랜드 매니지먼트 강의를 담당해 왔다. '브랜드 매니지먼트'는 그녀가 직접 만든 수업이기도 하다. 작년에 스타 브랜드 구축 비결을 담은 저서 '스타 브랜드(Star Brands: A Brand Manager's Guide to Build, Manage & Market Brands)'를 출간했다. 

[윤선영 연구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no=379983&year=2016

Posted by insightalive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TV란 무엇인가. 전기신호를 처리하는 영상기기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수용자 관점에서 TV는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정의라면 공중파TV, 케이블TV라는 용어는 무의미하다. 전통적인 TV는 이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디지털·모바일 미디어와 시청자의 시간을 점유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TV와 같은 전통적 미디어와 디지털 미디어 간 경계가 사라지고, 수많은 개인 미디어가 매일 새롭게 등장하는 초연결 미디어 네트워크 세상에 우리는 살고 있다. 

2015년 미국 경제지 포브스는 '세계에서 가장 돈을 많이 번 유튜브 스타' 명단을 공개했다. 게임을 전문적으로 소개하고 리뷰하는 '퓨디파이'는 지난해 약 135억원을 벌여들여 1위에 올랐다. 퓨디파이 채널 구독자 수는 4500만명에 달하며 지금까지 조회수는 100억회가 넘는다. 퓨디파이의 주인공 25세 스웨덴 청년 '펠릭스 셸베리'는 하루에 하나씩 올리는 15분 분량 동영상으로 웬만한 TV방송을 능가하는 1인 방송국의 제왕으로 등극했다. 동영상 플랫폼으로 출발한 유튜브는 멀티채널네트웍스(MCN·Multi Channel Networks) 스타들의 부상에 주목해 1인 콘텐츠 창작자 플랫폼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기업들의 커뮤니케이션 방식도 자사 제품과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알리는 미디어 광고집행 그리고 자사 홈페이지를 뛰어넘어 기업 브랜드 자체를 미디어 플랫폼으로 구축하는 방식으로 진화화고 있다. 

세계 제1의 엔터프라이즈 테크놀로지 브랜드이자 기업 간 거래(B2B) 업계 내 최고의 콘텐츠 제공자로 꼽히는 시스코는 2011년 '더 네트워크(The Network)'라는 테크놀로지 뉴스 플랫폼을 구축했다. 더 네트워크는 시스코의 보도자료, 블로그 포스트, IT업계 최신 트렌드를 총망라하는 뉴스룸 역할을 하고, AP통신, 월스트리트저널, 포브스 등 주요 언론매체 기고를 받아 특정 주제에 대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소개하기도 한다. 또한 시스코는 '사물인터넷(IoT·IoE)' 관련 포럼을 개최해 관련 주제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차세대 비즈니스에 대한 저변 확대를 모색하기도 한다. 브랜드가 기존 언론 기능을 담당하며 시대적 트렌드를 만들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고자 여론을 형성하는 이른바 '브랜드 저널리즘' 시대가 도래했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브랜드 저널리즘은 맥도널드 글로벌 최고마케팅책임자(CMO)였던 래리 라이트가 2004년 뉴욕에서 개최된 한 광고 콘퍼런스에서 최초로 언급한 용어다. 그는 "기존 매스미디어를 통한 마케팅은 한계에 도달했다"며 "기존 고객 정의와 다른 새로운 고객 정의가 필요하다"면서 새로운 마케팅 패러다임으로 '브랜드 저널리즘'을 소개했다. 

브랜드 저널리즘은 광고와 콘텐츠 간 구분이 모호해지는 뉴스의 광고화가 가속화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기존의 브랜드 스토리텔링이 단편적이고 일시적인 콘텐츠 제공이라면 브랜드 저널리즘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블로그, 다큐멘터리, 소셜미디어 등 대안 채널들을 통합적으로 연결하는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통해 기업 커뮤니케이션 효용성을 극대화한다. 이런 측면에서 브랜드 저널리즘은 단순히 기사화된 내러티브 광고, 그리고 웹진의 물리적 결합에 머무르지 않는다. 

자사 제품과 서비스 기능을 기업 중심의 용어로 해설하는 자화자찬식 홈페이지 수준에서 벗어나 타깃 소비자로 하여금 해당 기업을 거래할 만한 가치가 있는 존재로 인식시켜주는 다양한 콘텐츠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 바로 브랜드 저널리즘의 요체다. 브랜드가 미디어가 되는 시대는 브랜드 자체가 문화 그리고 트렌드가 된다. 이제 마케팅 대상인 소비자의 관심은 한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 영역에 머무르지 않는다. 

전통적 소비는 그 기업의 가치와 문화를 함께 공감하고 공유하는 잠재적 소비로 그 영역이 확장된다. 일례로 디자인, 음악, 여행이라는 문화 콘텐츠를 마케팅 플랫폼으로 적극 활용해 온 현대카드는 자체 제작한 브랜드 미디어 플랫폼을 선보이며 현대카드 고객을 뛰어넘어 대중적인 문화 브랜드로 진화를 모색 중이다. 

현대카드는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면서 사람들의 콘텐츠 이용 방식도 달라지는 것에 주목해 새로운 소통 방식을 고민한 끝에 '채널 현대카드'를 개국했다. 채널 현대카드는 보이는 라디오 '라디오 인 뮤직 라이브러리(Radio in MUSIC LIBRARY)'부터 신개념 교양 토크쇼 '북토크(Book Talk)', 디자인·여행 서적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나는 '라이브러리 카툰(LIBRARY Cartoon)', 이 시대 크리에이터들의 이야기 '영감 토크(Inspiration Talk)'까지 문화 브랜드 현대카드의 활동 그리고 현대카드의 세상을 보는 관점을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로 구성된 종합 편성채널 성격을 갖췄다. 

이제 현대카드는 '경쟁사의 광고'가 아닌 나영석 PD의 '꽃보다 청춘', 김태호 PD의 '무한도전'과 경쟁하게 됐다. 외부 크리에이터들과의 협업으로 자신만의 '콘텐츠 용광로' 안에서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며 서로 소통하는 채널 현대카드는 우리 일상에 새로운 영감을 불어넣고 있다. 

 기사의 2번째 이미지
1964년 마셜 매클루언은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화두로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의한 미디어 혁명을 예고하며 '미디어는 인간의 확장'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초연결 네트워크 사회에 직면한 오늘날은 하나의 브랜드가 사회적 영향력을 지니고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며 시대정신을 얘기하고 있다. 이제 브랜드는 미디어 회사로 진화하고 있다. 미디어는 문화다. 문화는 세상을 바꾼다. 그리고 문화는 인간의 정신 체계와 행동 방식을 변화시킨다. 더 나은 삶의 풍요와 여유를 갈망하는 가치 지향적 소비는 이러한 문화적 토양에서 쑥쑥 자라날 것이다. 

[홍준선 이노션 제휴마케팅팀 국장]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no=310160&year=2016

Posted by insightalive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수첩이 아니라 아직 쓰이지 않은 책입니다." 

겉으로 보기엔 양장까지 된 책으로 보인다. 열어보면 아무 내용도 없는 노트다. 하지만 사는 이에겐 책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헤밍웨이도 썼고 피카소도 썼기에 창작에 관련된 일을 하려면 이런 것쯤 하나는 준비해야 할 것 같다. 뭔가 예술적인 활동을 하는 것 같은 감성도 준다. 몰스킨 수첩 얘기다. 같은 두께, 같은 질이라도 몰스킨은 여느 수첩보다 고가다. 하지만 '예술가들이 쓰는 수첩'이라는 이야기를 지녔기에 사람들은 이 브랜드를 지님으로써 '자신을 표현'하고 싶어한다. 동시에 나를 위해 준비한 좋은 물건이라는 생각도 든다. 몰스킨을 구매하는 사람들은 단순히 쓸 만한 노트를 사는 것이 아니라 몰스킨이라는 예술 도구를 사는 것이다. 말하자면 가치를 사는 것이다. 나를 위해, 나를 행복하게 해주고 만족시켜주는 가치. 

몰스킨의 가치는 저절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수첩이 아니라 당신의 창조성이 아직 쓰이지 않은 '책'이라는 콘셉트를 공유하기 위해 이 수첩은 문구점이 아닌 서점에서 팔렸다. 예술가와의 연 또한 놓지 않고 끊임없이 이어갔다. 매년 유명 아티스트와 연계해 전시투어를 하기도 하고 헤밍웨이, 피카소 등 그들과 얽힌 이야기도 꾸준히 전달해 갔다. 2013년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을 맞아 70명의 디자이너에게 릴레이 스케치를 부탁해 전시된 작품들은 마치 그들의 아이디어 노트를 직접 엿보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했다. 

때로 유명 예술가들이 아이디어나 그림을 그린 실제 자신의 몰스킨 수첩을 선보이기도 하면서 브랜드에 진정성을 더한다. 몰스킨은 단순한 문구가 아니라 물감처럼, 혹은 붓처럼 꼭 필요한 창작 도구인 것이다. 디지털 시대를 맞아 노트의 수요가 줄어들 것 같지만 2015년에 오히려 전년보다 매출이 올라갔다고 하니 몰스킨의 가치는 여전히 강하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이제 물건이 팔리는 시대는 지났다고 한다. 저가에 관여도가 낮은 물건을 살 때는 그야말로 가성비를 따지겠지만, 나를 위한 것 하나를 구매할 때는 가치를 선택하게 된다.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게 아닌, 내가 나를 위해 좋은 걸 선택했다는 기쁨을 구매하는 것이다.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사치'와는 다르다. 더 비싼 가격이지만 그게 나에게 더 합리적이란 생각이 들어야 하며, 누군가에게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닌 내 만족을 위한 선택이어야 한다. 기능성 침구 브랜드 시장이 점점 더 크고 있는 것도 비슷한 맥락일 것이다. 

알레르망은 알레르기를 방지해주는 기능성 침구 브랜드다. 일반 침구에 비해 가격도 더 높다. 게다가 침구라는 특성 때문에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소비 대상도 아니다. 하지만 알레르망을 선택하면 다른 사람보다 혹은 이전보다 더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한다는 만족을 주며, 나를 위해 침구 하나도 더 좋은 걸 선택했다는 기쁨을 준다. 그렇기에 광고에서도 알레르망의 기능에 대해 일일이 설명하지 않는다. 대신 알레르망을 선택했다는 건 그만큼 안목이 있다는 걸 뜻한다고 얘기한다. 침구라고 해서 잠자는 모습만 보여주지 않는다. 알레르망이 있는 공간에서 책 읽고 차 마시고 음악을 듣는, 누구나 꿈꾸는 여유로운 생활을 보여준다. 알레르망을 사는 것은 침구를 사는 것이 아니라 광고처럼 만족스러운 생활을 사는 것이라고 얘기하는 것이다. 

모델 김태희를 통해 꾸준히 전달해오고 있는 '알레르망만의 만족스러움'은 브랜드가 연상시키고자 하는 가치다. 단순히 고급 브랜드로서 주는 만족감이 아닌, 나를 위해 선택한 좋은 물건이 주는 만족감이다. 알레르기를 완벽하게 차단해주는 제품력은 그런 가치를 뒷받침해준다. 몇 년 전만 해도 소비자 인식 속에 없던 시장이지만 꾸준히 판매율이 올라 2015년에는 매출 1000억원을 넘어설 만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도 알레르망이 주는 가치를 선택하기 때문일 것이다. 

여성들이 자신의 가치를 위해 가장 손쉽게 구매하는 것은 뷰티 제품이다. 다른 제품군에 비해 부담이 적은 가격대이면서도 제품이 주는 만족감은 높다. 게다가 K뷰티 열풍에 힘입어 뷰티 제품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 보인다. 그중 메이크업 전문 브랜드 VDL의 브랜딩이 눈에 띈다. 매년 트렌드 컬러를 발표하면서 세계적인 컬러 트렌드를 만들어가는 팬톤, 그들과 협업해 출시한 아이섀도 팔레트인 일명 '아이북'은 2016년 초 없어서 못 팔 만큼 높은 호응을 얻었다. 

사실 VDL이 팬톤과 함께 만들어낸 것은 단순한 컬러가 아니었다. '컬러에서의 치유'를 표방한 VDL은 로즈 쿼츠와 세레니티 두 컬러의 조화를 통해 평온해지고 균형을 찾아가는 감성을 얘기했다. 광고에서 보이는 파스텔적인 색감 속에 몽환적으로 이어지는 그림과 음악은 브랜드가 전하고자 하는 '치유'를 전달하고 있다. 단순한 뷰티 제품 이상의 가치를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코코 로샤를 비롯한 세계적인 모델을 통해 꾸준히 만들어내는 국제적인 분위기는 브랜드의 특별한 감성이 되었다. 그렇기에 VDL을 선택한다는 건, 제대로 된 감각을 선택했다는 만족을 갖게 한다. 

가치라는 것은 '공감'에서 비롯된다. 바로 '내가 원하던 생활' 혹은 '내가 생각했던 아이디어'라고 공감이 되는 순간, 그 브랜드는 내게 가치 있는 소유가 되고 경험이 된다. 공정무역 커피로 유명한 런던의 몬머스 커피는 긴 줄을 서야 함에도 불구하고 모두들 차례를 기다린다. 맛있는 커피뿐 아니라 의식 있는 소비에 동참한다는 가치를 주기 때문이다. 스타벅스보다 몬머스를 선택해야 할 근사한 이유가 생긴 것이다. 

 기사의 2번째 이미지
하지만 공감은 '진심'에서 시작된다. 기계로 커피를 뽑아내는 스타벅스와는 다르게 몬머스는 그 많은 커피를 일일이 핸드드립으로 내려준다. 그렇게 질 좋은 커피를 준비하는 진심이 좋은 제품을 찾아다니는 트렌드세터들을 이끌었고, 핫한 곳에서 커피를 구매한다는 생각과 함께 좋은 트렌드에 동참하는 듯한 느낌도 준다. 제품력이 진심이 되고, 브랜드의 행동과 실천이 공감이 되고, 소비 경험이 가치가 되는 시대. 그 가치를 위해 소비자는 긴 줄도 마다 않고 불편함도 서슴지 않는다. 

[신숙자 HS애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no=239453&year=2016

Posted by insightalive
,
◆ 임준수 교수의 21세기 소셜마케팅 / ② 디지털시대 브랜드 생존법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20세기 '코닥 순간'이라는 광고 문구로 필름 시장을 주름잡았던 코닥(Kodak)은 이제 아날로그 시대의 추억으로 사라지고, 요즘 젊은이들에게는 '인스타그램' 순간만이 있다. 코닥은 연구개발(R&D)에 공을 들여 7000여 개의 특허를 가지고 있었지만, 결국 시장 변화에 한발 앞서 대처하지 못하고 자신들의 주력 사업을 보호하려다가 120여 년의 역사를 뒤로하고 2012년 기업 회생을 위한 파산 신청을 했다. 코닥의 몰락에서 광속으로 변해가는 세상에서 계속 혁신하지 않으면 와해적 혁신 세력에 예전의 영화를 물려줘야 함을 배운다. 

오늘날 이런 와해적 혁신을 꿈꾸는 사람들이 기본으로 하는 게 있다. 바로 사회적 자본을 쌓는 것이다. 브랜드 역시 사회적 자본을 자양분 삼아 성장한다. 전 세계에 걸쳐서 20세기에 통하던 마케팅 캠페인의 성공 공식이 21세기에는 잘 먹히지 않는 사례들이 계속 보고된다. 

미국 정치만 봐도 텔레비전 시대의 논객과 각 당의 선거 전문 컨설턴트들의 역할과 영향력은 현저히 줄어들었다. 대신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한 후보자들의 짤막한 논평과 주장, 그리고 각 당의 지지자들이 쏟아놓는 온라인상 의견들과 설전이 선거전을 주도하는 느낌이다. 

조작되는 예도 있지만, 블로그나 SNS에 나오는 수많은 사용 후기,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남겨진 사용자 리뷰와 별점 등 이젠 모든 분야에서 소비자가 직접 올린 경험이 마케팅 담당자의 포장을 압도하는 시대가 왔다. 

이처럼 새로운 상거래 환경에서 디지털 시대에 맞는 브랜드 전략의 개념적 정립이 불가결해 보인다. '브랜드 리더십'의 공저자이자 글로벌 컨설팅 회사 비발디 파트너스 CEO인 에릭 요컴스탈러 등은 2013년 학술지 '장기 계획(Long Range Planning)'에 발표한 논문에서 브랜드의 사회적 화폐(소셜 커런시)를 구성하는 6개 가치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분석을 했다. 이들이 밝힌 브랜드의 사회적 화폐를 구성하는 6개 가치에 주석을 달아 봤다.  

(1) 정보 가치 : 당신의 브랜드에 관해 얼마나 많은 양의 정보가 교환되는가이다. 20세기에 브랜드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던 방식과 다른 점은 브랜드 관련 정보를 소비자가 직접 생산한다는 것과 정보가 더 시각적이 되었다는 점이다. 

(2) 유용 가치 : 당신의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얼마나 관련 있고 필요한가이다. 브랜드가 소비자의 웰빙이나 행복에 얼마나 이바지하는가가 중요하다. 

(3) 대화적 가치 : 당신의 브랜드가 얼마나 많은 대화를 끌어낼 수 있는가, 혹은 얼마나 많은 사람이 당신의 브랜드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는가이다. 당신의 브랜드에 관한 대화가 많을수록 그 브랜드는 시장에서 대세처럼 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사회적 화폐다. 

(4) 지지적 가치 : 당신의 브랜드를 얼마나 많은 사람이 지지하고 대변해주는가이다. 예를 들어 SNS상에서 당신의 브랜드에 관한 좋은 경험을 말해주는 것이나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당신의 브랜드를 방어해주는 행위를 포함한다. 

(5) 정체성 가치 : 당신의 브랜드를 즐겨 사용하는 수많은 소비자가 다른 브랜드 소비자와 다르게 공유하는 있는 소비자의 특색이나 정체성을 말한다. 

(6) 소속 가치 : 당신의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가 갖는 소속 가치를 말하는데, 이는 가장 높은 차원의 소셜 커런시로 볼 수 있다. 브랜드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이 요즘 마케팅의 궁극적 목표인 경우가 많은데 이는 소속 가치 차원의 브랜드의 소셜 커런시를 높이겠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브랜드의 소셜 커런시를 구성하는 각기 다른 가치 요소들을 이해하면 브랜드 마케팅을 위한 전략적 통찰을 가질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전략적 통찰은 마케팅 담당자가 브랜드의 역사와 속한 제품군, 그리고 경쟁 관계에 따라 특정 가치를 높이는 전략에 선택과 집중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탄산음료를 파는 브랜드가 추구할 소셜 커런시는 정보나 소속 가치보다는 유용 가치나 정체성 가치를 목표로 하는 것이 좋다. 코카콜라가 '행복을 여세요'나 '테이스트더필링'이라는 태그라인을 쓴 것은 행복감이라는 유용 가치를 높이기 위함이고, 펩시가 한때 '펩시 세대'를 강조했던 것은 정체성 가치를 높이려던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통찰은 브랜드의 소셜 커런시를 구성하는 각각의 가치가 같지 않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브랜드의 소셜 커런시는 정보 가치에서 소속 가치로 올라가며 다른 층위를 형성한다. 정보나 대화 가치보다는 지지, 정체성 그리고 소속 가치가 더 값지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정보 가치나 대화 가치 등은 시장에서 당신의 브랜드가 대세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기에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세 번째 통찰은 당신의 브랜드가 소셜 커런시의 특정 가치에 너무 오랫동안 묶여 있으면 시장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점이다. 

1980년대 리포지셔닝을 통해 베이비붐 세대 남성을 사로잡았던 할리 데이비슨은 SNS상에서 대화적 가치는 낮지만 브랜드 정체성이나 소속 가치는 그 어떤 브랜드보다 높다. 하지만 브랜드를 지탱했던 핵심 고객들이 장·노년층으로 편입돼 가는데 비디오게임 세대들은 오토바이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면서 할리 데이비슨은 크게 고전하고 있다. 이런 경우 할리 데이비슨은 과감하게 다른 가치의 소셜 커런시를 키우는 마케팅과 PR 전략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통찰은 소셜 커런시는 광고로 높일 수 없다는 점이다. 오늘날 제품의 구매는 광고나 마케팅 담당자가 만든 메시지보다는 나와 같은 다른 사람이 올린 경험에 기반을 둔다. 경험이 이끄는 구매에서 중요한 것은 이제 매력적인 광고 문구가 아니라 다른 이의 진솔한 경험이며 브랜드가 주는 신뢰의 정도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제품의 경험적 가치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시대에 마케팅 담당자들이 자연스럽게 든 성배는 이른바 소비자들의 브랜드 참여(engagement)다. 제품의 구매 전후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브랜드에 얼마나 깊이 관심을 두고 정서적으로 연결되며 브랜드와 소통하고 관계하려는가를 일컫는 말이다. 소셜 커런시를 높이기 위한 투자와 전략적 포석은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해 갖는 인게이지먼트를 높임으로써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임준수 미국 시라큐스대 교수]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no=239455&year=2016

Posted by insightalive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사진설명 미국 사실주의 작가 에드워드 호퍼의 'Hotel by a railroad'(사진 위)와 SSG.COM 광고의 한 장면. SSG.COM은 과감한 색감과 '쓱' 이라는 의태어로 서비스의 강점을 표현해 화제가 됐다. 
[사진 제공 = www.wikiart.org, 신세계]
어떤 남자가 매일 아침 8시 30분 카메라로 거리를 찍는다. 별다를 게 없는 일상이다. 하지만 다음날도 같은 시간 같은 거리를 찍는다. 역시 별다를 게 없다. 하지만 다음날도 그 다음다음날도 그는 계속 같은 일을 반복한다. 그렇게 10년 넘게 같은 사진을 찍는다. 별다를 게 없는 곳이 10년이라는 시간 동안, 10년이라는 관찰로 다른 풍경이 된다. 한두 장 찍었으면 다를 게 없었을 사진이 10년이라는 시간으로, 같은 풍경에서 다른 이야기를 끌어낸다. 1995년 상영된 영화 '스모크'의 주인공 오기는 그렇게 4000장이 넘는 사진으로 메시지를 던진다. 얼핏 보면 같은 사진만 4000장이 넘지만 자세히 보면 어느 하나 같은 풍경이 없는 것. 

한 장만 찍었으면 평범한 사진이 되었을 풍경이 몇 천장에 이르니 스토리가 된다. 똑같은 풍경을 다르게 만든 것이다. 평범한 일상이 예술이 되는 순간이다. 

'똑같지만 똑같지 않게….' 어찌 보면 광고의 화두다. 같은 쇼핑몰 광고일지라도 어떤 부분을 비틀어서 다르게 만들어야 하고, 같은 여행지일지라도 다른 이야기를 끌어내야 한다. 그렇게 소비자 눈에 띄고 기억돼야 한다. 늘 과제는 같고 숙제도 같지만 오기가 전하는 4000장의 메시지처럼 다른 표현을 만들어야 한다. 

'SSG.COM'의 '쓱?'은 그래서 신선하다. 에스에스지. 일일이 발음하기에는 다소 길 수도 있고 기억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쇼핑몰 이름인 알파벳을 소리 나는 대로 읽으니 '쓱-'이 됐다. 브랜드를 쉽게, 더 잘 기억할 수 있게 만들었다. 게다가 배송이며 결제며 빠르게 이뤄져야 하는 서비스니 일사천리로 진행되는 과정을 표현하는 의태어처럼 보여서 더없이 잘 어울린다. 과거에는 아이돌의 시초인 'H.O.T.'를 핫이라고 읽으면 트렌드에 뒤떨어진 사람처럼 치부됐는데, 모바일 통신에서는 짧고 쉽게 발음하는 게 미덕이니 그 또한 적절하다. 그게 SSG.COM이 똑같은 쇼핑몰이지만 똑같지 않아 보이는 이유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
또 하나 이 광고에서 눈에 띄는 건 개성 강한 작가의 작품을 보는 듯한 색감이다. 웨스 앤더슨의 영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을 보면 흔히 볼 수 없는 색감들을 생활 속에 과감하게 녹인다. 그래서 색감만 봐도 그의 영화임을 알아볼 수 있기도 하다. 그런 작가주의적 혹은 예술적 개성이 광고에서도 절묘하게 살아난 듯하다. SSG.COM 광고 또한 과감한 색감 표현으로 고유한 개성을 만들었다. 게다가 두 주인공의 무심한 듯 절제된 연기는 오히려 메시지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전달한다. 사소한 생활 속 대화를 무심하게 또는 진지하게 연기하니 오히려 그게 위트가 됐다. 이 광고는 광고전문 사이트인 'tvcf.co.kr'에서 인기 CF 1위에 오를 만큼 호응을 얻고 있다. 크리에이티브도, 친숙함도, 메시지 전달력도, 어느 하나 놓치지 않고 잘 만든 작품이다. 

반면 대한항공 광고는 늘 어딘가로 떠나고 싶게 만드는 힘이 있다. 최근 온에어된 프랑스편은 절정에 이른 듯하다. 광고는 지구 어느 곳보다 아름답게 프랑스를 그려내고 있다. '게스트하우스 프랑스'라는 테마로 펼쳐지는 광고는 누구나 머무르고 싶은 곳 7군데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곳에 7개 방을 비워 놨으니 프랑스로 오라고 한다. 특히 1분 길이로 만들어진 론칭편은 영화적인 그림과 사운드로 프랑스의 낭만을 그대로 전하고 있다. '프랑스'라는 이름만으로도 충분히 매력적이고 낭만적일 수 있지만 게스트하우스라는 신선한 주제로 묶고 그곳 호텔들을 보여주며 '떠나고 싶은 마음'을 자극하니 '내가 알던 프랑스'보다 '내가 미처 몰랐던 프랑스'의 매력이 십분 살아난다. 

사실 '프랑스'는 유럽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를 만큼 상징적인 곳이다. 누구나 가슴속에 품고 있을 프랑스를 '게스트하우스'라는 설정으로 이야기를 시작하고, 프랑스 풍경보다는 낭만적인 호텔을 위주로 시선을 끌어가니, 같은 프랑스가 신선하고 새로운 프랑스로 다가온다. 광고 완성도는 새롭게 발견한 프랑스를 더욱 아름다워 보이게 만든다. 이 광고를 보고 프랑스로 가야겠다고 결심한 사람이 많을 듯하다. 

 기사의 2번째 이미지
모든 광고는 같은 과제를 받는다. 사람들의 눈길을 끌고, 관심을 끌고, 브랜드를 기억하고 호감을 갖게 하는 것. 같은 과제를 받지만 방법은 매번 달라야 하고, 영향력은 더 커져야 하니 어려워진다. 광고뿐 아니라 누군가의 마음을 훔치고 관심을 훔치는 예술 또한 같은 운명이다. 마크 로스코처럼 전혀 새로운 표현이지만 오히려 그게 더 위안이 되고 공감이 될 때 사람들은 '새로운 예술'이라고 한다. 하지만 '새롭다'는 건 그전에 없었다는 뜻이고 아무도 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그래서 어려운 것이 된다. 

아름다운 시인 백석은 추운 만주로 떠나면서 '시 백 편을 가지고 오겠다'고 했다. 그가 만주로 떠난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그 춥고 외로운 땅, 시련과 고독이 자신에게 시가 돼줄 거라는 걸 알았던 게 아닐까. 새로운 걸 이끌어낸다는 건 '추운 만주땅'을 거쳐야만 나오는 보석일 테니. 예술이야 말할 것도 없겠지만 상업적인 광고 또한 '만주땅'의 괴로움을 거쳐야 멋진 작품이 되니, 새로운 것에는 모두 진심의 박수를 치고 싶다.  

[신숙자 HS애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no=103439&year=2016

Posted by insightal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