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규어랜드로버·푸조 등 점유율 껑충…독일차는 하락
10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독일 브랜드(BMW, 메르세데스 벤츠, 아우디, 폭스바겐, 포르쉐)의 국내 시장 누적 판매량은 총 9만6304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누적 판매량 8만57대에 비해 20.3% 증가했다.
하지만 2014년 1~7월 71.2%에 달하던 독일차의 수입차 시장 점유율은 2015년 1~7월에는 68.5%로 2.7%포인트 하락했다. 한국 수입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독일 브랜드들의 성장 속도가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주춤한 독일 브랜드의 자리를 대신한 건 영국과 프랑스 등 다른 유럽차들이다. 영국 브랜드(미니, 재규어-랜드로버, 벤틀리, 롤스로이스)는 올해 1~7월 총 1만343대를 판매해 점유율 7.4%를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누적 판매량(6744대)과 점유율(6.0%)을 크게 앞섰다. 이 기간 판매량 증가율도 53.4%로 독일 브랜드를 크게 앞선다.
프랑스 브랜드 (푸조-시트로엥)의 판매량 역시 지난해 1~7월에 비해 108.0%나 급증하며 점유율 역시 1.7%에서 2.8%로 껑충 뛰었다. 이 밖에 스웨덴 브랜드(볼보)도 점유율이 1.4%에서 1.7%로 높아지면서 선전했으며 미국 브랜드(포드, 크라이슬러, 캐딜락)들의 점유율 역시 7.1%에서 7.6%로 상승했다.
수입차 업계에서는 한국 수입차 시장이 성숙해지면서 '다양성'을 추구하는 고객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20·30대 젊은 고객들은 길거리에 너무 많이 보이는 독일차를 꺼리는 경우가 많다"며 "이들이 희소성 있는 영국·프랑스 브랜드를 선택하면서 독일차로의 지나친 쏠림현상이 해소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영국·프랑스 브랜드들이 판매 차량 종류를 공격적으로 늘려 나가고 있는 점도 점유율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랜드로버는 상반기 프리미엄 콤팩트 SUV인 '랜드로버 디스커버리 스포츠'를 출시했고, 재규어는 프리미엄 준중형 스포츠 세단인 'XE'를 9월부터 판매할 예정이다. 5000만원 전후 가격인 이들 모델은 1억원이 넘는 기존 랜드로버·재규어 모델을 사기엔 부담스러운 소비자를 끌어들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푸조 역시 콤팩트 SUV인 '2008' 등 저렴하면서 실속 있는 모델을 판매하면서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
[김동은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767858
'Insights & Trends > Economic/Industr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세계/경제] 中서 한 수 배우기 바쁜 ICT강국 코리아 (0) | 2015.08.12 |
---|---|
[스크랩/경제/환율] 원화값 16원 급락…코스피 2000 붕괴 (0) | 2015.08.12 |
[스크랩/모바일/단말] [한국 스마트폰 산업, 전략 재점검 시급] (1) 예전방식은 안된다. 유연하고 빠르게 변해야 (0) | 2015.08.10 |
[스크랩/모바일/단말] 세계 스마트폰시장 포화상태 삼성·LG전자 등 위기 가시화 (0) | 2015.08.10 |
[스크랩/경제] 내수침체 그늘…명동서도 빈 상가 속출 (0) | 2015.08.10 |